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중년남성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Depression Recognized by Middle-Aged Male.
Abstract
본 연구는 중년남성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알고, 그들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 서울, 기타지역에 거주하는 413명의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가족스트레스, 우울, 자아분화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에 37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2.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년남성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는 우울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분화와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분화와 우울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스트레스 하위요인들과 자아분화의 하위요인들이 각각 우울에 다른 크기의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다. 셋째, 중년남성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고, 자아분화를 부분매개로 하여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년남성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가 자아분화를 매개로 하여 우울로 가는 경로를 보여주며, 중년남성의 우울을 낮추는데 있어서 가족스트레스의 해결 뿐 아니라 자아분화 수준 향상도 중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Depression recognized by Middle-aged mal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13 selected Middle-aged male located in Busan, Seoul and other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 from 372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FILE) scale, the Masculine Depression scale and the Self-Divis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22.0. The statistical data on the variables were enter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check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Stress recognized by Middle-aged mal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ecognized by Middle-aged male, Family Stres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vision of Middle-aged male, and Self-Divisio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vi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Depression recognized by Middle-aged male were partially medicated.
This study is significance in finding that although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tress and Depression that were recognized by Middle-aged male, Self-Division can reduce Depression.
Finally, the sugges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limitations and subsequent studie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uthor(s)
엄형준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중년 남성 가족스트레스 우울 자아분화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61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9503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Advisor
천성문
Table Of Contents
Ⅰ.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8
3.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1
1. 중년남성 11
2. 가족스트레스 13
3. 우울 16
4. 자아 분화 20
5. 변인들간의 관계 24
Ⅲ. 방 법 31
1. 연구대상 및 절차 31
2. 측정 도구 32
3. 자료 분석 36
Ⅳ. 결 과 37
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 분석 37
2. 측정변인 간 상관분석 38
3. 가족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40
4. 가족스트레스가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41
5. 자아분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43
6. 가족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44
7.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46
Ⅴ. 논 의 48
참고문헌 55
Abstract 70
부 록 7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