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의 대학원 진학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생의 대학원 진학동기와 교육만족도의 관계에서 대학소속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05부를 회수하였고, 결측치와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29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후 Baron &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원생의 대학원 진학동기, 대학소속감, 교육만족도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원 진학 내적동기는 대학소속감을 부분매개하여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원 진학 외적동기는 대학소속감을 완전매개하여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원 교육만족도에 대학원 진학동기와 대학소속감이 유의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대학원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대학원생의 다양한 진학동기를 충족하면서 대학소속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들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대학원 진학동기가 대학소속감을 통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이 지식과 역량을 갖춘 석·박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university belonging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uate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entrance motiv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this, a total of 305 copie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graduate students nationwide, and the final 291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missing values and insincer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7 statistical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n Baron and Kenny’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graduate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entrance motivation, sense of belonging to a universit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it wa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to enroll in graduate school partially mediates a sense of belonging to the university and affects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extrinsic motivation to enroll in graduate school completely mediates a sense of belonging to the university and affects educational satisfaction.
Thes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graduate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entrance motivation and a sense of belonging to the university act as significant variables in graduate education satisfaction.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rriculum and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university while satisfying the various motivations to enroll in graduate school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with graduat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a curriculum for universities to cultivate master and doctorate personnel with knowledge and compete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graduate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entrance motivation to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a sense of belonging to the university.
- Author(s)
- 권현주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대학원생 대학원 진학동기 대학소속감 교육만족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75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3583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
- Advisor
- 주동범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가. 대학원 진학동기 7
나. 대학소속감 7
다. 교육만족도 7
Ⅱ. 이론적 배경 8
1. 대학원 진학동기 8
2. 대학소속감 10
3. 교육만족도 12
4. 대학원 진학동기, 대학소속감, 교육만족도의 관계 14
Ⅲ. 연구 방법 17
1. 연구대상 및 방법 17
2. 측정도구 19
가. 대학원 진학동기 척도 19
나. 대학소속감 척도 20
다. 교육만족도 척도 20
3. 자료 처리 22
Ⅳ. 연구 결과 23
1.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23
2. 개인적 배경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24
가.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24
나. 연령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26
다. 학위과정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27
라. 전공계열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29
마. 재학형태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32
바. 대학소재지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33
사. 대학설립형태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34
3. 대학원 진학동기, 대학소속감 및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 36
가.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 36
나. 하위변인 간 상관관계 37
4. 대학원 진학동기, 대학소속감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9
가. 대학원 진학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9
나. 대학소속감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0
5. 대학원 진학동기와 교육만족도의 관계에서 대학소속감의 매개효과 41
Ⅴ. 결론 및 논의 45
참고문헌 52
Abstract 59
부록 61
1. 대학원 진학동기 척도 61
2. 대학소속감 척도 62
3. 교육만족도 척도 6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교육컨설팅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