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 of cartilage decellularized extracellular matrix to improve the inflammatory cartilage diseases
- Alternative Title
- 염증성 연골 질환 개선을 위한 탈세포화된 연골 세포외 기질의 조직공학응용
- Abstract
- 사람의 평균 수명 연장과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관절염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관절염은 한번 발병하면 완치가 되지 않으며, 약, 물리치료, 수술에 의해 환자는 지속적인 고통 및 불편을 겪게 된다. 그 중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발병의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 치료법으로는 질환의 진행을 막는 치료만 존재하고 있다. 골 관절염은 연골의 마찰과 관련된 질환으로, 염증, 과격한 운동 또는 노화에 의한 연골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약물치료 또는 관절 치환술이 현재 치료법으로 있으며, 여전히 지속적인 관리 및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다.
세포외 기질은 모든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3차원적 구조물로써, 세포의 생장 및 분열을 향상시키고, 염증을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주로 콜라겐,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피브로넥틴, 인테그린, 세포외 소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포 생존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추출되는 조직에 따라 세포외 기질은 특징이 존재하며 현재 다양한 생체 재료 및 조직 재생 공학에 많이 연구되고 있는 물질이다.
그 중 연골에서 추출된 세포외 기질은 주로 연골에 많이 존재하는 제2형 콜라겐, 글리코사미노글리칸과 같은 단백질이 풍부하며, 다른 조직보다 항혈관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골에서 유래된 세포외 기질은 골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연골 분화를 유도하고 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면역 세포로 표현형을 변화시킨다는 점이 알려지며 염증 억제를 위한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DMARDs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로써, 가장 환자들이 접근하기 쉽고, 많이 복용하고 있다. 이 약물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복용하는 약의 양을 늘리거나 다른 약물과 혼용 사용을 하고 있다. 그 중 메토트렉세이트는 약물 치료 시 가장 먼저 사용되는 약물이다. 하지만 간 독성, 복통 등 부작용이 존재하며 약물 혼용에 사용되는 약물 역시 더욱 심각한 부작용, 잦은 복용 시간 또는 임신 환자에게 사용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의 낮은 농도와 탈세포화된 연골 세포외 기질을 혼용하여 염증을 개선하고 연골의 구조를 보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활액은 관절 조직에서 분비되는 유체이다. 히알루론산, 루브리신, 알부민, 글로불린 등으로 구성되어 관절 내 마찰을 줄여주고 관절이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활액이 골 관절염 환자에게선 점도가 달라지고, 윤활 작용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어 환자들은 인공 활액을 주사하게 된다. 현재 상용화된 인공 활액은 히알루론산 기반 인공 활액이지만 기계적 특성이 부족하여 관절 내에서 부작용을 발생시킨다.
클릭 케미스트리는 물질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생성물이 거의 없고, 반응이 간단하며, 높은 수율을 가진 반응을 말한다. 그 중 IEDDA 반응은 독성이 없어 세포 및 동물에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생물학적 영역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탈세포화 된 연골 세포외 기질을 히알루론산과 가교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작한 뒤, 충분한 기계적 특성 및 윤활 능력을 확인했다.
