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전치사"on"의 인지적 의미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1.1.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

올해부터 부산시 교육청에서 시행되고 있는 부산실용영어능력평가시험은 듣기·어휘·말하기 등의 다면적인 평가로, 새로이 시행될 인터넷 기반 국가수준영어능력평가(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이하 NEAT)를 대비하여 시행되는 시험이다. 다면적 평가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시험이나, 현재 어휘와 작문평가지가 시교육청 주관으로 각 학교별로 의무 시행되고 있을 뿐이다. 학생들은 이 시험일을 “단어 시험일”이라고 부르며, 수준은 한 두 학년 정도 웃도는 것으로, 상반 학생들에게도 난이도가 높아, 그들은 접해보지 못한 어휘들이라며 볼멘 소리를 하고 있다.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또 하나의 부담이 늘어난 셈이다.
어휘학습의 영역은 시간적인 소모가 요구되는 영역이다. 학습자가 영어 어휘 학습에 곤란을 느끼게 되는 것은 구절동사의 학습과도 관련이 있다. ‘구절동사’란 동사와 불변화사를 함께 일컫는 것으로 여기서 불변화사의 다양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전치사 ‘on’의 경우만 해도 Oxford Advanced Learner's English Korean Dictionary에 따르면 18가지에 이른다. 아래는 그 예이다.

⑴ …(위)에[로]

⑶ (교통수단을 나타내어) …으로[…을 타고]
⑷ (요일・날짜・때를 나타내어) …에
⑸ …하자마자[…한 즉시]
⑹ …에 관하여
⑺ <‘휴대', ‘소유'를 나타냄>
⑻ ‘소속’을 나타냄
⑼ …을 먹는[마시는/복용하는]
⑽ ‘방향’을 나타냄
⑾ (어떤 장소)에[가까이에] (있는)
⑿ ‘근거’, ‘이유’를 나타냄

⒁ (‘수단’을 나타내어) …으로[…에]
⒂ 일부 명사・형용사와 함께 써서 영향을 받는 대상을 나타냄
⒃…에 비해
⒄ ‘활동’, ‘상태’를 나타냄
⒅ (전화번호를 나타낼 때 쓰여) …(번)으로

이렇게 뜻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제시된 방법은 나열에 지나지 않는다. 구절동사의 의미는 이기동(2001)에 따르면 ‘무의식적 추상화와 종합화의 정신적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사전적 의미의 나열이 아닌, 추상화와 종합화가 이루어지는 근거를 살펴보아야 ‘on’의 의미의 유기성을 파악할 수 있다. Bolinger(1979)에 따르면 ‘한 형태에 한 의미만 있으며, 형태가 다르면 의미가 다르’기에, 전치사가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의미로 쓰이는 것 같지만 전혀 다른 것이 아니라 공통되는 요소가 있다고 보아야한다.
구절동사의 불변화사(Particles)는 전치사를 일컫는데, 본래의 뜻이 없이 다른 형태소들을 연결하는 기능어라고 구조주의 언어학과 변형생성문법에서는 보고 있다. 전통문법의 관점에서는 전치사는 쓰이는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어 의미를 가지는 동음 이의어 혹은 다의어 현상으로 바라보았다. 구조주의 언어학과 변형생성 문법에서는 전치사는 본래의 뜻이 없고, 그 자체가 고유한 의미를 지니지 못하고 다른 형태소들을 연결해주는 기능어라고 보았다.
그러나 최근 인지문법(Cognitive Grammar)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전치사의 제반 현상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연구는 전치사가 자체의 고유한 의미를 지니지 못하고 다른 형태소들을 연결해주는 역할만을 하는 기능어라는 분석방법에서 탈피하여 전치사도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처럼 자체의 고유하고 중요한 뜻을 지닌 것으로 본다.
전치사를 인지 문법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연구는 이기동을 포함하여 국내에서도 오랜 기간을 두고 진행되어 왔으며 본 논문은 김일곤의 “영어 전치사 ‘on’의 인지적 의미분석(2001)”에 따른 분류를 바탕으로 중학교 교과서 속의 ‘on’의 의미를 원형의미, 확장의미, 추상의미로 나누어 파악할 것이다. 각 의미의 출판사별 분포도를 살펴보고 학년별 의미 분포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중학교 교과서의 특성 상 ‘on’으로 지칭되는 원형의미가 가장 빈번하게 발견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것은 학년이 낮을수록 그 빈도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았다.

1.2. 연구 방법과 구성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중학교 1, 2, 3학년 교과서 중 두산동아, 지학사, 천재교육 세 곳의 출판사에서 각 학년 별 한 권씩 9권을 살펴볼 것이다.
제 2장에서 전치사 ‘on’의 원형의미를 시작으로 확장의미·추상의미에 이르기까지 교과서에 사용된 전치사 ‘on’의 의미별 사용분포를 파악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자료들을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나누어 나타낸다. 원형 의미는 공간적 의미로 수직적 접촉의 경우, 수평적 접촉의 경우, 근접 접촉의 경우가 있으나 세 경우를 아울러 공간적 의미로 수렴한다. 확장 의미는 행동의 목적·과정, 사람·사물의 상태, 동작의 대상·방향, 교통·통신의 수단·방법, 물건의 소지·착용, 기간으로 분류하였다. 추상의미는 행위의 이유·근거, 영향력의 행사, 주제·저술 등의 밑바탕, 종사·봉사, 첨가, 인적관계로 분류하였다.
제 3장인 “중학교 교과서 분석 및 논의”에서는 3종 총 9권의 교과서에 실린 ‘on’의 의미별 분포를 살펴본다. 그리고 학년별 추이와 출판사별 추이도 함께 살펴볼 것이다.
Author(s)
이주연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57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648
Affiliation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김은일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론····································································1

1.1.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2

1.2.
연구 방법과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과 의미 분류 ··································5

2.1.
이론적 배경 ·················································5


2.1.1.
인지문법 ··················································5


2.1.2.
Langacker ················································6


2.1.3.
의미와 개념화(Conceptualization)······················8


2.1.4.
의미 확장의 기제 ······································8


2.1.5.
Bolinger(1079)···········································9


2.1.6.
이기동(2001) ············································10

2.2.
원형의미·························································11

2.3.
확장의미························································14


2.3.1.
행동의 목적·과정········································15


2.3.2.
사람·사물의 상태········································16


2.3.3.
동작의 대상·방향········································17


2.3.4.
교통·방송통신의 수단·방법 ···························20


2.3.5.
물건의 소지·활용 ·····································20


2.3.6.
기간 ··················································· 20

2.4.
추상의미························································22


2.4.1.
행위의 근거·이유 ····································22


2.4.2.
영향력의 행사 ··········································24


2.4.3.
주제·저술 등의 밑바탕 ································25


2.4.4.
종사·봉사 ················································26


2.4.5.
첨가 ······················································26


2.4.6.
인적관계 ·················································27

Ⅲ.
중학교 교과서 분석 및 논의 ···························28

3.1.
개별의미의 분포···········································28

3.2.
학년별·출판사별 의미의 분포··························· 37

Ⅳ.
결론··································································44

참고문헌···································································4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