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공급업체 관리에 있어서 구매-공급 담당자 간 신뢰수준의 역할에 관한 실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Empirical Study on the Role of Trust Level between Purchasing and Supply Managers in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 Focused on companion animal food & supplies industry
Abstract
For corporate executives, the world has become smaller and competition has intens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supply chain management, as adapting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has become more critical to maintain competitiveness, the importance of stable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to compensate for the resulting unstable situation has also increased proportionately.
The key aspect to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is trust and performanc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buyer-supplier trust, especially focusing on the manager-level employees. The research empirical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It then compared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and between executiv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Further study was done to see if any directional influence on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correlates with the level of trust between execu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using variables measured through a survey from managers in companion animal food/supplies industry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managers, the work support level between managers, the level of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managers and the executives’ efforts to increase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However, the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trust between executives has an influence on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was not supported.
The positive influence that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had on the business performance turned out to be very strong. Also, the result showed that the work support level between managers and the level of trust between executives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In contrast,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from the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managers, the level of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managers and the executives’ efforts to increase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was not supported. Despite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and the level of trust between executives both having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had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en conducted on industries that have lacked empirical research on trust, thereby expanding the research area to a new industry. It's also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conducted by specific class, because the survey was focused on a manager level. In addition, recognizing the research results that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can be enhanced through the effort of executives, executives should pay attention to, periodically check, and actively strengthen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to improve the level of trust of companies.
경영자들에게 있어 세상은 좁아졌고 경쟁은 치열해졌다. 공급망 관리 관점에서는 빠른 변화에 대한 적응이 점점 더 중요한 경쟁력이 되어 갈수록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정한 상황을 보완하기 위한 안정적인 공급자 관계 관리의 중요성 또한 비례적으로 커지고 있다.
공급자 관계 관리의 핵심은 신뢰와 성과이다. 본 연구는 구매자-공급자 간 신뢰에 관한 요소들을 특히 담당자 계층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담당자 간의 신뢰 수준과 사업성과를 결정하는 결정 요인들을 실증 분석해 보고, 경영자 간의 신뢰수준과 담당자 간의 신뢰수준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였으며, 경영자 간 신뢰수준이 담당자 간 신뢰수준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의 영향력이 있는지도 확인해 보았다.
반려동물 사료/용품 산업에 종사하는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측정된 변수들을 활용한 연구 결과는 담당자 간의 접촉빈도, 담당자 간의 이슈 대응 업무지원 수준, 담당자 간의 정보교류 수준 그리고 경영자의 담당자 간 신뢰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담당자 간 신뢰수준에 긍정의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경영자 간 신뢰수준이 담당자 간 신뢰수준에 영향력이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사업성과에 대한 담당자 간 신뢰수준은 매우 높은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담당자 간 이슈 대응 업무지원 수준과 경영자 간 신뢰수준 역시 사업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담당자 간 접촉빈도나 담당자 간 정보교류 수준 그리고 경영자의 담당자 간 신뢰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사업성과에 대한 긍정의 영향력이 지지되지 않았다. 사업성과에 공히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담당자 간 신뢰수준과 경영자 간 신뢰수준 중에는 담당자 간 신뢰수준이 더 큰 영향력이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신뢰에 관한 실증연구가 부족했던 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해당 산업으로의 연구영역 확대라는 점과 신뢰수준에 대한 담당자 차원의 계층별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담당자 간 신뢰수준은 경영자의 관심과 노력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인지하고, 경영자는 기업 간의 신뢰수준 향상을 위해 담당자 간의 신뢰수준에 관심을 두고, 주기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며, 적극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Author(s)
김기민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신뢰 담당자 간 신뢰수준 경영자 간 신뢰수준 사업성과 공급자 관계 관리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74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1180
Alternative Author(s)
Ki Min Kim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경영컨설팅협동과정
Advisor
조찬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5

Ⅱ. 이론적 배경 8
1. 공급망 관리 8
2. 공급자 관계 관리 10
3. 신뢰의 개념 12
4. 관계기반 관점의 신뢰와 절차기반 관점의 신뢰 15
5. 신뢰와 성과 17
6. 반려동물 사료/용품 산업 현황 21

Ⅲ. 연구모형과 가설 설정 25
1. 연구모형 25
2. 신뢰수준과 관련된 가설 설정 29
3. 사업성과와 관련된 가설 설정 33

Ⅳ. 연구 방법 38
1. 표본과 자료수집 38
2. 신뢰성 검정과 타당성 검정 44
3. 상관관계 분석 47

Ⅴ. 실증분석 결과 48
1. 신뢰수준과 관련된 가설검정 결과 48
2. 사업성과와 관련된 가설검정 결과 53
3. 표본 구분 후 가설 검정 결과 58

Ⅵ. 결론 66
1. 분석결과 요약 66
2. 연구의 시사점 69
3. 연구의 한계점 72
4. 향후 연구 방향 73

참고문헌 74

설문지 89

논문요약 102

(감사의 말씀) 104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경영컨설팅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