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도시 부산 지하철 환승역 사인 시스템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고령화 사회를 중심으로-
- Abstract
- 시대의 발전과 의학의 진보에 따라세계적으로 고령화 현상이 급속히확산되고있다.과거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전 세계가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인구 구조의 급속한 전환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보건 및 사회 시스템 확보가 요구된다(세계보건기구,2021, 10.4).
이런상황에서초 고령화국가인대한민국이안고있는사회문제는쉽게 간과할 수 없다. 사회 공공시설의기능, 특히지하철역의공공시설은 인구구조변화를 반영해야한다.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을 조사한 결과 노인들이 지하철역을 이용할 때 안내표지의 식별과 파악이 어려워 길을 잃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지하철 사인시스템은 단순히 일반인 승객의 필요만을 충족시켜서는 안되며 노인 승객을 배려할 필요가 있다. 더욱 인간중심적이며 정신적으로 배려하는 사회 공공시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안내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지하철 안내 시스템의 문제를 간과할 수 없다.
조사를 통해 노인들은길을잃거나길을잘못찾아겪는 문제가 많은것으로 파악됐다.지하철 역 사인시스템의 기능은 노인의 행동과 지하 공간의 질서 및 공간적 특성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기능의 설계는 지하 공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지금의 교통 계획 및 설계는 교통 수송에 편중되어 있어 사인시스템 기능은 공간의 구분과 양식의 통일에 치중할 뿐이며, 노인 승객과 지하 공간의 상호작용과 수요, 기능 설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체계적이고 승객 맞춤형 기능 설계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고령화 배경의 지하철 사인시스템 기능 설계의 정교함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하철 사인시스템 디자인의 영향요인, 가치, 체계, 방법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며, 고령화 사회에 적합한 기능의 지하철 사인시스템 방안을 객관적으로 구축하여 도시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공 사인시스템 디자인 분야의 발전을 위한 방향성 있는 조언을 제시해야 한다.
본연구는해양도시 부산 지하철의11개환승역의사인시스템과노년층이용자의이용현황에대한현지조사및인터뷰조사와국내외학자들의연구를연계하여지하철역사인 시스템의기능적영향요인 및 노년층이용자의실수요에대한연구를진행했다.고령화 사회 및 그에 따른 사인 디자인 기능의 상관관계 연구를 통하여 공공 사인 시스템의 분류 체계 및 고령화 사회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정리한다. 또한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 수요와 객관적인 지하철 사인시스템 디자인 평가 방안을 도출하여 노년층에 대한 사회 공공환경 시설 수요를 반영한다. 고령화에따른지하철사인 시스템기능성을객관적이고포괄적이며정확하게반영할수있는평가체계를마련하기위해노인의신체기능, 행동습관및 사인 시스템기능에 대한 수요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여고령화에따른지하철역 사인 시스템의영향요소를분석하였다.이에 따라 심미성, 통일성, 가독성, 환경성, 유용성, 안전성, 명료성및 접근성의 8개 평가 요소를 도출했다. 델파이(Delphi)기법과 AHP분석법을 채택하여사인시스템평가체계에대한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평가체계를 구축하였으며,고령화에따른지하철 역사인 시스템의영향요인에 대한 심층 연구와노인행동특성관련이론연구를결합해두차례에 걸친델파이(Delphi)분석을 통하여평가체계, 평가지표및기준을 세웠다.
이후 AHP 분석법을이용해각 지표별가중치지수를정하였으며, 각 항목 분석을 통한 가중치지표 순위는유용성(0.312), 가독성(0.213), 접근성(0.156), 안전성(0.121), 명료성(0.075), 환경성(0.053), 통일성(0.04), 심미성(0.03)이다.
본 연구의 평가체계에서는 유용성의 대상층을 노인의 시각적 특성, 기억력, 행동 특성 등을 종합하여 지하철 사인시스템의 제반 기능이 효과적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정의하고 있으며, 평가대상(지하철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대한 노선의 계획성과 과학성, 사인시스템 디자인 정보 표현의 명료성, 표현성 등에 대한 기준을 세워 실행한다. 평가체계 가중치 2위인 가독성 항목은 사인시스템에서 노인이 길을 찾는 과정에서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독성 항목 평가에서 노인의 시력과 이해도를 결합하여 사인시스템이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지하철 역 안내 표지판 정보의 완성도, 언어 유형, 정보 설명의 명료함 등을 평가했다. 접근성은 노인의 원활한 접근을 보장하는 요소로서 평가체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평가체계 가중치 3위인 접근성 지표의 선별 및 수정을 통해 지하철 역 고객 동선 계획의 합리성, 정보 해독시간의 합리성, 목적지까지의 순조로운 도착 여부 등 3가지 지표를 선정했으며, 노인의 생리적 특성 및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원활한 이동경로, 각 지점간 접근 편의 정도 등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설정했다.
평가체계 가중치 4위인 안전성 항목의 주요 목표는 지하철 공간의 안전규범 정책과 노인의 판단능력 및 반응 능력을 고려하여 안전성을 확보한 안내 표지판의 재료를 선택하고 안내 표지판을 배치하여 노인의 심리적, 신체적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안전 표지판의 디자인 규범과 노인의 행동 능력 등 특성을 반영한 표지판의 재료, 배치, 조명 등을 안전성 지표로 설정했다.
평가체계 가중치 5위인 명료성 항목은 노인의 시력과 행동습관을 고려해 사인시스템의 픽토그램, 서체, 색상의 선명성 및 명암비, 로고 서체 크기의 적절성 여부로 평가한다. 선행 연구를 통해 사인시스템에서 명료성의 준칙층이 정보 전달의 명료성 및 정보 식별성을 보장하는지, 사인시스템의 명도가 명확한지 등의 요소를 기준으로 평가하다.