파트 1에서는, 돼지 슬관절에서 추출된 연골 세포외 기질을 탈세포화한 다음, 특성화를 통해 탈세포화된 연골 세포외 기질의 특성을 파악했으며, 세포 실험을 통해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낮은 농도의 메토트렉세이트와 혼용 사용했을 때, 고농도의 메토트렉세이트와 유사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동물 실험에서는 고농도의 메토트렉세이트보다 연골 세포외 기질을 혼용 사용한 그룹에서 더 나은 연골 구조 유지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탈세포화된 연골 세포외 기질은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낮은 농도의 약물과 혼용 사용되면 약물의 효능을 증폭시키고 관절 내 환경을 유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파트 2에서는, 연골 세포외 기질과 히알루론산을 IEDDA 가교를 통해 성공적으로 하이드로겔을 만들었으며, 상용화된 히알루론산 기반 인공 활액보다 더 나은 기계적, 유변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실험에서 모든 농도에 대한 가교제 및 전구체는 세포 독성이 없었으며 하이드로겔로 제작된 뒤에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재생의학 및 생체 적용에 적합한 것을 입증했다. 동물 실험에서는 반월판 인대 절개를 통한 골 관절염 유도가 실시되었고, 하이드로겔에 의한 인공 활액 및 항염증 효과에 의해 연골의 마모 및 골 관절염 관련 마커들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를 통해, 탈세포화된 연골 세포외 기질은 염증성 관절 질환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공학적으로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 Author(s)
- 서정우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extracellular matrix, cartilage, rheumatoid arthritis, inflammation, osteoarthritis, hydrogel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298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2604
- Alternative Author(s)
- Jeongwoo Se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
- Advisor
- 박상혁
- Table Of Contents
- 1. Background 1
1.1 Arthritis 1
1.1.1 Rheumatoid arthritis 1
1.1.2 Osteoarthritis 2
1.2 Extracellular matrix 3
1.3 Components of ECM 4
1.3.1 Collagen 4
1.3.2 Glycosaminoglycan 5
1.3.3 Fibronectin 5
1.3.4 Laminin 5
1.3.5 Extracellular vesicles 6
1.4 Decellularized cartilage ECM 6
PART I: Application of cartilage extracellular matrix for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icacy of Rheumatoid arthritis drug 8
2. Introduction 8
2.1 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DMARDs) 8
2.2 Aim of the study 11
3. Materials and Methods 12
3.1 Preparation of the CECM 12
3.2 CECM characterization 13
3.3 Rheological analysis of the CECM 13
3.4 FT-IR test 14
3.5 Cell culture 14
3.6 Cell proliferation of CECM and Methotrexate 15
3.7 Anti-inflammation test 15
3.8 Gene expression analysis 16
3.9 Immunocytochemistry 17
3.10 Mouse Collagen-Induced Arthritis (CIA) model 18
3.11 Ankle diameter measurement and arthritis scoring 19
3.12 Quantific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mouse serum 19
3.13 Histological analysis of mouse knee joints 20
4. Results 21
4.1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ECM 21
4.1.1 CECM contents 21
4.1.2 FT-IR test 22
4.1.3 Rheological properties 23
4.2 Cell proliferation of CECM and Methotrexate 24
4.2.1 Cytocompatibility of CECM 24
4.2.2 Cell proliferation of CECM and Methotrexate 25
4.3 Anti-inflammation test of CECM and MTX 27
4.3.1 Anti-inflammatory effect according to CECM concentration 27
4.3.2 Anti-inflammatory effect of CECM and MTX 29
4.4 Immunocytochemistry 31
4.5 Evaluation of RA mice model 32
4.5.1 Paw photographs of RA mice model 32
4.5.2 Arthritic score and Ankle diameter 34
4.6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s in CIA model 35
4.7 Histological analysis 37
5. Discussion 40
6. Conclusion 45
PART II: Functionally enhanced CECM-HA hydrogel as a synovial fluid alternative for the prevention of osteoarthritis progress 46
7. Introduction 46
7.1 Synovial fluid 46
7.2 Artificial synovial fluid 47
7.3 Click chemistry 48
7.4 Aim of the study 50
8. Materials and Methods 51
8.1 Synthesis of CECM-Nb and HA-Tz 51
8.2 Preparation of CECM-HA 52
8.3 FT-IR test 52
8.4 NMR test of HA-Tz 53
8.5 FE-SEM images 53
8.6 Rheological property tests 53
8.7 Measurement of swelling ratio 54
8.8 Cell culture 54
8.9 Cytocompatibility of CECM-Nb, HA-Tz, and hydrogel 55
8.10 Destabilized medial meniscus (DMM) model 56
8.11 Expression of osteoarthritis-related marker and cytokine 57
8.12 Histological analysis 57
9. Results 59
9.1 Characterization of the CECM-Nb and HA-Tz 59
9.1.1 NMR 59
9.1.2 FT-IR test of CECM-Nb and HA-Tz 60
9.2 Characterization of CECM-HA hydrogel 61
9.2.1 Morphology of hydrogels 61
9.2.2 Rheological properties of hydrogels 63
9.2.3 Swelling properties of hydrogels 65
9.3 Cytocompatibility of CECM-Nb, HA-Tz, and hydrogel 66
9.3.1 Cytotoxicity of CECM-Nb and HA-Tz 66
9.3.2 Cytotoxicity of CECM-HA hydrogel 67
9.4 Osteoarthritis-related marker and cytokine expression 68
9.5 Histological evaluation 70
10. Discussion 72
11. Conclusion 77
12. References 7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