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패션 제품의 업사이클링을 위한 리디자인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Re-design for Upcycling of Fashion Products
Abstract
옷은 사람들의 생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패션의 빠른 유행 변화와 그로 인한 과소비는 패션 제품을 양산하는 등 다양한 환경이슈를 불러일으켰다. 본 논문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몇 가지 패션 제품 처리방식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패션디자인의 관점에서 새롭게 연구하였다. 또한, 패션 제품의 처리방안과 친환경 개념을 접목한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대효과를 가져오도록 하였으며, 패션 제품으로 발생하는 환경오염이 줄어들어, 독특하고 매력적인 제품으로 바뀌면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도록 하였다.
옷을 제작하는 것은 전문가의 영역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비전공자가 쉽게 헌 옷을 업사이클링 하기는 어렵다. 또한, 패션 제품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보호에 일조하는 것은 일부 전문가들의 참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서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업사이클링을 위한 쉽고 편리한 방법을 통해 대중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런 방법을 통해 자신의 패션 제품을 업사이클링을 함으로써 새 옷을 구매하는 비용을 줄이는 경제효과와 함께 패션 제품수거에 소요되는 다양한 환경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업사이클링을 위한 작품 병행을 함께 연구한 내용이다. 먼저 이론적 연구와 작품제작을 함께 하였다. 문헌연구조사를 통해 업사이클링의 개념을 확인하였고, 패션 제품의 업사이클링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패션 제품의 회수정책과 방식을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패션 제품 업사이클링 브랜드 사례를 조사하고, 그 특성을 분석한 뒤 각 브랜드의 특징과 제작방법을 정리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방향설정의 근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업사이클링 요소분석의 리디자인 방법을 참조해서 최종 8가지 작품을 제작하였다. 먼저 패션 제품의 재료를 분해하고 다시 형태적변경의 필요에 따라 디자인을 변경하였는데, 작품1부터 작품4까지는 해체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작품5부터 작품6까지는 패치워크방법을 사용하였다. 작품7은 장식방법을 사용하였고 작품8은 부자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업사이클링에 대한 디자인 방법을 체계화하고 일반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하였다. 또한, 이를 더욱 보급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리사이클링 관련 법안 제정, 교육, 기업참여, 기관협력, 시민들의 직접적인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논문은 친환경적이고 혁신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업사이클링 디자인방법에 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패션 제품과 같은 의류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통해 환경보호는 물론, 제품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 이런 다양한 연구와 노력을 통해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이 대중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환경을 보호하는 인식변화에 작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uthor(s)
교수연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패션디자인 업사이클링 디자인방법 패션 제품 소재 해체 패치워크 장식 업사이클링 부자재 업사이클링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63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9327
Alternative Author(s)
QIAO SUJU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
Advisor
조정형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5
Ⅱ. 이론적 고찰 8
1. 업사이클링 8
2. 업사이클링 산업 현황 24
Ⅲ. 패션 제품 업사이클링 디자인 브랜드 사례 분석 34
1. 패션 업사이클링 디자인 브랜드 사례 34
2. 업사이클링 디자인 특징 54
3. 업사이클링 사례 디자인 방법 57
Ⅳ. 패션 업사이클링 디자인 요소 분석 62
1. 소재 업사이클링 62
2. 색채 업사이클링 82
3. 스타일 구성 해체 업사이클링 90
V. 작품 제작 및 패션 제품 업사이클링 방법에 대한 조사 분석 97
1. 업사이클링한 패션 제품의 제작 준비 97
2. 작품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98
3. 작품 제작 과정 100
4. 패션 업사이클링 디자인작품 전시 및 관람자들의 인지도에 대한 대면조사 124
5. 패션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에 대한 조사 분석 135
VI. 결론 및 제안 154
1. 결론 154
2. 제안 159
참고문헌 162
부록 174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