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다공성 polydimethylsiloxane-polydopamine 복합체를 활용한 이온전도 및 열전특성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on transport in Porous Polydimethylsiloxane-Polydopamine Composites for Thermoelectric Application
Abstract
열전에너지 발전기는 낮은 등급의 열을 전기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는 해결책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PEO-NAOH 전해질용액의 열전특성을 PDMS 필름에 복합화 하였다. 전해질용액을 PDMS 스펀지의 기공에 침투시켜 PEO 체인으로 인해 Na이온의 호핑 현상을 향상시켰다. 도파민 층은 소수성 PDMS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바꿔주기 위해 표면 PDMS 기공에 침투시켰다. 마지막으로 도파민의 중합조건, PDMS 필름의 기공크기 등을 조절하여 PDMS 복합체에서 온도조절에 따른 이온이동을 조사하여 이들의 열전성능을 연구하였다.
Author(s)
장서현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열전도도, PDMS, 이온전도도, 열전, 고분자전해질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03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8638
Alternative Author(s)
SeoHyeon Ja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화학융합공학부
Advisor
유성일
Table Of Contents
Chapter I. Introduction 1
I-1. Energy harvesting 1
I-1.1. Thermal energy harvesting 1
I-2. Porous polymer 4
I-3. Surface-initiated polymerization 5
I-3.1. Seebeck effect 5
I-3.2. Surface initiated polydopamine coating 7
Chapter II. Polydopamine Nanoparticles-coated Porous PDMS Composites for Polyelectrolyte with Enhanced Performance 10
II-1. Introduction 10
II-2. Experimental Section 14
II-2.1. Material 14
II-2.2. Procedure 14
II-2.2.1. Fabrication of PDMS sponge 14
II-2.2.2. Synthesis of polydopamine nanoparticle 15
II-2.2.3. Modification of PDMS sponge 15
II-2.2.4. Insertion of PDMS sponge with polyelectrolyte 16
II-2.3. Measurement 17
II-3. Result and Discussion 20
II-3.1. Characteristic of PDMS sponge and PDA nanoparticle 20
II-3.2. Characteristic of PDMS sponge for pore size 25
II-3.3. Thermoelectric effect of PDA/PDMS/PE sponge 28
II-4. Conclusion 40
References 41
Acknowledgment 4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화학융합공학부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