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지역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도 조사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부산지역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도 조사 연구


이 수 만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미생물학과
(지도교수 : 최 태 진)


오늘날의 조직사회는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고도의 기술을 요하고 있다. 특히 병원의 역할과 비중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병원조직의 한 분야에 있는 임상병리사는 의료의 질을 한층 더 높이는데 크게 기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중심에 있는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사·연구하기 위해 부산지역에 소재한 12곳의 의료기관(병원2, 종합병원8, 대학병원2)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병리사 2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기간은 2013년 4월 8일부터 4월 17일까지 10일간 시행하였으며 설문에 답하지 않은 19부를 제외한 18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90.5%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회수 된 18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별, 결혼여부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t-test를 하였고 연령, 학력, 근무처, 근무부서, 직급, 근무연수는 ANOVA(분산분석)을 하였다. 일반적 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학력, 결혼여부, 근무처, 근무부서, 직급, 근무연수 등 8개 항목으로 분류하였고 직무요인으로는 근무환경요인 8문항, 임금요인 3문항, 인간관계요인 4문항, 자기발전요인 5문항으로서 총 20문항으로 세분화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로는 여자가 61.88%로 많았고 연령별로는 30대가 40.33%로 가장 많았다. 학력에 있어서는 학사가 64.09%로 가장 많았고 결혼 여부에 있어서는 기혼이 52.49%로 미혼 47.51%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근무처는 종합병원이 48.62%로 가장 많았고 근무부서별로는 진단검사의학과가 90.06%로 가장 많았다. 직급은 임상병리사가 75.69%로 가장 많았고 근무연수는 5년 미만이 29.28%로 가장 많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직무요인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근무환경 3.88점> 인간관계 3.39점> 자기발전 3.04점> 임금 3.03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직무요인별 하위문항을 연구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했고 각 변수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하위문항을 보면 근무환경요인에서 기혼자 3.29점, 미혼자 3.04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환경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주40시간과 연장 및 당직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임금요인에서는 50대 3.73점, 20대 2.47점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임금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연봉정도, 연봉만족도, 수당만족도에 대한 만족도가 모두 낮았다. 인간관계요인에서 남성 3.50점, 여성 3.24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인간관계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대부분 만족도가 높았다. 자기발전요인에서는 20대 3.19점, 50대 2.98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발전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보통 수준에 그쳤다.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면서 사회적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더 부각되고 있는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주40시간 근로시간 준수의 확립과 부서 내 적정 인력으로 원활한 연장 및 당직시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인사제도의 개선으로 인한 합리적인 승진이 이루어져야 한다. 무엇보다 임상병리사의 직무에 합당한 임금이 지급되어 내부고객만족도가 높아져야 할 것이다.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n Busan


Lee, SU MAN


Department of Industrial Microbiolog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Pukyong National Universty
( Supervised by Prof. Choi, Tae Jin, Ph.D. )


The roles and importance of medical technologists are increasing these days and they contribute the enhancement of services in medical institutions. In this study,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n clinics and hospitals in Busan was surveyed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efficiency and service quality in medical institu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00 medical technologists of 12 medical institutions including 2 hospitals, 8 general hospitals and 2 university hospitals. Total of 181 questionnaires from 200 (90.5%) were recover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AS 9.2 program. Job satisfaction based on sex and marital status was analyzed by t-test and the relationship with age, education level, working place, working department, job level and years of service was analyzed by ANOVA test. The questionnaire had 20 questions including 8 general questions on sex,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working place, department, job level, year of service, 8 questions on working conditions, 3 questions on payment, 4 questions on relationship with people and 5 questions on self-development. In general questions, woman (61.88%) and 30s (40.33%) were dominant. In education level, bachelors was dominant (64.09%) married people was more (52.49%) than un-married (47.51%). General hospitals were the major working place (48.62%) and diagnostic laboratory was the main working department (90.06%). Medical technologist was the major working level (75.69%) and people of service less than 5 years was the main group (29.28%).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job factors was working condition (3.88) > relationship with people (3.39) > self-development (3.04) > payment (3.03). Sub-questionnaires of job factors based on the general questions were further analyzed and some result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were as follow: Married (3.29) and un-married (3.04) showed difference in working conditions and including dissatisfaction on violation of standard working week of 40 hours and night on duty. In terms of payment, 50s (3.73) and 20s (2.47)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cluding dissatisfaction in the amount of payment, satisfaction in payment and satisfaction in extra benefits. In relationship with people, men (3.50) and women (3.2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ut showed general satisfaction in sub-questionnaire in relationship with people. In self-development, 20s (3.19) and 50s (2.9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ut sowed middle range satisfaction in self-development in general.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observation of standard working week of 40 hours, hiring of enough number of people to limit the overtime working and preparation of appropriate promotion system and proper payment are necessary to for the enhancement of job satisfaction and the resulting enhancement of medical service.
Author(s)
이수만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49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567
Affiliation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산업미생물학과
Advisor
최태진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ⅵ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구성 4

Ⅱ. 이론적 배경 6

1. 직무만족의 정의 6
2. 직무만족의 중요성 7
1) 조직외적입장 7
2) 조직내적입장 7
3.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
1) 조직 전체 요인 8
2) 작업 환경 요인 8
3) 직무내용 요인 9
4) 개인적 요인 9
5) 직무만족 결정 요인 9
4.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 11
1) Maslow의 욕구단계이론 11
2) ERG 이론 12
3) Vroom의 기대이론 12
4) Adams의 형평성(공정성)이론 13

Ⅲ. 연구의 설계 14

1. 조사대상 14
2. 조사방법 및 기간 14
3. 설문내용 및 연구분석 모형 14
4. 분석방법 15

Ⅳ. 결과분석 및 고찰 16

1. 변수들의 신뢰성 분석 16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근무실태와 직무만족도 19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근무환경 만족도 19
(가) 결혼여부에 따른 근무환경 하위문항 분석 21
(나) 근무처에 따른 근무환경 하위문항 분석 23
(다) 근무연수에 따른 근무환경 하위문항 분석 25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임금만족도 · 27
(가) 성별에 따른 임금만족도 하위문항 분석 29
(나) 연령에 따른 임금만족도 하위문항 분석 30
(다) 결혼여부에 따른 임금만족도 하위문항 분석 32
(라) 근무처에 따른 임금만족도 하위문항 분석 33
(마) 근무부서에 따른 임금만족도 하위문항 분석 35
(바) 직급에 따른 임금만족도 하위문항 분석 36
(사) 근무연수에 따른 임금만족도 하위문항 분석 38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인간관계 만족도 39
(가) 성별에 따른 인간관계 만족도 하위문항 분석 41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자기발전 만족도 42
(가) 연령에 따른 자기발전 만족도 하위문항 분석 44
4. 요인별 상관분석 45

Ⅴ. 결론 및 제언 46

1. 결 론 46
2. 제 언 48

참고문헌 49

국문초록 52

설문지 5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산업미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