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늄 노출에 따른 참돔 Pagrus major의 항산화효소, AChE, 비특이적 면역의 변화 및 생체축적
- Alternative Title
- Effects of Selenium on the Responses of Antioxidant Enzyme,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Non-specific Immune, and Bioaccumulation in Red seabream, Pagrus major
- Abstract
- 요 약
셀레늄은 동물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미량영양소이다. 하지만, 높은 수준의 셀레늄 노출은 어류와 야생동물에게 심각한 독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셀레늄은 생체막에 쉽게 침투할 수 있으며, 생체축적 뿐만 아니라, 항산화·면역 반응의 변화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활성의 억제를 초해할 수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셀레늄 노출에 따른 참돔 Pagrus major의 생체축적, 생화학적 생물지표, 비특이적 면역의 반응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러한 요인들의 농도 별 노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에 사용된 참돔은 대조구와 함께, 4개의 농도구간 (50, 100, 200, and 400㎍/L)에 4주간 노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참돔의 간, 신장, 비장, 장, 그리고 아가미 조직에서 상당한 셀레늄의 생체축적이 200㎍/L과 400㎍/L의 셀레늄 노출농도에서 관찰된 반면, 뇌와 근육의 생체축적은 다른 장기에 비해 현저하지 않았다. 생물지표에서, 비만도 지수와 간 중량은 높은 농도에서 약간의 감소를 제외하고 유의적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일일전장성장량과 일일체중성장량은 셀레늄 노출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혈액분석에서 셀레늄 노출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적혈구수, hematocrit 값, 헤모글로빈 수치에서 상당한 감소를 나타냈다. 혈청분석에서 글루코즈, GOT, GPT는 상당한 증가를 나타낸 반면, 알부민과 alkaline phosphatase는 큰 감소를 나타냈다. 하지만, 혈청 칼슘, 마그네슘, 콜레스테롤, 총인에서는 큰 유의적 변화는 없었다. 간과 아가미 조직에서의 항산화효소 활성에서 superoxide dismutase는 2주 4주 모두 400㎍/L 농도에서 상당히 높은 유의적 증가를 나타냈다.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은 간조직에서 400㎍/L 셀레늄 노출농도에서 2주 4주 모두 높은 증가를 나타냈고, 아가미조직에서는 2주에서 유의적 변화는 없었지만, 4주의 100㎍/L 이상의 셀레늄 노출농도에서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간과 아가미 조직에서의 glutathione 함량은 2·4주 모두 400㎍/L의 농도에서 유의적 증가를 나타냈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활성은 뇌조직의 200㎍/L 이상의 농도에서 2·4주 모두 상당한 억제와 근육에서 400㎍/L 농도에서 2·4주 모두 상당한 억제와 간에서는 4주 후의 400㎍/L 농도에서 상당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장에서는 유의적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과 신장에서 라이소자임 활성은 50㎍/L 이상의 농도에서 상당히 증가했지만, 혈청 peroxidase 활성과 anti-protease 활성은 높은 농도에서 낮은 유의적 감소를 나타냈다.
- Author(s)
- 김준환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50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576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수산생명의학과
- Advisor
- 강주찬
- Table Of Contents
- CONTENTS
Contents ∙∙∙∙∙∙∙∙∙∙∙∙∙∙∙∙∙∙∙∙∙∙∙∙∙∙∙∙∙∙∙∙∙∙∙∙∙∙∙∙∙∙∙∙∙∙∙∙∙∙∙∙∙∙∙∙∙∙∙∙∙∙∙∙∙∙∙∙∙∙∙∙∙∙∙∙∙∙∙∙∙ⅰ
