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지하철 벽화에 대한 이용자 시각 영향 분석 연구
- Alternative Title
-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Korean and Chinese Subway Murals on Users' vision
- Abstract
- 본 연구는 지하철 공간에 설치된 지하철 벽화를 연구 대상으로 지하철 환경의 시각적 품질을 높이고 이용자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3개의 도시(서울, 부산, 대구, 베이징, 난징, 상하이)의 지하철 벽화를 선택하여 그것의 설치 현황과 환경 공간의 시각적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이용자 만족도에 대해 지하철 벽화의 선호도,조화성과 기능성 등의 측면을 분석. 연구하고 한국과 중국 지하철의 발전추세를 전망하여 한중 지하철 벽화의 시각적 영향 기능을 향상시키고 한중 지하철 벽화의 발전을 촉진한다.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지하철역 내부의 벽화작품에 나타난 특징과 시각적 측면에서 관련된 연구물을 고찰하고, 지역별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설치현황에 대하여 기존의 문헌과 현장답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기초 기술통계, 빈도분석과 일원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현장조사는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시각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대상 지역의 벽화작품 실태조사와 이용자의 인식에 관한 조사로 구분하여 한국과 중국의 6개 도시의 지하철역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벽화작품 중에서 24개의 벽화작품을 최종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중 6대 도시의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지하철 이용자들이 지하철역 내부에 설치된 벽화작품들에 대하여 어떠한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인지유무, 쾌적성, 벽화작품 설치의 필요성, 벽화작품 설치 시 중요요소, 벽화작품의 경관 저해요소, 벽화작품의 설치 시 선호형태, 벽화작품의 설치 시 선호재료, 벽화작품의 설치 시 선호내용, 벽화작품의 설치 시 선호장소, 벽화작품의 설치 시 선호크기, 벽화작품의 설치 시 선호색채 등을 조사하였다.
한중 6개 도시의 지하철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이 어떤 벽화작품을 선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성 변인이 무엇인지를 조사하여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선호도 (색채, 재료, 크기, 형태, 위치 및 내용)를 결정짓는 요인을 도출하고 지하철역의 지역특성과 벽화작품과의 조화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지역환경, 지역문화, 지역경제, 지역역명, 지 역역사 그리고 지역상징 측변에서 조화성 정도를 평가하며, 그리고 지하철역의 공공성 역할과 벽화작품의 기능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심미성, 상징성, 인지성, 정보성, 공간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중 지하철역 내부에 설치된 벽화작품에 대한 도시별 이용자의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색채는 서울, 북경, 상해, 난징, 대구 및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색채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재료는 북경, 서울 , 대구, 난징, 상해,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크기에 대한 선호도는 서울, 대구, 난징, 상해, 북경,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나타났고, 형태는 서울, 북경, 난징, 대구, 상해,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높으며, 위치는 난징, 대구, 서울, 북경, 상해,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나타났다. 내용에 대한 선호도는 서울, 난징, 부경, 대구, 상해,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하철역 내부에 벽화작품이 설치되었을 경우에 도시환경 요소로사 이용자들에게 지하철역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6개 지역 간 벽화작품의 시각적 선호도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점은 지하철역 내부의 벽화작품이 지하철역의 공간구성 요소와 시각적 조형요소가 상호 조화를 이룰수록 벽화작품에 대한 이용자들의 시각적 선호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중 지하철역의 지역적인 특성과 벽화작품에 대한 지역별 이용자를 대상으로 6개의 조화성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지역환경 요인은 대구, 난징, 서울, 북경, 상해 및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높았고, 지역문화 요인은 서울, 난징, 북경, 대구, 상해 및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높았으며, 지역경제 요인은 서울, 대구, 난징, 북경, 상해, 그리고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높았다. 지역역명은 서울, 난징, 대구, 북경, 상해 및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나타났고, 지역역사 요인은 서울, 난징, 북경, 대구, 상해 및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상징 요인은 서울, 난징, 북경, 대구, 상해 및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나타났다.특히, 한중 6개 지역의 지하철 벽화작품의 조화성 요인 중에서 난징지하철역과 서울지하철역 내부에 설치된 벽화작품은 부산지하철역의 벽화작품과 비교하여 설치된 벽화작품이 지역문화와의 조화성 정도가 매우 높고, 서울지하철역의 벽화작품은 부산지하철역과 비교하여 지역역명과과 지역상징과의 조화성 정도가 더 높으며, 난징과 북경 그리고 서울지하철역의 벽화작품은 부산지하철역에 비해 지역역사와의 조화성 정도가 높았다.이러한 연구결과는 지하철역의 벽화작품을 제작할 때 해당 지역의 문화적, 역사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설계한 것으로 평가된다는 점에서 앞으로 지하철역 내부에 벽화작품을 설치할 때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다른 지역의 지하철역 벽화작품과의 차별성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벽화작품이 각 지역의 시민들과 이용자들에게 친밀감을 주고 문화공간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시대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벽화작품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보여준다.
