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기술수용모델과 가치기반수용모델을 기반으로 한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MyData Service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Value-Based Acceptance Model
Abstract
최근에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디지털기술이 발전하면서 데이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인데이터와 금융데이터는 매우 중요하면서 해킹될 경우 리스크가 높아서 개인데이터와 금융데이터를 수집, 관리 및 보호를 개선할 수 있는 신기술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세계적으로 국가마다 다양한 기업들이 개인 데이터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도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마이데이터라는 산업을 도입하였다. 마이데이터를 통해 개인은 개인데이터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가지며 개인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직접 관리하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사용을 위한 편리성, 보안 및 개인정보 누출위험이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것은 목적으로 한다. 기술수용모델과 가치기반수용모델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지각된 유용성, 프라이버시 위험과 지각된 비용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가치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앞으로 연구에서는 거주, 지역, 소득, 사회적 영향 등 변수를 추가 조사하여 더욱 의미 있는 연구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digital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data is increasing. In particular, since personal information data and financial data are very important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hacked is high, new technologies that can improve the collection,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personal data and financial data have begun to appear. In the world, various companies have appeared in each country and are providing personal data management support services. In Korea, an industry called My Data was introduced to ensur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o protect personal data. Through My Data, individuals hav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ver personal data and can actively directly manage and utilize this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nvenience, security, and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for using the My Data service on the intention to use the My Data service using the value-based acceptance model.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value-based acceptance model.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is research model.
Looking at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n this study, perceived usefulness, privacy risk, and perceived cost were identified as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perceived value. Perceived ease of use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valu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MyData service.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ample size was small whe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future research, we believe that variables such as residence, region, income, and social influence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and a more meaningful study can be made with a variety of samples.
Author(s)
PAK VLADIMIR VITALEVICH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75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3396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Departmen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Advisor
옥영석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II. 이론적 배경 3
1. 마이데이터 3
2. 마이데이터 관련 선행연구 7
3. 기술수용모델 및 가치기반수용모델 8
4. 기술수용모델 및 가치기반수용모델 관련 선행연구 10
III. 연구방법 12
1. 연구모형 12
2. 연구가설 13
3. 조작적 정의 15
IV. 연구결과 16
1. 자료수집 16
2.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17
3. 가설 검증 18
V. 결론 21
참고문헌 2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기술경영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