환경성 평가지표는 노인의 신체적 특성, 행동능력 및 시력을 고려하여 사인시스템이 합리적으로 사용되고 표지판의 수량 및 분포가 과학적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환경성 항목은 평가체계 가중치 6위이며, 노인 승객의 지하철 길찾기 난이도를 결정한다.
통일성 항목은 평가체계 가중치 7위이며 노인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사인시스템의 색상, 서체(점자 포함), 재료, 픽토그램의 조화와 일치성을 바탕으로한 지하철 역에서 안내 정보의 식별 기능 중 하나이다.
가중치가 가장 낮은 심미성은 지하철 사인 시스템 디자인이 대중적 심미관과 노인 승객의 심미적 관점을 만족시키는지, 지하철 사인시스템의 기본적인 안내 기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일정한 심미성과 디자인 감각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의 정리 및 분석을 통해 심미성 지표를 사인시스템 디자인의 조화성으로 설정하고, 평가기준에서 노인의 시각적 특성과 공공디자인의 심미적 특성을 결합한 사인시스템 서체, 픽토그램, 색상 등의 요소 선택을 평가하다.
AHP 분석법을통해각항목 평가요소및기준에 대한신뢰성및타당성을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지표층 8개항목,준칙층 34개항목을 확정했다. 각종지침 및지표의구성은선행연구와델파이 분석을통해최대한 객관적, 포괄적, 운용적평가가가능하도록했다. 가중치지수에따른등급기준을마련해정성평가에서정량평가로전환시킬 수 있었다. 100-80점은 기능성 매우 양호, 80-60점은 기능성 양호, 60-40점은 기능성 보통, 40-20점은 기능성 결여, 20점 이하는 기능성이 매우 결여된 것으로 평가된다.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해 각 평가체계를 측정하고 각 평가 등급을 환산하여 향후 대규모 데이터 조사의 편의성을 도모했다.
평가시스템을지하철환승역의기능성 평가에적용시켜평가시스템의운용성과평가성능을검증했다. 부산 지하철 환승역인 벡스코 역의 사인시스템 평가를 통해 평가체계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그 결과 벡스코 역의 사인시스템 기능 점수는 78점으로 사인시스템이 비교적 양호하며 노인 승객이 사인시스템을 이용해 승차 과정을 잘 마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는부산지하철 환승역 사인 시스템 및노인들을대상으로지하철 사인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연구를통해고령화사회를배경으로한지하철 사인 시스템의기능성평가방안을구축함으로써도시환경에긍정적인영향을주어공공안내디자인분야의발전에방향성을제시하고자했다.
- Author(s)
- LI BAITONG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사인 디자인, 사인 시스템, 고령화, 고령화 사회, 기능성, 평가체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85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2443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dvisor
- 김철수
-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1
1.연구 배경 및 목적 1
2.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II.이론적 고찰 7
1.고령화 사회에 대한 이해 7
1)고령화 사회의 개념과 영향 7
2)한국의 고령화 상황 9
3)고령화 사회 공공시설의 의문점 10
4)노년층의 신체적 특징 13
2.지하철 사인시스템의 이해 17
1)지하철 사인시스템의 개념 18
2)지하철 사인시스템의 종류와 기능 18
3)지하철 사인시스템의 구성요소 20
3. 소결 28
III. 해양도시 부산 지하철 환승역 사인시스템 디자인평가 요인 분석 30
1.지하철 사인시스템의 평가요소 분석 30
1)국외 사인시스템의 평가요소 관련 연구 31
2)국내 사인시스템의 평가요소 관련 연구 34
3)국내외관련 연구 종합분석 35
2.지하철 환승역 사인시스템 현황 분석 37
1)현장조사 개요 38
2)현장조사 종합분석 45
3.지하철 사인시스템의 고령 사용자분석 49
1)조사목적 49
2)조사내용 49
3)조사 결과분석 51
4.지하철 사인시스템의 현존하는 문제점 분석 54
5.해양도시 부산 지하철 환승역 사인시스템 디자인 평가요인 선정 61
1)심미성 62
2)통일성 71
3)가독성 76
4)환경성 80
5)유용성 83
6)안전성 87
7)명료성 89
8)접근성 96
6. 소결 100
Ⅳ.연구 방법의 설계 및 연구모형의 구축 실시 106
1.연구 방법의 설계 106
1)평가 체계 구축 원칙 108
2)연구방법의 선정 110
2.평가체계 구축방법 및 초기 평가 체계 지표의 확정 117
1)평가체계 구축방법 117
2)초기 평가 체계 지표 118
3)평가지표 기준 관련 연구 122
3.연구 모델의 설계와 실행 133
1)평가지표의 정립방법 설계 및 실시 133
2)지표 가중치의 확정 방법 설계 및 실시 135
4.소결 137
Ⅴ.분석 결과 138
1.설문응답자의 통계적 특성 138
2.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139
1)1차 델파이조사 분석결과 141
2)2차 델파이조사 분석결과 148
3)평가지표의 확정 151
3.AHP 분석결과 152
1)평가 체계 계층 분석 결과 154
2)지표 가중치의 확정 159
4.평가방안 수립 161
1)구체적인 평가지표 순위 및 세부사항 163
2)평가체계 값 설정 173
3)평가체계의 적정성 검토 175
4)해양도시 부산의 지하철 환승역 사인시스템 디자인 개선 제안 178
5.소결 189
Ⅵ.결론 191
1.연구결과및시사점 191
2.향후연구방향성 197
참고문헌 198
Abstract 208
부록1 212
부록2 215
부록3 218
감사의 글 223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