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 내장재의 인공피혁 시트 커버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Abstract
- 여가 시간의 증대와 소득의 확대 등으로 인한 국내 여객선 관광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일본, 중국 등의 주변 국가의 국외관광 시장의 성장률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따라 향후 여객선 산업의 활성화와 함께 간과할 수 없는 요소로서 여객선 승객들의 안락함과 편안함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내장 인테리어 소재 산업도 함께 발전해야 한다. 특히 선박의 실내 인테리어 환경을 좌우하는 객실 공간에 배치된 시트 좌석의 내장재 커버 디자인은 그 선박의 수준을 나타내는 기준과 차별화된 독창성(Identity)을 나타내는 수단이다. 또한 승객이 선박을 이용할 시 내부에서 머무르는 장시간동안 인간과 가장 친밀하게 접하는 부분으로서 고품질의 소재 디자인 개발에 대한 중요성은 더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현재 주요 3대 선사에서 여객선의 일반실에 내장재로 사용되는 시트 커버 소재에는 직물, 스웨이드 페브릭과 인조가죽 등이 있다. 이중에서 인조가죽의 선호도가 다른 소재에 비해 높았으며, 이는 직물에 비해 표면의 세탁성이 좋고 천연가죽과 비슷한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촉감과 다양한 색상 구현을 통한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재단 및 봉재의 작업성이 용이하여 시트 커버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인조가죽 중에서도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이 나오지 않으며 가장 많은 기술과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는 인공피혁 산업은 과거의 저가 대량생산체제의 획일화된 기능성만을 추구해 오던 섬유 산업 시대에서, 사람들의 생활수준의 향상과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시대의 변화로서 새로운 디자인 접목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객선 시트 인공피혁 디자인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하여 여객선용 시트 인공피혁에 대한 2013 S/S 2013 시즌의 APLF 트렌드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디자인 개발을 제시하였다.
첫째, 폭로(Revelation)의 디자인 컨셉인 ECO-NOVA는 여객선 내장재 인공피혁 소재의 표면에 적용될 패턴 디자인이 자연으로부터 얻어진 주름무늬를 모티브로 제작 되었고, Main컬러는 옅은 색조의 세련된 이미지인 베이지를 Main컬러를 사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둘째, 돌연변이(Mutation)의 디자인 컨셉으로 제작된 NOVA-EP는 여객선 내장재 인공피혁 소재의 표면에 적용될 패턴 디자인이 오래되고 낡은 부서진 느낌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제작 되었으며, Main컬러는 그린과 블루가 조합하여 새롭게 창조된 블루-그린을 Main컬러로 사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셋째, 유혹(Seduction)의 디자인 컨셉으로 제작된 DURO-S는 여객선 내장재 인공피혁 소재의 표면에 적용될 패턴 디자인이 물방울이 퍼져나가는 율동감 있는 추상적인 이미지 모티브로 제작되었으며, Main컬러는 꽃의 화려함을 연상시키는 색조 화장품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파스텔톤의 핑크를 Main컬러를 사용하여 디자인을 개발을 하였다.
넷째, 초월(Transgression)의 디자인 컨셉으로 제작된 LUNES는 여객선 내장재 인공피혁 소재의 표면 패턴 디자인이 초현실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상승곡선을 그리는 선의 조합 이미지를 모티브로 제작 되었으며, Main컬러는 저채도의 고급스러운 바이올렛을 Main컬러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인공피혁 소재를 시트 커버에 적용시켜 디자인 시뮬레이션으로 표현하였다.
