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영상광고의 편집기법에서 시각적 리듬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dvertising Effect with Visual Rhythm in the Editorial Method of Video Advertising
Abstract
영상 광고에서 리듬은 창작상의 중요한 부분이며 디자인 예술 영역에서 깊이 연구되어야 할 주제이다. 디자이너들은 영상 매체 실현 중 리듬을 장악하고 이론과 실천에 있어서 리듬을 분명히 나타내기 위해 애쓴다. 또한 리듬은 심미적 요소로서 영상 광고의 각 요소를 관통한다. 좋은 리듬은 보는 이로 하여금 즐거움과 구매욕구를 일으킨다. 영상 광고는 실천성이 매우 강한 창작 작업으로 숙련된 컷 편집과 영상언어의 운용이 필요하며, 후기 디자인 제작에서 리듬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영상 광고의 구조와 장면을 편집할 때는 여러가지 요인과 가치 지향점이 고려돼야 한다.
표현에서 반드시 달성해야 할 첫 단계는 소비자의 주의를 끄는 일이다. 주의 없이 이해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다뤄지는 리듬에 관한연구 역시 시각적 즐거움과 함께 주의력의 문제를 다룬다.리듬은 시각적 부담감을 완화시키고 이어지는 리듬감에 의해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하면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유용한 표현방법이다.
연구대상은 영상광고를 중심으로 표현별로 분류하고 선행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대상 광고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 조사기법에 의해 광고효과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리듬광고가 일반적인 광고에 비해 주목도, 호감도, 회상도 측면에서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시각적 리듬의 유형별 호감도는 컷 편집 형, 영상 관계형, 편집점형의 세 가지 유형 중 컷 편집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형별 선호도가 비슷하게 나타나 유형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는 크지 않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리듬은 영상제작물 뿐만 아니라 다른 제작물에서도 리듬효과가 드러나는 것이 발견됐으며, 영상과 사운드 같은 곳에서도 시각적 효과 외에도 동일한 리듬효과가 드러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세 번째, 리듬표현에 의한 편집기법은 기존의 광고표현과 차별화되는 개성적 표현방법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표현의 전략 차원에서 심도 있는 연구가 이어진다면 주의력을 기초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표현방법으로 일반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Author(s)
장계도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상 광고 리듬 심리학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80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1810
Alternative Author(s)
ZHANG JITA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장청건
Table Of Contents
제1장.서론 1
1.연구 배경 및 목적 1
2.연구 범위 및 방법 3
제2장.이론적 배경 4
1.시각적 리듬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1.1.시지각에 대한 선행연구 4
1.2.시각적 광고와 리듬효과에 대한 연구 5
1.3.리듬의 개념과 특성 6
1.3.1.반복(Repetition) 8
1.3.2.점층(Gradation) 10
1.3.3.방사적 배열(Radiation) 11
2.영상광고 리듬에 관한 심리학적 고찰 12
2.1.영상광고 리듬과 시지각 심리 12
2.2.영상광고 리듬에 대한 게슈탈트 심라학의 영향 14
2.3.영상광고 리듬에 대한 인지 심리학의 영향 20
3.영상광고에서 리듬의 역할과 가치 23
4.디지털 시대의 영상광고 28
4.1.시대적 트렌드를 선도하는 영상광고 28
4.2.감정의 상호작용을 추구하는 영상광고 29
4.3.새로운 자원을 창출하는 영상광고 29
제3장.리듬에 기반한 영상광고의 편집기법 31
1.영상광고 리듬의 유형 31
1.1.전체리듬과 평행편집 31
1.2.내부리듬과 외부리듬에 따른 조각화 편집 35
2.몽타주 기법과 컷 편집 38
2.1.서사 몽타주 기법에 기반한 연속편집 39
2.2.표현 몽타주 기법에 기반한 연속편집 41
3.롱테이크와 짧은 쇼트의 조합을 활용한 폅집 43
4.컷 편집의 논리성 47
5.편집점의 정확성 50
6.리듬 곡선 변화의 적절성 55
7.영상과 사운드의 대위적(对位的) 관계 58
8.리듬에 기반한 영상광고 편집 사례: 61
8.1.리듬과 편집률 65
8.2.리듬과 쇼트의 압축 67
제4장.리듬광고 효과조사 및 분석 72
1.연구모형 72
2.연구가설의 설정 73
3.광고선정 및 조사방법 74
4.설문내용 74
5.자료분석 75
결과분석 75
1.조사 대상자의 특성 76
2.제품별 리듬광고의 태도 77
2.1.음료광고의 리듬에 대한 태도 77
2.1.1.주목도 77
2.1.2.호감도 79
2.1.3.회상도 81
2.2.자동차광고의 리듬에 대한 태도 83
2.2.1.주목도 83
2.2.2.호감도 85
2.2.3.회상도 87
2.3.운동화 광고의 리듬에 대한 태도 89
2.3.1.주목도 89
2.3.2.호감도 91
2.3.3.회상도 93
2.4.술 광고의 리듬에 대한 태도 95
2.4.1.주목도 95
2.4.2.호감도 97
2.4.3.회상도 99
3.조사대상 특성에 따른 광고에 대한 태도 101
3.1.리듬 광고에 대한 태도 101
3.1.1.다른 성별의 주목도, 호감도, 회상도 101
3.1.2.다른 연령 의 주목도, 호감도, 회상도 101
4.조사대상 특성에 따른 리듬광고 유형별 선호도 102
4.1.컷 편집형 광고의 태도 102
4.1.1.연령 특성에 따른 태도의 차이 102
4.1.2.성별 특성에 따른 태도의 차이 102
4.2.영상 관계형 광고의 태도 103
4.2.1.연령 특성에 따른 태도의 차이 103
4.2.2.성별 특성에 따른 태도의 차이 103
4.3.편집점형 광고의 태도 104
4.3.1.연령 특성에 따른 태도의 차이 104
4.3.2.성별 특성에 따른 태도의 차이 104
5.리듬 광고와 일반 광고의 차이 105
5.1.주목도의 차이 105
5.2.호감도의 차이 105
5.3.회상도의 차이 106
6.반응 측정의 상관 관계 107
6.1.음료 광고의 각 태도별 상관관계 107
6.2.자동차 광고의 각 태도별 상관관계 109
6.3.운동화 광고의 각 태도별 상관관계 111
6.4.술 광고의 각 태도별 상관관계 113
제5장.결론 및 제언 115
가설 검증 결과 115
1.가설1 결과 115
2.가설2 결과 116
3.가설3 결과 117
4.가설4 결과 118
5.연구 결과 및 종합 119
참고문헌 125
Abstract 130
부록(설문지) 13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마린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