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국어 성조 연구에 관한 역사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Historical Study on the Study of the Korean Tone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성조체계의 변화과정을 그동안의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어 성조 변화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한국에서 발표된 기존의 성조 관련 연구물을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중세 한국어는 단어의 높낮이가 변별력을 가지고 있던 성조언어였다.
중세 한국어 당시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자는 방점을 통한 성조 표기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미 15세기 중부 방언에서는 성조가 상당히 약화되어 가고 있었다. 이 추세는 갈수록 심해져, 16세기에는 그 혼란상이 극에 달했으며, 음고 악센트의 형태로 변화되었다가 결국 소멸되었다.
성조의 변화는 현대 한국어 방언을 공시적으로 분석할 때에도 확인되는 사실이다. 한국어 방언의 경우 그 전이지대에서 성조형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하고, 청년층의 언어에서도 그 변화가 확인된다. 이렇게 본다면 성조는 분명 고정불변의 것이 아닌 유동성을 지니고 있다. 중세 한국어 당시의 성조 논의 역시 성조의 ‘존재/부재’의 이분법적 성격이 아닌, ‘성조성의 정도’를 논해야 할 것이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자는 방점이라는 매우 독특하고 창의적인 성조 표기 방식을 고안하였으면서도, 그러한 표기 방식의 창제 원리에 대해서는 어디서도 설명을 하지 않았다. 현대의 연구자들도 지금까지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창제 원리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를 해왔지만, “평성은 점을 찍지 않고, 거성은 글자 왼쪽에 점을 하나 찍으며, 상성은 글자 왼쪽에 점 두 개를 찍는 방식”의 기원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앞으로 관심을 갖고 풀어 나아가야 할 과제이다.
이 형태소 성조언어는 15세기부터 조금씩 변화를 일으키더니, 16세기에는 큰 폭으로 변화하고 만다. 형태소마다 자신의 고유한 성조를 지니던 15세기 성조체계는 결국 16세기에 들어서는 각 어절에서 첫 거성의 위치만이 의미 있는 음고 악센트언어로 변하였다.
이렇게 볼 때 15세기 율동규칙의 예외였던 대부분의 예들은 그 이전 시기 해당 형태소 앞에 휴지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15세기 이전 어느 시점에는 문법형태소의 성조 정보가 중요하지 않았을 것이라 추정된다.
『계림유사(鷄林類事)』가 적힌 1103년과 『조선관역어(朝鮮館驛語)』의 상한선인 1408년 사이에 어미의 성조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당시의 어미 또는 문법형태소의 성조 정보가 중요하지 않았음을 지지한다고 하겠다. 결국 15세기에 보이는 형태소 성조체계가 발달하기 전에는 어휘 형태소의 성조만이 중요한 음고 악센트 체계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16세기에 접어들면서 전면적인 음고 악센트화가 진행된다.
지금까지 중세 한국어의 성조 소멸에 대해서는 다양한은 견해가 제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견해는 모두가 문헌어에 나타난 성조 표기의 변화를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그러나 중국, 일본과 동남방언의 성조가 천 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과 경흥방언의 성조가 백 년 동안에 아무 변화가 없었다는 사실은 불과 70년도 못 되는 기간 사이에 나타나는 문헌어의 성조표기 변화가 성조의 소멸은 아니다. 그러므로 그 기간에 나타난 성조 표기의 변화 원인을 다른 데에서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성조 연구는 방점의 본질, 중세 한국어, 중국 한자음과의 연관성, 방언 등 각 측면에서 접근이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그 중에서도 성조의 변화 양상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보았다. 이 점에 대해서는 필자는 뚜렷한 견해를 밝히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본다.
성조 연구에 있어서는 방점의 기원 문제,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자의 성조 인식 등 아직 밝혀야 할 과제가 많다. 이러한 문제는 향후 과제로 돌리고, 본고를 맺음을 하고자 한다.
Author(s)
WANG YONGZHUN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64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9607
Alternative Author(s)
왕영준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김희섭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5
3. 연구 방법 5

II. 선행연구 검토 7
1. 성조의 유래 7
2. 성조의 변천 11
3. 방점의 본질 18

III. 중세 한국어의 성조 27
1. 방점과 성조표기 27
2. 성조의 체계 36
3. 15세기 이전 성조의 체계 48
4. 15세기 성조의 변천 및 소멸 52

IV. 현대 한국어의 성조와 음조 78
1. 함경방언의 성조와 음조 78
2. 경북방언의 성조와 음조 94
3. 경남방언의 성조와 음조 105

V. 결론 116

* 참고문헌 119
* 국문초록 130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