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대만 '동성 결혼 합법화'에 대한 뉴스 프레임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News Frame Analysis on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Study in Taiwan: Focusing on Taiwan's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Media
Abstract
본 연구는 대만의 4대 언론사(연합보, 중국시보, 자유시보, 빈과일보)를 중심으로 진보언론과 보수언론이 의 사회운동 과정에서 언론의 프레임 발전과 변화, 그리고 진보언론과 보수언론의 프레임에서의 사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탐구한다. 본 연구는 Semetko와 Valkenburg (2000)가 제시한 5가지 프레임(책임 귀인, 인간 흥미, 갈등, 도덕, 경제)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했다. 분석 시기는 대법관이 민법에 대해 헌법 해석을 하기 전, 헌법 해석 후부터 동성결혼 합법화 통과까지 및 합법화 통과 이후의 프레임 변화 등 총 3가지 시기로 나눴다.
분석 결과, 제1시기 및 제2시기의 경우는 책임 귀인 프레임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수언론들은 책임 귀인 프레임을 더 많이 썼다. 책임 귀인 프레임은 보수언론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이 가운데 보수 성향의 는 다른 3개 언론사보다 책임 귀인 프레임을 자주 사용했다. 갈등 프레임은 두 번째로 자주 사용되는 프레임이다.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대만의 보수언론과 진보언론 간 갈등 프레임을 쓰는 경우가 다르지 않았다. 갈등 프레임이 정치 뉴스와 함께 나오는 이유 중 하나는 국가 정치체제의 관계일 수 있다. 대만의 의회도 다당제로 구성돼 정부와 야당 간의 갈등뿐만 아니라 정당 내 지지 편과 반대편 간의 갈등도 존재한다(Semetko, & Valkenburg, 2000). 그래서 보수든 진보든 갈등 프레임을 쓰는 데 차이가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인간 흥미 프레임도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해 진보언론은 인간 흥미 프레임을 비교적 강조한다. 진보언론은 인간 흥미 프레임을 쓸 때 대부분 동성애에 관한 개인적인 이야기인데, 보수언론은 동성애에 관한 개인적인 이야기 이외에도 반동성애자 개인의 이야기를 함께 서술한다. 그래서 기사 내용을 쓸 때 (여러 측면에서 피해를 입은) 피해자 관련 뉴스에 인간 흥미 프레임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An, & Gower, 2009). 도덕적 프레임은 자주 사용되지 않지만, 미디어는 도덕, 신 또는 기타 종교적 교리를 언급하거나 행동 방법에 대한 특정 사회적 규정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경제 프레임은 그리 많이 나오지는 않았는데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보수언론 보도에 경제 프레임이 더 많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 프레임은 문제 해결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의 총체적 비용을 보도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인다.
제3시기를 제1시기 및 제2시기와 구분하는 이유는 이 사회적 의제의 가장 큰 주된 소구-동성결혼 합법화 실현-이 달성된 이후 언론의 관심은 다른 의제로 옮겨갔고, 찬반 사회 이익 단체들의 활동도 이만큼 활발하지 못했다. 의제 열기가 크게 떨어지고 언론도 의제에 열광하지 않으니 프레임 사용에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은 큰 차이가 없다.
Author(s)
KO, YI-CHEN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프레임 연구 동성결혼 사회운동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75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3830
Alternative Author(s)
柯宜真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이상기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II. 이론적 배경 5
1. 프레임 연구에 관한 이론적 논의 5
가. 뉴스 프레임 5
나. 프레임 유형과 특성 9
(1) 언론사 프레임 10
(2) 뉴스 개인 프레임 10
(3) 텍스트 프레임 11
다. 사회운동에서의 프레임 14
라. 프레임 연구방법 19
2. 동성결혼 관련 선행연구 검토 20
가. 동성결혼 관련 선행연구 검토 20
나. 아시아 최초 동성 결혼 합법화 국가인 대만 22
(1) 동성 결혼 합법화 과정에 따른 대만인 인식 변화 22
(2) 동성 결혼 인식 관련 선행연구 검토 25
(3) 동성 결혼 합법화와 사회 변화 26
다. 대만 동성결혼 합법화 시기별 특징 27
3. 대만 언론사의 특징과 정치적 성격 36
가. 언론사별 배경 및 역사 36
나. 언론사별 사회정치적 성격 39
다. 대만 언론 보도경향과 선행연구 40
Ⅲ. 연구문제 및 연구 방법 43
1. 연구문제 43
2. 연구 대상 43
가. 프레임 측정 43
(1) 프레임과 문항 설명 43
(2) 문항 측정 설명 44
나. 분석 대상 54
다. 분석 시기 55
라. 분석 단위 및 선별 방식 56
마. 프레임 분석 58
(1) 신뢰도 검증 58
Ⅳ. 연구결과 61
1. 기사 보도량과 기사 유형 분포 61
2. 시기별, 언론사별에 따른 프레임 변화 65
가. 제1시기 65
나. 제2시기 67
다. 제3시기 68
라. 언론사별와 시기별 프레임 차이에 대한 소결 69
3. 진보 언론사와 보수 언론사 3시기 중 각 프레임의 변화 차이 71
가. 제1시기 71
나. 제2시기 72
다. 제3시기 73
라. 진보와 보수 언론사 시기별 프레임 차이에 대한 소결 74
(1) 테이터 분석 74
(2) 기사 내용분석 78
(3) 동성결혼 합법화 중에 언론사 보도경향 79
V. 결론 82
1. 연구결과 논의 및 함의 82
2. 연구 한계와 미래 전망 91
참고문헌 94
부록 104
국문 초록 106
감사의 글 10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