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태도, 사회적지지를 통하여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Abstract
- 이 연구는 태권도 가치관, 사회적 관계가 건강증진,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태권도 가치관의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련생의 교육(수련)목표를 설정하는데 참고가 될 지도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1월~4월까지 태권도에 참여하고 있는 수련생 총 8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결론
1)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의 차이
연구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인 성별에 따라서는 태권도 가치관에서는 경제적 가치관, 신체적 가치관,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 사회적 태도에서는 자신감, 소속감, 사회적 지지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건강증진에서는 자아실현, 체력관리, 영양관리, 대인관계 증진, 스트레스 해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에 따라서는 태권도 가치관 모든 하위요인에서, 사회적 태도에서는 소속감, 사회적 지지에서는 정보적 지지, 건강증진에서는 영양관리, 대인관계증진, 스트레스해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련기간에 따라서는 사회적 태도에서 통제력, 사회적 지지에서는 모든 하위요인, 건강증진에서는 체력관리와 대인관계 증진, 자아실현, 영양관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련수준에 따라서는 건강증진에서는 대인관계 증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인 참여 횟수에 따라서는 태권도 가치관에서는 경제적 가치관, 사교적가치관, 사회적 지지에서는 정보적 지지, 건강증진에서는 체력관리, 만족도, 충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련시간에 따라서는 사회적 태도에서 통제력, 소속감, 사회적 지지에서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리적 지지, 건강증진에서는 건강관리, 체력관리, 충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련 후 기분에 따라서는 태권도 가치관,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 모든 하위요인에서 그리고 만족도, 충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출전유무에 따라서는 건강증진에서 건강관리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 팀 소속 유무에 따라서는 태권도 가치관에서 심미적 가치관, 사회적 태도에서는 자신감,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성별과 학년에 따라서는 만족도, 충성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수련기간에 따라서는 태권도 가치관, 만족도, 충성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특히 수련 수준과 대회 출전유무에 따라서는 태권도 가치관, 사회적 태도, 사회적지지, 만족도, 충성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수련시간에 따라서는 태권도 가치관, 만족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끝으로 학교 팀 소속 유무에 따라서는 사회적지지, 충성도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2)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수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수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태도가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선수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선수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선수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만족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3) 대회 출전 경험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분석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회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회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태도가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대회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대회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대회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만족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성별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회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회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태도가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대회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대회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대회 출전경험과 성별에 따른 만족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Author(s)
- 권경덕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59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669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체육학과
- Advisor
- 지삼업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문제 5
4.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6
5. 연구의 제한점 10
6. 용어의 정의 11
Ⅱ. 이론적 배경 13
1. 태권도 가치관 13
가. 가치관 13
나. 스포츠 가치관 14
다. 무도적 가치관 14
2. 사회적 태도 17
가. 사회적 태도의 개념 17
나. 태권도와 사회적 태도 18
3. 사회적 지지 19
가. 사회적 지지의 개념 19
나. 태권도와 사회적 지지 20
4. 건강증진 21
가. 건강증진의 개념 21
나. 태권도와 건강증진 23
5. 만족도 24
가. 만족도의 개념 24
6. 충성도 25
가. 충성도의 개념 25
나. 태권도와 만족도 및 충성도 26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연구절차 30
3. 조사도구 31
4. 조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34
5. 조사 방법 44
6. 통계처리방법 44
Ⅳ. 연구 결과 46
1.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의 차이 46
2.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63
3. 대회 출전 경험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74
4. 성별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82
Ⅴ. 논의 90
1.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의 차이 90
2.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99
3. 대회 출전 경험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100
4. 성별에 따른 태권도 가치관이 사회적 태도,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건강증진,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102
Ⅵ. 결론 및 제언 104
1. 결론 104
2. 제언 108
참고문헌 109
Abstract 115
부 록 118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체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