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 건설종사자의 맥파 기반 직무스트레스 평가방안
- Abstract
- South korea will soon be a super-aged society, with more than 20.6% of its population being aged 65 or more by 2025. As of 2022, the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aged 65 and above accounts for 17.5% of the total population, which already passed an aged society whose definition is a society where more than 14% of the population is 65 years or older. Accordingly,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has increased among subway construction workers. Aging of workers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job stress and work ability. Consequently, a measure to gauge the job stress management and work ability of subway construction site workers is requir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affect the work ability of subway construction workers and to develop a measure to manage stress for workers working on various aspects of subway construction.
We measured the macpa stress index using a macpa measurement device and surveyed the Korean work stress measurement tool (simplifed version) and work ability. The macpa measurement device is used to inspect vascular health and stress through macpa signal analysis. As previous studies showed, the macpa stress index correlates with job stress. The korean job stress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as used to measure job-related stress, while the work ability survey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finnish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was used to measure work ability.
As the statistics in this study could not be easily represented by a normal distribution, we used the Kruskal–Wallis and Post-hoc method, which are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As a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e macpa stress index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korean job stress and work ability index, with the stress index being higher and work ability lower as age increased.
The lowest macpa stress index was found in construction machinery operators whereas the highest was in craftman. In terms of work ability, managers had the highest whereas general workers had the lowest. Among the work type, tunnel work, water-proofing work, and structure work had the high macpa stress index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earthwork had the lowest. For the work ability, water-proofing work had the highest macpa stress index whereas earthwork had the lowest. Among the employment type, casual workers demonstrated the highest macpa str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nuals must be developed to reduce job stress and improve work ability for subway construction workers. Further research into ways to manage job stress and work ability is also needed.
- Author(s)
- 채정식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macpa, job stress, work ability, subway construc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04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5751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안전공학과
- Advisor
- 장성록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목적 5
제 2 장 연구 배경 6
2.1 고령화 현상 6
2.1.1 한국의 고령화 현황 6
2.1.2 한국의 고령화 정책 8
2.1.3 외국의 고령화 정책 12
2.2 맥파 스트레스 16
2.2.1 맥파 스트레스의 정의 16
2.2.2 맥파 스트레스 측정 근거 17
2.2.3 맥파 스트레스 관련 연구 20
2.3 직무스트레스 24
2.3.1 직무스트레스의 정의 24
2.3.2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25
2.3.3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규준 28
2.3.4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 29
2.4 작업능력 32
2.4.1작업능력의 정의 32
2.4.2 작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2.4.3 작업능력 개요 35
2.4.4 작업능력 설문 구성 및 평가방법 37
2.4.5 작업능력 관련 연구 41
제 3 장 연구 방법 46
3.1 연구 대상 46
3.2 연구 방법 49
3.2.1 맥파 스트레스 지수 측정 49
3.2.2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평가 52
3.2.3 작업능력 평가 53
3.3 통계 분석 55
제 4 장 연구결과 57
4.1 맥파 스트레스 57
4.1.1 맥파 스트레스 지수 측정 결과 57
4.1.2 연령에 따른 맥파 스트레스 지수 분석 58
4.1.3 근속년수에 따른 맥파 스트레스 지수 분석 59
4.1.4 직책에 따른 맥파 스트레스 지수 분석 60
4.1.5 고용형태에 따른 맥파 스트레스 지수 분석 61
4.1.6 근로직종에 따른 맥파 스트레스 지수 분석 62
4.2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64
4.2.1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평가 결과 64
4.2.2 연령에 따른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분석 65
4.2.3 근속년수에 따른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분석 66
4.2.4 직책에 따른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분석 67
4.2.5 고용형태에 따른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분석 68
4.2.6 근로직종에 따른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분석 69
4.3 작업능력 70
4.3.1 작업능력 평가 결과 70
4.3.2 연령에 따른 작업능력 분석 71
4.3.3 근속년수에 따른 작업능력 분석 72
4.3.4 직책에 따른 작업능력 분석 73
4.3.5 고용형태에 따른 작업능력 분석 74
4.3.6 근로직종에 따른 작업능력 분석 75
4.4 맥파 스트레스 지수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및 작업능력의 상관관계 76
4.4.1 맥파 스트레스 지수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76
4.4.2 맥파 스트레스 지수와 작업능력의 상관관계 77
4.4.3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의 상관관계 78
제 5 장 고찰 및 결론 79
참고 문헌 83
부 록 96
A-1 맥파 스트레스 지수 측정 96
A-2 맥파 스트레스 지수 측정 결과(예시) 97
B.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평가 설문지 98
C. 작업능력 평가 설문지 99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안전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