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친수공간의 미디어파사드 영상콘텐츠 디자인 평가방법 연구
- Abstract
- 도시는 다양한 계층과 다양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로 이루어진 집합체이며, 여러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구조체이며, 마찬가지로 생명이 존재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기체라고 볼 수 있다. 도시는 인류 문명의 부단한 발전 과정에서 필연적인 산물이다. 도심은 도시 공간의 핵심지역으로 기능적 측면뿐만 아닌 생태, 문화, 정치, 사회, 경제 등의 측면에서도 시민들의 가장 중요한 생활범위를 차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도심의 발전추세는 지역 시민들의 의지와 욕구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화 이후 사회는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면서 빠르게 확장되었으나 도시공간이 무분별하게 계획되었고, 21세기 초반부터 사람들은 도시공간의 합리적인 계획과 도시생활의 질 향상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특히 사람들은수륙 결합된 친수공간 분야에 관심을 가졌으며, 원래 서로 다른 두 지역을 과학적으로 결합하고 물과 육지의 다른 특성을 활용하여 융합 공간을 구축하고 좋은 도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심 공간 분야에 착안하여 도시건설이 가속화됨에 따라 최근 몇 년 동안 친수(親水)공간 구축은 도시의 발전 추세가 되었고 이에 따라 한국의 서울, 중국 칭다오, 일본 후쿠오카시 등 대도시는 친수공간 건설을 위한지원책을 펴고 있다. 친수공간은 물과 육지의 두 영역이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상호 영향을 받는 집합 공간이다. 따라서 친수공간은 수(水)공간에 기반한 공업·어업·유통·레저·여가 등의 행위요소뿐만 아니라 상업·업무·주거·오락 등 전형적인 도시 활동의 장으로 도시민 모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이로써친수공간은 인원의 이동이 비교적많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소로 이러한 공간에 매체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도시 시설의 범주에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인프라 외에도 디지털 기술의 향상과더불어 발전한 미디어 시설도존재한다.미디어파사드는 최근 몇 년 동안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미디어 장치로서 거대한 화면과 화려한 조명 등의 장점으로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미디어파사드의 수가 점차 늘어나면서 그 부정적인 영향 또한 점차 드러나고 있다.미디어파사드는 영상 콘텐츠가 주요 표현이며 사람들의 가장 큰 관심사이다. 영상 콘텐츠에 대한 사람들의 견해와 평가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과학적 평가 기준과 포괄적인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 디자인에 대한 평가 방법을 연구하고 도출한다. 미디어파사드의 올바른 평가는 현대 도시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데 필요한 과정일 뿐만 아니라 도심 공간 구조를 지속적이며 최적화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써 따라서 도심 공간의 합리적인 개발을 촉진하고 미디어의 디자인 방향을 올바르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평가지표를 선정하여 올바른 평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미디어파사드 유행으로 영상 콘텐츠가 미디어파사드의 핵심이 되어 미디어파사드의 주요 속성과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처럼 영상 콘텐츠 디자인의 평가방법을 연구하는 것은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과정과 실시 과정의 필수 과제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제2장에서 도심 친수공간과 공공 해양디자인의 개념과 정의에 대하여 고찰하고 친수공간과 해양디자인의 사회적 가치에 대해 이론적 조사를 진행한다. 친수공간 유형에 대한 고찰 과정에서 해안형 친수공간은 공공 해양디자인 연구분야에 포함되며, 모든 수산활동, 연안시설, 해양레저 등 해양분야를 포함하여 해양과 관련된 건설업, 제조업, 관광업 등 여러 산업군을 집적한다. 공공 해양디자인은 연안의 낙후된 수변공간, 해수욕장 관련 시설 개선 등 문화 개선 사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관련 사례 조사를 통해 친수공간과 미디어파사드 간의 연계를 찾고 양자 간의 관계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의 개발을 기반으로 향후 연구에서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 평가 모델의 연구를 위한 평가 요소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선행연구에서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 디자인 과정 모델을 정리·분석하고,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3가지 주요 단계를 도출한다. 그리고 설문지법을 통해 기존 디자인 분야의 주요 평가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의 관련 구성 요소와 문제점을 결합하여 다음 장의 내용을 도출한다.
4장에서는 3장의 고찰·분석·정리를 통해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평가항목과 평가지표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평가항목이 기존 평가방법에 나타난 빈도를 정렬하여 평가항목을 선정한다. 통계도구인 SPSS 25.0을 이용하여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비교를 한 후 예비평가항목을 얻고자 한다.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통해 예비평가항목을 검증하고 평가지표를 조정하고 이어서 계층분석 과정법 AHP(The Hierarchy Process) 로 정한 계층별 평가항목과 지표를 이용해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에 대한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고 전반적인 평가 방법을 보완한다.
