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자동차 내장재 소재를 응용한 선박 섬유 INTERIOR 내장재 계획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국내자동차 산업의 발달은 외국 자동차사와의 경쟁으로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의 뛰어난 고객 접근성을 불러왔다. 그에 비해 국내조선산업은 화물선 및 유조선의 건조 기술은 상당히 뛰어나나 감성적인 접근과 Design이 필요한 선실내장재중 특히 여객선의 Interior Design및 Construction은 경쟁상대에 있는 선진국에 비해 그 질과 감성품질이 상당히 떨어지는 상태이다.
1970년대 시작된 한국의 조선산업은 경제개발5개년 계획 수립과 더불어 정부 중점 육성 산업으로 지정되어, 국가 기간산업으로 발전해 왔다. 적극적인 정부의 수출 주도 정책에 힘입어 1994년 이후 950여만톤의 수주량을 달성하여 세계 1위 조선 건조국이 되었고, 이후 2008년까지 수주량 1위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이후 전세계적인 불황과 선박 수주량 감소로 1위의 자리를 내어주고 2010년 다시 1위의 자리를 탈환하였으며, 2013년 중국과 근소한 차로 1위의 수주국 위치로 올라서게 되었다. 하지만 성장에 치우진 결과, 상용선의 건조기술 및 수주량은 세계굴지의 위치를 가지게 되었지만,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여객선 및 Cruise선의 수주는 극히 미미하다. 이로인해 생산성과 선가로 결정되는 국제 조선 시장에서의 우리나라의 입지는 항상 불안한 상황이다. Cruise선으로 대변되는 호화 여객선의 건조는 아직도 세계 일류 조선소와 비교하여 경쟁력과 건조의 경험이 미약하며 이는 미래의 부가가치를 창줄해야하는 조선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호화여객선에 적용되는 Accommodation용 선박 내장재에 대한 연구와 개발도 유럽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해, 국내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대부분의 제품을 수입해서 사용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박 내장재의 기술향상과 고급화를 준비하는 초기 단계로서, 근래 급격하게 발전해 자동차 산업의 Interior내장재를 선박 내장재와 비교 분석하여, 선박 Accommodation내장재에 적용 가능한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향후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내 선박의 내장재Construction개발 자료로서, 국내 선박용 소재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
국내외의 자동차 산업의 Interior 내장재 및 외국의 Car Interior Trend 및 내장재를 고찰하여 선박 섬유 내장재의 Interior Design 및 Trend에 적용시키고, 나아가 국내 선박 내장재 시장의 나아갈 방향과 산업업계의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에 대한 연구범위 및 방법으로 자동차 실내 디자인의 구조와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국제 모터쇼를 통해 본 자동차 섬유 내장재 소재의 Interior 적 특징을 고찰한다.
또한, 국내 자동차에 적용되는 Design 및 Construction을 고찰하고, 여기에 더하여 국내외 자동차 및 선박용 Interior 업체를 고찰하고 제품사례를 파악한다.
자동차 Interior 소재의 고찰을 통해, 이를 적용할 선박의 구조와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사용범위 및 사용자의 경향을 파악한다 또한 선박의 실내 디자인의 구조와 특징에 대해 고찰한다.
물성적인 비교 방법으로는 자동차의 원단제품에 적용되는 물성규격인 ISO/TS 16949의 품질 기준과 선박 규정인 SOLAS 및 IMO 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자동차 원단의 선박 적용 가능성 및 방법을 비교 고찰한다. 그리고 향후 Cruise선박의 실내 Design 및 Construction적용계획을 수립하고 새로운 Trend 의 방향 및 선박용 Interion제품의 물성적 최적화 고찰하여 향후 선박 섬유 Interior 내장재의 방향을 정리한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디자인만 제작 되었고 실제적인 사례로서 사용자 검증 단계 까지 가지 못한 점이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실제적인 적용까지 진행하는 적극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국내자동차 산업의 Interior내장재 및 외국의 Car Interior Trend 및 내장재를 공유하여 선박 섬유 내장재의 Interior Design 및 Trend에 적용시켜, 디자인 기술개발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Author(s)
오상웅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64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624
Affiliation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마린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김철수
Table Of Contents
목 차

제Ⅰ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2

제Ⅱ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선박 INTERIOR CONSTRUCTION 4
1. 선박의 국제규정 4
1.1 선급협회와 국제기구 4
1.2 선박관련 국제협약 5
1.3 용도에 따른 선박분류 8

2. 선실환경에 대한 고찰 9
2.1 선실의 정의 9
2.2 환기요소 10
2.2.1 방화규정 10
2.2.2 환기 11

2.3 조명요소 12
2.3.1 채광 13
2.3.2 조명과 디자인 13
2.4 색채요소 14

3. 선박 INTERIOR내장재 실태 15
3.1 선박의 INTERIOR 16
3.2 선박 내장재 CONSTRUCTION 16
3.3 선박에 적용되는 섬유INTERIOR 내장재 17

제2절 자동차 INTERIOR CONSTRUCTION 18
1. 자동차 내장재 개요 18
1.1 자동차 내장재 CONSTRUCTION 18
1.2 자동차 내장재의 구성 18

2. 자동차 INTERIOR DESIGN의 구조 및 특성 19
2.1 자동차 INTERIOR의 일반 구성 19
2.2 자동차 INTERIOR DESIGN의 특징 20
2.3 자동차 INTERIOR의 발전 예측 20

3. 국제 MOTOR SHOW의 INTERIOR DESIGN 특성 21
3.1 국제 MOTOR SHOW의 자동차 INTERIOR 21
3.2 대륙별 자동차 INTERIOR TREND 22
3.3 국내 자동차 INTERIOR TREND 23

제Ⅲ장 선박 INTERIOR 환경 체계 분석및 적용방법 24
1. 선박 INTERIOR 최적화를 위한 계획 24
2. INTERIOR 체계분석 24
3. INTERIOR 물성규격 방안 25
3.1 자동차 INTERIOR 물성규격 25
3.2 선박 INTERIOR 물성규격 29
4. 자동차 INTERIOR에 비교한 선박 INTERIOR 34
5. 선박 INTERIOR DESIGN을 위한 목표제안 34

제Ⅳ장 선박섬유제품 현황분석 및 내장재 적용계획 35
제1절 설문조사를 통한 현황 파악 35
1. 설문조사 35
1.1 설문조사 개요 35
1.2 설문결과 고찰 36

제2절 선박 섬유내장재 INTERIOR DESIGN제안 39
1. DESIGN TREND 설정 39
1.1 CONCEPT DEVELOPMENT 40
1.2 CONSTRUCTION DEVELOPMENT 41
2. 섬유 INTERIOR CONSTRUCTION 적용 계획 43
2.1 아이디어 도출 및 CONSTRUCTION설정 43
2.2 CONSTRUCTION별 디자인 제작 45

3. MOTOR SHOW TREND를 이용한 섬유내장재 DESIGN제안 47
3.1 2012년 파리 MOTOR SHOW TREND 분석 47
3.2 2012년 GENEVA MOTOR SHOW TREND 분석 51
3.3 DESIGN CONCEPT 및 제작 56
3.3.1 디자인 개발 I 56
3.3.2 디자인 개발 II 59

제Ⅴ장 결론 및 제언 61
참고문헌 62
부록 : 설문조사표 64
Abstract 6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마린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