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스포츠 콘텐츠 속성이 시청몰입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 of E-sports Content attributes on Viewing Flow and Happiness: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sports Involvement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tertainment, reliability, diversity, and usefulness, which are e-sports content attributes of e-sports viewers, and viewing flow and happiness.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verify the patterns of the influence of entertainment, reliability, diversity, and usefulness according to e-sport involvement on viewing flow. Through this study,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determinants of viewing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e-sports is provi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enhance viewers' happiness are discussed.
For this study, the population aged 19 to 38 living in 17 regions of Korea in 2022 and watching e-sports was selected ,and then 580 copies of the onlin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by wireless sampling through an online survey company. A total of 54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40 copies that were not returned or were considered as poor respon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fter secu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the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s (LMS) were executed to test the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tertainment of e-sports content attributes has a positive effect on viewing flow.
Second, the reliability of e-sports content attributes has a positive effect on viewing flow.
Third, the diversity of e-sports content attributes has a positive effect on viewing flow.
Fourth, it appears that the usefulness of e-sports content attributes does not affect viewing flow.
Fifth, it appears that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e-sports does not moderate the effect of entertainment on viewing flow.
Sixth, it appears that e-sports involvement negatively modulates the effect of reliability on viewing flow.
Seventh, it appears that e-sports involvement does not moderate the effect of diversity on viewing flow.
Eighth, it appears that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e-sports positively modulates the effect of usefulness on viewing flow.
Ninth, viewing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This study has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does not only explicat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effect of e-sports content attributes on viewing flow and happiness, but it also elucidates the pattern of the viewing experience evaluations depending on e-sports involvemen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ustomized e-sports contents depending on viewers’ characteristics. |e-스포츠 콘텐츠 속성이 시청몰입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스포츠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e-스포츠 시청자들의 e-스포츠 콘텐츠 속성이 오락성, 신뢰성, 다양성, 유용성과 시청몰입,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데 있다. 또한, e스포츠 관여도에 따른 오락성, 신뢰성, 다양성, 유용성이 시청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패턴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e-스포츠의 맥락에서 시청 경험의 결정요인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시각을 제공하고 시청자의 행복감을 제고할 수 있는 실용적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2년 한국 17개 지역에 거주하고 e-스포츠를 시청 중인 19세-38세의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온라인설문조사 업체를 통해 무선 표집법 (wireless sampling)으로 온라인 설문지 580부를 배부하였다. 이중 설문지가 회수되지 않거나 부실한 응답으로 처리된 40부를 제외한 총 54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측정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본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의 검정을 위하여 잠재조절구조방정식(LMS)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스포츠 콘텐츠 속성의 오락성은 시청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e-스포츠 콘텐츠 속성의 신뢰성은 시청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e-스포츠 콘텐츠 속성의 다양성은 시청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e-스포츠 콘텐츠 속성의 유용성은 시청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e-스포츠 관여도는 오락성이 시청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e-스포츠 관여도는 신뢰성이 시청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e-스포츠 관여도는 다양성이 시청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e-스포츠 관여도는 유용성이 시청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시청몰입은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결과는 e-스포츠 콘텐츠의 속성이 시청몰입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적 기전을 밝힘과 동시에 관여도 수준에 따른 시청경험 평가의 패턴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청자 특성에 따른 맞춤형 e-스포츠 콘텐츠 제작에 의미있는 실용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Author(s)
- YIN CHAOYU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e-스포츠 콘텐츠 속성, 시청몰입, 행복감, e-스포츠 관여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92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70648
- Alternative Author(s)
- YIN CHAOYU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체육학과
- Advisor
- 김대환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9
3. 용어의 정의 9
4. 제한점 11
II. 이론적 배경 13
1. e-스포츠 13
2. e-스포츠 콘텐츠 20
3. 시청몰입 26
4. 행복감 38
5. e-스포츠 관여도 44
6. 연구모형 및 가설 49
Ⅲ. 연구 방법 56
1. 연구 대상 및 자료 표집 방법 56
2. 조사 도구 58
3. 자료처리 및 분석 62
Ⅳ. 연구 결과 63
1. 자료의 일반적 특성 63
가. 기술통계값과 분포의 정규성 63
2. 개념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67
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7
3. 잠재 조절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74
가. Model 0 평가(1단계) 74
나. Model 0 평가(1단계) 78
4. 가설검정 78
Ⅴ. 논의 82
1. e-스포츠 콘텐츠 속성, 시청몰입,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82
2. e-스포츠 관여도의 조절 효과 85
Ⅵ. 결론 및 제언 88
1. 결론 88
2. 제언 90
참고 문헌 92
부록(설문지) 119
국문 초록 125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체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