지하철역의 공공성의 기능과 설치된 벽화작품에 대한 기능성 정도를 분석한 결과, 심미성은 서울, 대구, 북경, 난징, 상해 및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높지만 지역 간의 차이는 없었다. 상징성은 서울, 대구, 북경, 난징, 상해 및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높고, 인지성과 정보성은 각각 서울, 대구, 난징, 북경, 상해 및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높지만, 서울지하철역이 부산지하철역과 비교하여 상징성, 인지성 및 정보성 정도가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성과 차별성 역시 서울, 대구, 부경, 난징, 상해 및 부산 지하철역 순으로 높지만 지역 간의 차이는 없었다.이러한 결과는 도시의 지하철역 내부에 설치된 벽화작품이 시각적 이미지를 비롯하여 벽화작품의 환경과의 조화성과심미성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쾌적하고 편안한 공간으로서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작품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셋째, 논문은 한중 6개 도시 지하철 벽화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그것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정리하고, 이용자와 예술가의 소통 강화, 다차원적 공간 발전,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개입과 생태형 디자인 등 4개 분야의 발전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도시 중에서 6개 지역의 지하철역 내부에 설치된 벽화작품들만을 조사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의 의견과 평가를 고려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을 비롯하여 해당 지역의 주민들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평가항목을 설정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조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Author(s)
- LEI BAOJIE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한국 중국 지하철 벽화 이용자 시각 영향 선호도 조화성 기능성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65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9005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Advisor
- 김명수
-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문제제기 및 연구 필요성 3
가. 문제제기 3
나. 연구 필요성 4
3. 연구범위 및 방법 7
4. 논문의 구성 9
5. 선행연구 11
가. 현대도시 벽화의 현황에 관한 연구 11
나. 현대도시 벽화의 개념정리에 관한 연구 13
다. 벽화 시각에 관한 연구 15
소결 20
II. 이론적 배경 21
1. 지하철 벽화의 기원 21
2. 지하철 벽화의 유형 22
3. 지하철 벽화의 기능 32
가. 방향안내 기능 32
나. 환경 개선 32
다. 시각 조절 33
라. 공간 조절 33
4. 지하철 벽화의 특성 34
5. 지하철 벽화의 계획요소 38
가. 지하철 벽화 표현형식의 물리적 요소 40
나. 지하철 벽화 설치 환경의 조화 요소 43
III. 한중 지하철 벽화 현황조사 분석 46
1. 조사 개요 46
가. 조사대상의 확정 46
나. 조사목적 및 내용 48
다. 조사기간 및 방법 49
2. 현황조사 분석 50
가. 한중 지하철 벽화 설치 상황 50
나. 공간구성의 현황 65
다. 작품재료의 현황 68
라. 표현방식의 현황 71
마. 표현색조의 현황 74
바. 작품 형태의 현황 76
사. 표현내용의 현황 77
3. 지하철 벽화 현황조사 결과 79
IV. 한중 지하철 벽화가 이용자에게 미치는 시각적 영향 분석 83
1. 조사 개요 83
가. 조사목적 및 내용 83
나. 조사기간 및 방법 83
2. 연구대상 84
3. 조사도구 87
가. 연구대상의 기본 특성 87
나. 지하철역 벽화작품 의식조사 질문지 87
다.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시각적 선호도, 조화성 및 기능성 질문지 88
4. 자료분석 91
5. 연구결과 검증 91
가. 기초 통계분석 91
나. 지하철 벽화작품에 관한 의식조사 분석 93
다. 한중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시각적 선호요인 차이 분석 112
라. 한중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조화성 차이 분석 115
마. 한중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기능성 차이 분석 120
바. 한중 지하철역 벽화 이미지에 대한 종합분석 결과 126
6. 한중 지하철 벽화의 문제 도출 130
가. 대중과의 소통이 부족한 벽화 디자인 131
나. 단일한 지하철 벽화 공간 표현 131
다. 진부한 지하철 벽화 표현 형식 132
V. 한중 지하철벽화 예술의 발전 방향 제시 133
1. 예술가와 이용자의 소통 강화 134
2. 다차원 공간 발전 137
3.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개입 140
4. 지하철 벽화의 생태형 디자인 트렌드 142
소결 144
VI. 결론 145
1. 연구결과 요약 145
2. 연구의 한계 및 미래 연구방향 150
참고 문헌 152
Abstract 161
부록 164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