PUKYONG

말하기 불안의 정의적 요인 분석을 통한 화법 교육 방안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불안의 정의적 요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화법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급격한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변화를 겪게 되는 청소년기의 중학생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게 되는데, 학교생활에서의 성공적인 경험은 의사소통 능력에 달려있다고 본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 현실 상 말하기 교육이 미진하여 말하기에 불안을 겪는 학생들이 자기주장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실태를 조사하고 말하기 불안의 정의적 요인을 분석하여 말하기 불안 극복을 위한 화법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말하기 실태 분석 결과, 많은 학생들이 자신감 부족과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 자신을 향해 부정적일 것이라는 인식으로 말하기 불안을 겪고 있었다. 이에 자신감 회복, 긍정적인 발표 경험, 교사의 피드백, 듣기 교육 병행을 고려하여 칭찬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말하기 불안 극복 방안을 마련하고 말하기 불안을 겪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말하기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활동이라 판단하고 말하기 불안 극복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기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여러 가지 심리적인 변화를 겪게 되는 중학교 학생들은 칭찬활동 관련 화법 교육으로 자신감을 회복하여 올바른 자아를 확립하고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말하기 불안 극복을 위한 화법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도 실질적으로 활용되어 보다 나은 화법 교수-학습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Author(s)
조행연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48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556
Affiliation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Advisor
채영희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ⅱ
* Abstract ⅳ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말하기 불안의 개념
2. 말하기 불안 요인
3. 청소년기의 정서적 특징
4. 칭찬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Ⅲ. 연구 설계
1. 연구 대상 및 도구
2. 연구 절차
Ⅳ. 말하기 불안 극복을 위한 화법 교육 방안
1. 중학생 말하기 불안 요인 분석
2. 칭찬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한 말하기 불안 극복 방안
Ⅴ. 결론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