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수산발효식품 중의 Angiotensin - I의 전환효소 저해제의 특성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식품이 갖는 생체조절기능중 고혈압의 억제와 관련이 있는 angiotensin-Ⅰ 전환요소(ACE) 저해인자는 가열조리에 안정하며 체내에서의 흡수도 용이한 비교적 저분자의 물질로서, 그 저해효과는 혈압강하제와 비교하였을 때에는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냈지만 대량으로 상시 섭취되는 식품중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수산발효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멸치젓갈 및 소화효소에 의한 탈지 멸치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함유되고 있는 angiotensin-Ⅰ 전환효소 저해물질을 추출하여 gel 여과에 의하여 분리된 획분들의 작용 및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CE 저해물질의 추출 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장 높은 ACE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숙성 60일차의 멸치젓갈을 ethanol 및 acetone의 농도를 각각 10%, 25%, 50%, 80%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ethanol농도가 50%인 획분이 가장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2. 멸치젓갈 숙성중 시료액의 5-% ethanol 가용성 peptide-nitrogen 함량 및 ACE 저해효과는 아미노 질소 함량이 최고치에 달하는 숙성 60일차에 최대값을 나타내다가 그 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Gel 여과에 의한 멸치젓갈의 획분별 ACE 저해효과를 검토한 결과, 획분 C(Fraction No. : 32~35) 및 D(Fraction No. : 40~44)가 가장 높은 ACE 저해작용을 나타내어 이들을 rechromatography하여 분리한 단일 획분인 C-f-1 및 D-e-1 획분의 저해효과는 각각 38.5%, 32.7%로 나타났다.
4. 소화효소는 pensin에 의한 탈지 멸치육 단백질의 가수분해에 따른 peptide-nitrogen의 생성량은 가수분해 12시간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그 후 20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ACE 저해작용도 가수분해 20시간째에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5. Gel 여과에 의한 탈지 멸치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획분별 ACE 저해효과를 검토한 결과, 획분 B((Fraction No. : 38~44) 및 D(Fraction No. : 57~61)가 가장 높은 ACE 저해작용을 나타내어 이들을 rechromatography하여 분리한 단일 획분인 B-a-1및 D-d-1 획분의 저해효과는 각각 25.7%, 33.4%로 나타났다.
Author(s)
이태기
Issued Date
1993
Awarded Date
199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산수산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67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0211
Department
대학원 식품공학과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식품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