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학습자료집과 초등영어교과서 비교 분석과 학습 및 지도 현황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Analysis and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BEPA Supplementary Book and English Textbooks at Local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료집과 초등영어교과서를 비교 분석하고 학습자료집의 학습 및 지도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료집이 영어교과서와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참아 교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자료집과 초등영어 교과서는 어휘와 의사소통기능면에서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학습자료집의 학습 및 지도 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학습자료집 학습 결과와 영어학업성취도 결과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료집과 2종의 검인정 영어교과서를 제 9차 교육과정어휘지침에 의거하여 분석하였고, 또 검인정 교과서와 학습자료집어휘와의 연계성도 알아보았다. 어휘외에 생할영어를 분석하기 위하여는 제 9차 교육과정 의사소통기능 예시문을 그 준거로 하였으며 이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료집의 내용 및 수준에 대해 알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학습자료집의 학습 및 지도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A · D급지 학습자 각 200명과 초등영어전담교사 25명을 대상으로 학습자료집의 내용 및 실제 운영등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5likerts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은 평균값과 T-test 검증으로 유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성적 평가를 위하여 오픈형 문항을 두어 학습자료집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찾아보았다. 학습자료집평가 결과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평가결과와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는 A · D급지 학습자들의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료집은 4종의 검인정 영어교과서보다 많은 양의 어휘를 가지고 있는 교재로 5, 6학년 기중 어휘수 260개보다 50%가 더 많은 어휘를 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교과서 어휘와는 평균적으로 50% 정도가 공통되는 부분이었다.
의사소통기능 예시문에서는 교과서가 더 많은 양의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이는 학습자료집교재가 6가지 주제로 이루어진데 반해 교과서는 16단원으로 구성된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료집학습현황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똑같은 교재에 대한 급지별 다른 인식 부분으로 난이도 및 내용에 대하여 A급지 학습자들은 보조적이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으나 D급지 학습자들은 영어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긍적적인 견해를 보였다. 교사설문결과에서는 시간확보가 가장 두드러진 문제점이었으며,학교급지를 막론하고 학습자료집실시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대체로 가지고 있었다.
셋째, 학습자료집평가 결과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찾을 수 없었다.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료집교재가 교과서의 보조교재로 보기에는 상당히 많은 양의 어휘를 포함하고 있으며 50% 이상의 단어가 교과서와 공통되므로 학습자료집을 재구성하여 지도하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부산시 전체에서 동일한 학습자료집교재를 사용하고 있지만 학교 급지에 따라 학습자료집교재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다르므로 급지에 따른 적절한 지도시간과 지도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학습자들의 다양한 필요와 요구를 반영하여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단순히 듣고 푸는 drill형 학습지 형태보다는 학습자의 학습패턴이나 수준에 맞게 짜여진 학습콘텐츠등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또는 효과적인 어휘 학습을 위하여 웹환경의 여어 어휘 학습시스템을 구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주먹구구식의 운영보다는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교사들이 겪는 지도시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습자료집매뉴얼을 제작하여 효과적인 학습 및 지도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Author(s)
안윤경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61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691
Alternative Author(s)
Ahn, yun kyoung
Affiliation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Advisor
박매란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 i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3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초등영어에서 어휘 학습과 생활영어학습 = 5
가. 어휘와 생활영어의 개념 = 7
나. 어휘학습과 생활영어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0
다. 어휘 학습과 생활영어학습의 효과적인 지도법 = 13
2. 영어학습과 교재 = 14
가. 영어학습 교재의 의미와 필요성 = ·14
나. 영어교재의 분류 = 15
다. 영어교재 선정의 기준 = 16
3. 학습자료집 내용 선정 기준 = 17
4. 교과서 내용 선정 기준 = 18
5. 선행연구 고찰 = 20

Ⅲ. 연구 방법 = 22
1. 연구 대상 = 22
2. 연구 기간 및 단계 = 24
가. 연구 계획 및 자료 선정 = 25
나. 자료 수집 = 26
다. 자료 결과 분석 = 26
3. 연구 도구 = 27
가. 학습자료집과 검인정 영어교과서 2종 = 27
나. 제 9차 교육과정 어휘 지침 및 의사소통기능예시문 = 27
다. 학습자료집 관련 학습자 설문지 = 28
라. 학습자료집 관련 교사 설문지 = 32
마. 학습자료집 평가 결과 및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 37

Ⅳ. 분석결과 및 토의 = 39
1. 어휘 분석 = 39
가. 교육과정에 의거한 어휘 분석 = 39
나. 학습자료집과 검인정교과서 어휘분석 = 43
다. 어휘중요도에 따른 분석 = 44
2. 의사소통기능예시문 분석 = 45
3. 학습자 설문지 분석 = 49
가. 학습자료집의 학습 효과 = 49
나. 학습자료집과 교과서와의 연계성 = 50
다. 학습자료집 활용 방법 = 51
라. 학습자료집에 대한 건의 사항 = 52
4. 교사 설문지 분석 = 54
가. 학습자료집의 기원 = 54
나. 학습자료집 지도시간 = 56
다. 학습자료집 구성 및 내용 = 57
라. 학습자료집 지도 결과 = 60
마. 학습자료집에 대한 건의 사항 = 62
5. 성취도 분석 = 64

Ⅴ. 결론 및 제언 = 66
1. 결론 = 66
2. 제언 = 68

참고 문헌 = 70
부록 = 7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