위의 네 가지 디자인 컨셉에 따른 여객선 시트 커버용 인공피혁 디자인 개발은 초극세사 원단Base을 사용한 함침 은층Type의 습건식법 제품에 맞춘 디자인 개발을 적용하였으며, 3D 가상 시뮬레이션을 맵핑 작업을 통한 시제품 디자인으로 실효성과 상품성을 사전에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객선용 시트 커버에 사용되는 인공피혁 제품 개발에 필요한 트렌드 분석 작업과 디자인 개발에 관한 프로세스를 살펴봄으로써 미흡했던 여객선용 시트 소재 디자인 개발에 대한 전문성 확립과 인공피혁의 국제 시장에서 제품의 경쟁력을 발휘될 수 있도록 기대하며, 산업용 소재 및 관련 학계에 인공피혁 제품의 새로운 시장 개척과 함께 다양하고 고급화 및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 자료로 향후 여객선용 시트 섬유 소재 개발 산업 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
- Author(s)
- 이재진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63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595
- Affiliation
-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마린산업디자인학과
- Advisor
- 유상욱
- Table Of Contents
- 제Ⅰ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4
제Ⅱ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우리나라 여객선 보급 현황 및 조사 5
1. 국제 항로 여객선 이용 현황 및 조사 5
1-1. 한-일 항로 국제 여객선 이용 현황 분석 9
1-2. 한-중 항로 국제 여객선 이용 현황 분석 10
2. 국내 항로 여객선 이용 현황 조사 12
2-1. 제주행 연안 여객선 이용 현황 분석 13
제2절 여객선의 이론적 고찰 15
1. 선박의 분류 15
2. 여객선의 정의 16
3. 여개선의 종류와 특징 17
3-1. 페리(Ferry) 18
3-2. 로팩스(Ro-Pax) 19
3-3. 팩스 카 페리(Pax Car Ferry) 20
3-4. 크루즈 페리(Cruise Ferry) 21
3-5. 크루즈 선박(Cruise Ship) 22
제3절 여객선 내장재 개요 및 특성 24
1. 내장재 개요 24
2. 내장재 선정 및 구획별 분류 24
2-1. 내장재 Decoration 종류와 내용 25
2-2. 내장재 시트커버 소재의 특성 26
제4절 인공피혁의 이론적 고찰 27
1. 인공피혁의 정의 27
2. 인공피혁의 발전과정 28
3. 인공피혁의 가공 방법 28
4. 인공피혁 시장 현황 및 향후 개발 방향 29
4-1. 인공피혁의 시장 현황 29
4-2. 인공피혁의 향후 개발 방향 30
제Ⅲ장 국내 여객선 선사별 시트 커버 소재 디자인 특징 32
제1절. 국내 주요 3대 여객선 선사 및 선박 현황 및 조사 32
제2절. 국내 주요 3대 선사별 여객선 시트 커버 소재 디자인 특징 34
1. 주)미래고속시트 소재 디자인 특징 분석 34
2. 주)대아고속해운 시트 소재 디자인 특징 분석 37
3. 주)장흥해운 시트 소재 디자인 특징 분석 42
제3절. 소결 44
제Ⅳ장 작품 제작 및 설명 47
제1절 S/S 2013 APLF 디자인 트렌드 분석 47
1. APLF 소개 47
2. S/S 2013시즌 트렌드 분석 48
2-1. 폭로(Revelation) 콘셉트 49
2-2. 돌연변이(Mutation) 콘셉트 49
2-3. 유혹(Seduction) 콘셉트 51
2-4. 초월(Transgression) 콘셉트 52
3. 소결 53
제2절 콘셉트별 디자인 개발 방향 55
1. 콘셉트별 디자인 개발 방향 설정 55
2. 콘셉트별 제품 소개 및 물성표 56
제3절 여객선 내장재 시트 커버 디자인 제품 개발 57
1. 폭로(Revelation) 콘셉트의 ECO-NOVA 디자인 제품 57
2. 돌연변이(Mutation) 콘셉트의 NOVA-EP 디자인 제품 58
3. 유혹(Seduction) 콘셉트의 DURO-S 디자인 제품 59
4. 초월(Transgression) 콘셉트의 LUNES 디자인 제품 60
제Ⅴ장 결론 및 제언 61
참고문헌 64
Abstract 6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마린산업디자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