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륙도 인근 해역의 만각류 유생의 월별 출현 변화
- Abstract
- 오륙도 인근 해역에 분포하는 만각류 유생의 월별 출현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오륙도 주변 4개의 정점에서 2012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매월 1회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료는 원추형네트(망구 45 ㎝, 망목 200 ㎛)를 이용하여 각 정점의 바닥 1 m 위부터 표층까지 수직채집 하였다. 채집된 시료는 실험실로 운반하여 현미경하에서 종 수준 및 생활사 단계까지 동정, 분석하고, 측정된 여수량을 바탕으로 단위체적당(㎥) 개체수로 환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만각류 유생은 4과(Families), 5속(Genera)에 속한 종들이 출현하였으며, 미 확인종 1종을 포함하여 총12종이 출현하였다. 만각류 유생의 월평균 출현 개체수는 0.7개체(inds/㎥)에서 715.1개체(inds/㎥)로, 2월에 가장 낮고, 9월에 가장 높았다. 전체 동물플랑크톤 월평균 출현 개체수의 0.02∼4.09%를 차지하였다. 만각류 유생의 우점종은 조무래기따개비(Chthamalus challengeri), 따개비류(Balanus glandula), 흰따개비(Balanus improvisus), 그리고 따개비류(Balanus nubilus) 등으로 전체 만각류 유생 개체수의 약 67%를 차지하였다. 각 정점별로 출현 개체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2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Author(s)
- 강정훈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53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606
- Affiliation
- 글로벌수산대학원
- Department
- 글로벌수산대학원 생물자원학과
- Advisor
- 박원규
-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1
2. 재료 및 방법 3
2.1 동물플랑크톤 채집과 처리 3
2.2 Data 분석 4
3. 결 과 7
3.1 수온과 염분 7
3.2 동물플랑크톤 및 만각류 유생의 월별 출현종수 변화 9
3.3 동물플랑크톤 및 만각류 유생의 월별 출현 밀도 변화 11
3.4 만각류 유생의 월별 정점별 출현양상 13
3.5 만각류 유생 주요 우점종의 종별 출현특성 16
3.6 Data 분석 29
4. 고 찰 34
Appendix I 37
참고문헌 39
감사의 글 4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글로벌수산대학원 > 생물자원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