Abstract ∙∙∙∙∙∙∙∙∙∙∙∙∙∙∙∙∙∙∙∙∙∙∙∙∙∙∙∙∙∙∙∙∙∙∙∙∙∙∙∙∙∙∙∙∙∙∙∙∙∙∙∙∙∙∙∙∙∙∙∙∙∙∙∙∙∙∙∙∙∙∙∙∙∙∙∙∙∙∙∙∙∙∙ⅲ
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 and Methods ∙∙∙∙∙∙∙∙∙∙∙∙∙∙∙∙∙∙∙∙∙∙∙∙∙∙∙∙∙∙∙∙∙∙∙∙∙∙∙∙∙∙∙∙∙∙∙∙∙∙∙6
1. Experimental fish and conditions ∙∙∙∙∙∙∙∙∙∙∙∙∙∙∙∙∙∙∙∙∙∙∙∙∙∙∙∙∙∙∙∙6
2. Bioaccumulation ∙∙∙∙∙∙∙∙∙∙∙∙∙∙∙∙∙∙∙∙∙∙∙∙∙∙∙∙∙∙∙∙∙∙∙∙∙∙∙∙∙∙∙∙∙∙∙∙∙∙∙∙∙∙∙∙∙∙∙∙∙7
3. Bioindicator ∙∙∙∙∙∙∙∙∙∙∙∙∙∙∙∙∙∙∙∙∙∙∙∙∙∙∙∙∙∙∙∙∙∙∙∙∙∙∙∙∙∙∙∙∙∙∙∙∙∙∙∙∙∙∙∙∙∙∙∙∙∙∙∙∙∙∙∙∙∙∙∙8
4. Hematological and plasma assay ∙∙∙∙∙∙∙∙∙∙∙∙∙∙∙∙∙∙∙∙∙∙∙∙∙∙∙∙∙∙∙9
5. Antioxidant enzyme analysis ∙∙∙∙∙∙∙∙∙∙∙∙∙∙∙∙∙∙∙∙∙∙∙∙∙∙∙∙∙∙∙∙∙∙∙∙∙∙∙10
5-1. Superoxide dismutase (SOD) ∙∙∙∙∙∙∙∙∙∙∙∙∙∙∙∙∙∙∙∙∙∙∙10
5-2.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10
5-3. Glutathione (GSH) ∙∙∙∙∙∙∙∙∙∙∙∙∙∙∙∙∙∙∙∙∙∙∙∙∙∙∙∙∙∙∙∙∙∙∙∙∙∙∙∙∙∙∙∙∙∙11
6.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12
7.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13
7-1. Lysozyme activity ∙∙∙∙∙∙∙∙∙∙∙∙∙∙∙∙∙∙∙∙∙∙∙∙∙∙∙∙∙∙∙∙∙∙∙∙∙∙∙∙∙∙∙∙∙∙13
7-2. Peroxidase activity ∙∙∙∙∙∙∙∙∙∙∙∙∙∙∙∙∙∙∙∙∙∙∙∙∙∙∙∙∙∙∙∙∙∙∙∙∙∙∙∙∙∙∙∙∙13
7-3. Anti-protease activity ∙∙∙∙∙∙∙∙∙∙∙∙∙∙∙∙∙∙∙∙∙∙∙∙∙∙∙∙∙∙∙∙∙∙∙∙∙∙∙∙∙14
8. Statistical analysis ∙∙∙∙∙∙∙∙∙∙∙∙∙∙∙∙∙∙∙∙∙∙∙∙∙∙∙∙∙∙∙∙∙∙∙∙∙∙∙∙∙∙∙∙∙∙∙∙∙∙∙∙∙∙∙∙∙∙∙15
Ⅲ. Results ∙∙∙∙∙∙∙∙∙∙∙∙∙∙∙∙∙∙∙∙∙∙∙∙∙∙∙∙∙∙∙∙∙∙∙∙∙∙∙∙∙∙∙∙∙∙∙∙∙∙∙∙∙∙∙∙∙∙∙∙∙∙∙∙∙∙∙∙∙∙∙∙∙∙∙∙∙∙∙16
1. Bioaccumulation ∙∙∙∙∙∙∙∙∙∙∙∙∙∙∙∙∙∙∙∙∙∙∙∙∙∙∙∙∙∙∙∙∙∙∙∙∙∙∙∙∙∙∙∙∙∙∙∙∙∙∙∙∙∙∙16
2. Bioindicator ∙∙∙∙∙∙∙∙∙∙∙∙∙∙∙∙∙∙∙∙∙∙∙∙∙∙∙∙∙∙∙∙∙∙∙∙∙∙∙∙∙∙∙∙∙∙∙∙∙∙∙∙∙∙∙∙∙∙∙∙∙∙∙∙∙∙24
3. Haematological and plasma assay ∙∙∙∙∙∙∙∙∙∙∙∙∙∙∙∙∙∙∙∙∙∙∙29
4. Antioxidant enzyme analysis ∙∙∙∙∙∙∙∙∙∙∙∙∙∙∙∙∙∙∙∙∙∙∙∙∙∙∙∙∙∙∙∙∙∙∙∙∙∙∙∙34
4-1. Superoxide dismutase (SOD) ∙∙∙∙∙∙∙∙∙∙∙∙∙∙∙∙∙∙∙∙∙∙∙∙∙∙∙34
4-2.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39
4-3. Glutathione (GSH) ∙∙∙∙∙∙∙∙∙∙∙∙∙∙∙∙∙∙∙∙∙∙∙∙∙∙∙∙∙∙∙∙∙∙∙∙∙∙∙∙∙∙∙∙∙∙∙∙∙44
5.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49
6.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54
6-1. Lysozyme activity ∙∙∙∙∙∙∙∙∙∙∙∙∙∙∙∙∙∙∙∙∙∙∙∙∙∙∙∙∙∙∙∙∙∙∙∙∙∙∙∙∙∙∙∙∙∙∙∙∙∙54
6-2. Peroxidase activity ∙∙∙∙∙∙∙∙∙∙∙∙∙∙∙∙∙∙∙∙∙∙∙∙∙∙∙∙∙∙∙∙∙∙∙∙∙∙∙∙∙∙∙∙∙∙∙∙∙57
6-3. Anti-protease activity ∙∙∙∙∙∙∙∙∙∙∙∙∙∙∙∙∙∙∙∙∙∙∙∙∙∙∙∙∙∙∙∙∙∙∙∙∙∙∙∙∙∙∙∙∙59
Ⅳ. Discussion ∙∙∙∙∙∙∙∙∙∙∙∙∙∙∙∙∙∙∙∙∙∙∙∙∙∙∙∙∙∙∙∙∙∙∙∙∙∙∙∙∙∙∙∙∙∙∙∙∙∙∙∙∙∙∙∙∙∙∙∙∙∙∙∙∙∙∙∙∙∙∙∙∙61
Ⅴ. Summary ∙∙∙∙∙∙∙∙∙∙∙∙∙∙∙∙∙∙∙∙∙∙∙∙∙∙∙∙∙∙∙∙∙∙∙∙∙∙∙∙∙∙∙∙∙∙∙∙∙∙∙∙∙∙∙∙∙∙∙∙∙∙∙∙∙∙∙∙∙∙∙∙∙∙∙∙68
Ⅵ. References ∙∙∙∙∙∙∙∙∙∙∙∙∙∙∙∙∙∙∙∙∙∙∙∙∙∙∙∙∙∙∙∙∙∙∙∙∙∙∙∙∙∙∙∙∙∙∙∙∙∙∙∙∙∙∙∙∙∙∙∙∙∙∙∙∙∙∙∙∙∙∙∙∙∙7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수산생명의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