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ological analysis of the cross-fault damage zone across the Jakgwaecheon section of the Yangsan Fault
- Alternative Title
- 작괘천 구간을 가로지르는 양산단층의 단층손상대에서의 위상기하학적 특성 연구
- Abstract
- 일반적으로, 상부지각에서 전단운동으로 인한 취성변형작용으로 만들어진 단층대는 단층핵과 단층손상대로 구분되고, 이들의 경계에는 혼합대가 발달 할 수 있다. 단층대를 가로질러 발달하는 특성으로 단층대를 단층핵과 단층손상대로 구분하는 기준이 확립되어 있고, 특히 단열밀도(혹은 누적단열밀도)의 변화로 이들을 정량적으로 구분하는 기준이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하학적 특성(단열밀도) 분석만으로는 단열계를 이루는 개별 단열 간의 공간적 관계를 정량화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위상기하학적 특성(연결성)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위상기하학은 공간적 객체 간의 배열과 기하학적 관계를 설명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며, 객체가 존재하는 공간의 연속적인 변형에 대해 변하지 않는 속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단열계의 위상기하학적 요소인 노드와 브랜치의 각 유형별 개수를 수학적으로 조합하여 단열계의 연결성을 정량화하는 매개변수인 브랜치 당 연결 개수(CB)를 구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양산단층대를 횡단하며 흐르는 작괘천 인근 노두에 있는 단열계들의 기하학적, 위상기하학적 특성의 변화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기하학적 특성은 주단층과의 거리에 따른 변화 패턴이 확인되지 않는 반면, 위상기하학적 특성은 주단층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패턴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지역의 단층손상대 너비를 4.82 km로 제안하였고, 기존의 기하학적 특성과 함께 위상기하학적 특성의 변화도 단층손상대의 너비 설정에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 Author(s)
- 손효록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72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3473
- Alternative Author(s)
- Hyorok So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 Advisor
- 김영석
-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and rationale 1
II. Geological Settings 6
2.1. Geological settings of study area 6
III. Methods 11
3.1. Theoretical background 11
3.1.1. Topological analysis of fracture networks 11
3.1.2. Circular sampling 16
3.2. Data collection in field 19
3.3. Data processes 19
3.3.1. Merging images using Metashape 19
3.3.2. Trace mapping, geometrical topological analysis using Qgis 20
IV. Results 21
4.1. Geometrical and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d fracture networks with distance from the main fault 29
4.1.1. Results of 1D intensity 29
4.1.2. Results of 2D intensity 29
4.1.3. Results of connectivity 30
V. Discussion 33
5.1. Factors of variation trends of parameters 33
5.1.1. Subsidiary faults 34
5.1.2. Error of circular sampling 38
5.2. Fault damage zone width based on the connectivity of fracture networks 39
VI. Conclusions 41
References 4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지구환경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