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보육교사의 직무자율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직무자율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에서 환경적인 요인이 조직구성원들의 가치와 신념 등과 결합하여 조직 행동의 규범이 되는 조직문화 간의 관계와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00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전체 데이터 분석 후 모호한 데이터를 제외한 27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직무자율성, 잡크래프팅, 조직문화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직무자율성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직문화의 하위요인별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자율성은 잡크래프팅,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관계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잡 크래프팅은 조직문화의 하위요인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직무자율성과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중 관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위계문화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nd regulation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s in which environmental factors are combined with the values and beliefs of those members in the influence of job autonomy on job crafting.
In this study, 30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a daycare center in Busan were randomly selected and completed the surveys. Then, it used 270 copies for the final data analysis, excepting ambiguous data.
The data were analyzed in two categories as follows. Fir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job autonomy,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for each organizational culture sub-factor to probe the regulation effect of that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job autonomy and job crafting of childcar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autonomy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crafting and sub-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Furthermore, job crafting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showed a significant regulation effect on job autonomy and job crafting. Still, the regulation effect of hierarchical culture was not significant.
Author(s)
송영술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77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3370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Advisor
이정화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8
3.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1
1. 직무자율성 11
2. 잡 크래프팅 15
3. 조직문화 21
4. 직무자율성, 잡 크래프팅, 조직문화 간의 관계 28
Ⅲ. 연구방법 31
1. 연구대상 31
2. 연구도구 33
3. 연구절차 36
4. 자료 분석 방법 37
Ⅳ. 연구결과 38
1.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38
2.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39
3. 직무자율성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41
Ⅴ. 논의 및 결론 51
1. 연구결과 및 논의 51
2. 제언 5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