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과정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이들의 문화적응과정에서의 경험이 한국사회에서의 삶을 살아가는데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생활 중 문화적응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어떻게 조화롭게 살아가는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 사회에서 8년 이상 거주하며 연구주제에 맞게 문화적응 과정에서의 경험을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는 6명의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입국 초기에는 문화적 충돌을 경험하여 혼돈의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에는 주로 ‘일방적인 한국 문화 받아들이기’의 동화 유형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 적응이 끝나고 부터는 가족들과 함께 미래에 대한 불안과 기대를 공존하며 자격증 취득, 자녀에게 모국어 가르치기 등 다양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기 거주화로 들어선 이들은 개인적인 차원의 친구, 지역주민, 학부모, 지역사회기관 등 사회적 관계망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그들의 정체성과 한국문화를 유지하는 통합 유형의 형태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정착 단계별 맞춤형 서비스 지원과 더불어 취업 지원 및 네트워크 활성화시키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daptation proces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particular, the purpose was to find out what their experiences in the cultural adaptation process meant in living life in Korean society. First of all, what is the cultural adaptation experienc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n life? Second, how do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e in harmony?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6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lived in Korean society for more than 8 years and can express their experiences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richly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cultural conflict in the early stages of entry and were in a period of confusion. During this period, it appeared mainly in the form of a fairy tale type of 'one-sided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Second, after the initial adaptation, it was found that various efforts such as obtaining a certificate and teaching a native language to children, coexisting anxiety and expectations for the future with family members. Third, those who entered the long-term residence showed an integrated form of maintaining their identity and Korean culture by actively interacting with social networks such as friends, local residents, parents, and community institutions at the individual level.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ways to support employment support and activate networks along with customized service suppor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by settlement stage.
Author(s)
조민경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적응 질적연구 현상학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80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2633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Advisor
김선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여성결혼이민자의 이해 8
2. 여성결혼이민자 관련 정책 14
3.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16
4.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관련한 선행연구 25
Ⅲ. 연구방법 29
1. 현상학적 연구 29
2. 연구 참여자 선정 30
3. 자료수집 31
4. 자료분석 32
Ⅳ. 연구결과 35
1. 연구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5
가. 연구참여자 특성 35
나. 연구참여자에 대한 이해 36
2.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과정에서의 경험 39
가. 혼돈: 문화적 충돌 경험하기 40
(1) 음식 차이 경험하기 40
(2) 명절문화 차이 경험하기 42
(3) 시부모님과 마찰 경험하기 43
(4) 사회적 차별 경험하기 45
나. 불안감과 기대감 공존: 앞으로의 한국 생활에 대한 불안 대비 및 기대하기 47
(1)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자격증 취득하기 48
(2)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에 대한 관심 가지기 50
3. 조화: 사회적 관계망 내 적극적 상호작용을 통한 자기 성장과 사회구성원으로 스며들기 51
가. 가족으로부터 지지받기 51
나. 친구, 직장 동료로부터 도움받기 52
다. 학부모 모임으로부터 정보 공유 및 인정 받기 53
라. 지역사회기관 및 지역주민으로부터 지원 받기 55
Ⅴ. 논의 및 결론 57
참고문헌 61
부록 6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