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풍력발전산업의 기술분석 및 기술로드맵 수립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Technology and Establishment of Technology Roadmap for the Wind Power Industry
Abstract
풍력발전산업은 화석연료의 부족과 지구온난화 방지의 일환인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RPS)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산업의 전략기술을 유관산업의 기술 수준과 더불어 단기간 내 세계 선두권 진입이 가능한 기술임을 정의하고 풍력발전산업 전반에 대한 기술분석과 특허분석을 통해 전략특허를 도출하고 기술발전 로드맵을 제시한다. 특허 13,804건의 분석을 통해 분쟁관련특허, 핵심특허, 미래핵심특허, 경쟁사특허를 기술분류 체계에 따라 부유식 풍력발전설비에 관한 특허 4,664건을 재 분류하여 전략특허를 도출하였다. 풍력발전에 관한 특허는 2002년 전후로 출원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제어분야, 블레이드분야, 기계분야순으로 출원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성장동력 일자리 창출의 신 패러다임으로써 한국 풍력발전산업의 미래 가능성을 고찰하고 치열한 기술경쟁에서 최선의 기술발전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 제공으로써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활용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Wind powe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ergy sources for preparing the inevitable absence of fossil fuels and reflecting the renewable energy obligations for a quota system (RPS) to reduce greenhouse gases causing a global warming. In this thesis, we define the wind power industry as a major strategic technology of getting into the top technology level of the world leading compan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propose a road map for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rough technical and patent analysis of the wind power industry.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13,804 patents, we establish a system of classification. Using this system, we re-classify the patents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key core technology, future core patents, competitors patents to a floating wind power plant as the 4,664 patents which related to a floating wind power industry. The number of patents related to the wind power industry has rapidly increased after around 2002 and this result affects order amounts in the control field, the machinery field, and for blade.
Based on the thesis, we are able to demonstrate our expectations for future growth opportunities in the Korean wind power industry. In addition, we expect that it is beneficial for job creation in terms of meeting the needs of this growth engine and finding the best ways to develop technology in this fiercely competitive technological race.
Author(s)
정학남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60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682
Alternative Author(s)
Hak Nam Jeung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기술경영협동과정
Advisor
이운식
Table Of Contents
I.서론 1
II. 풍력발전산업 현황과 분석 2
2.1 풍력발전산업의 현황 2
2.1.1 유관사업의 정의 2
2.1.2 육·해상풍력의 비교 4
2.1.3 설비량과 시장점유율 4
2.2 풍력발전산업의 동향 6
2.2.1 국내 풍력발전산업의 동향 6
2.2.2 국외 풍력발전산업의 동향 7
2.2.3 국내·외 풍력발전산업의 비교 9
2.2.4 풍력발전기 부품의 원가구조 11
2.2.5 풍력발전기의 발전방식 11
Ⅲ. 풍력발전산업의 필요성 12
3.1 풍력발전산업의 시장성장성 12
3.2 풍력발전산업의 성장잠재성 13
3.3 국가별 풍력발전 동향분석 15
3.3.1 North America 18
3.3.2 유럽(독일, 스페인, 영국, 덴마크, 프랑스) 18
3.3.3 아시아(중국, 인도, 일본) 19
3.4 미래의 세계 풍력발전 전망 21
3.5 풍력발전산업의 기술개발 추세 22
3.5.1 대형화 22
3.5.2 하중저감 22
3.5.3 해상풍력 23
Ⅳ. 특허분석과 추진전략 24
4.1 특허분쟁 현황 24
4.2 특허분석 목적 25
4.3 특허분석 절차 25
4.4 업체별 시계열 분석 27
4.5 출원인 분석 28
4.6 주요특허분석과 시계열 분석 29
4.7 출원인별 주요특허의 출원건수 30
4.8 기술분야별 주요특허 출원건수 30
4.9 주요기술의 기술분류 31
4.10 핵심기술의 분석 및 대응 33
Ⅴ. 전략특허의 도출 38
5.1 SWOT 분석 44
5.2 기술로드맵(Technology Roadmap-TR) 수립 45
Ⅵ. 결론 4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기술경영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