제5장에서는 평가방법의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가방법의 적합성 검토를 하고, 검토과정은 부산 광안리해수욕장 일대의 해안형 친수공간을 연구범위로 광안대교의 미디어파사드를 평가방법의 검증대상으로 진행한다. 우선 AHP 분석법으로 검증된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 평가 체계를 이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한다. 이 설문지를 이용하여 광안리해수욕장 주변에서 현장조사를 한 후 설문지를 정리하여 현재 광안대교 미디어파사드에 대한 대중의 만족도를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광안대교 미디어파사드의 기존 영상 콘텐츠를 부산의 도시문화와 공간적 특성에 맞게 리디자인한다. 리디자인 과정에서는 빛공해를 막기 위해 어두운색의 영상배경과 느리게 움직이는 역동적인 요소를 적용하고, 부산 연안도시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해양동물의 요소인 해수, 해파리, 고래 등을 디자인하며, 도시의 문화적 특성을 살리기 위해 불꽃, 2030 엑스포의 시각적 요소를 디자인하였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 한계점, 그리고 향후전망을 도출하였으며, 결론 부분에서는 이 연구의 주요 과정과 내용을 요약하고 얻은 결론을 설명하고 연구의 한계점 부분에서는 주로 친수공간의 복잡성, 도시의 미디어파사드 설치 계획의 차별성, 영상 콘텐츠 심의제도에 대한 제한성의 세 가지 측면에서 본 연구의 한계를 분석하고 설명한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연구의 포괄성과 적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전망 부분에서 이 연구의 지속적인 연구 방향은 주로 친수공간에 대한 상세 고찰과 키네틱 미디어파사드 (Kinetic Media Facade) 영상 콘텐츠 개발의 두 가지 측면으로 예측한다. 앞으로 다양한 유형의 친수성 공간에 대한 조사를 통해 더욱 적정 가능한 평가 방법을 연구할 수 있기를 바라며 키네틱 미디어파사드의 발전 속도에 발맞춰 이와 관련된 평가 방법을 연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평가방법은 도시의 친수공간과 미디어파사드의 발전 수준을 바탕으로 미디어파사드의 영상 콘텐츠 디자인 평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디지털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미디어파사드 디자인은 더 많은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Author(s)
- REN XIAONAN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04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6027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dvisor
- 조정형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3. 연구 필요성 5
4. 연구 흐름도 7
II. 이론적 배경 8
1. 도심 친수공간의 이해 8
가. 친수공간의 개념 및 범위 8
나. 친수공간의 유형 10
다. 친수공간의 특징 및 중요성 12
라. 도심 친수공간의 계획 14
2. 공공 해양디자인의 이해 20
가. 공공디자인의 개념 20
나. 해양디자인의 정의 및 범위 21
다. 공공 해양디자인의 분류 23
라. 공공 해양디자인 시설 24
3. 미디어파사드에 대한 고찰 27
가. 미디어파사드의 개념 및 특성 27
나. 미디어파사드의 유형 35
다. 미디어파사드 연출 위치 43
라. LED의 픽셀 피치 47
4. 도시 친수공간에서 미디어파사드 사례 49
가. 한국 사례 49
나. 해외 사례 57
Ⅲ. 평가시스템 구축 63
1.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프로세스 63
가. 디자인 프로세스 63
나. 미디어파사드 RGB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68
2. 디자인 평가 방법 85
가. 디자인 평가의 정의 85
나. 디자인 평가 방법의 분류 86
3. 국내외 공공디자인에 관련 평가 방법 90
가. 영국 CABE의 스페이스셰이퍼(Spaceshaper) 90
나. 미국 PPS(Project for Public Space) 94
다. 서울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Ver3.0 98
라. 한국 조정형 교수의 공공시설물 평가TOOL 99
4.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 105
가.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의 개념 105
나.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의 디자인 요소 107
다. 영상 콘텐츠 디자인의 현황 및 문제점 110
라. 영상 콘텐츠 디자인 계획 117
마. 영상 콘텐츠에 대한 대중의 인식 126
Ⅳ.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 평가방법 개발 136
1.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 도출 136
가. 예비 평가항목 도출 137
나. 평가항목 선정 143
다. 평가항목의 중요도 및 신뢰도 분석 147
라. 전문가 FGI를 통한 평가항목 확정 및 평가지표 도출 150
2. AHP 분석법을 통한 평가지표 검증 155
가. AHP 분석법 155
나. 조사 개요 155
다. AHP 분석의 과정 156
라. 판단 행렬의 분석 결과 163
마. 가중치 도출 및 일관성 검증 167
3. 평가체계 개발 176
가. 평가모델 및 평가체계 구축 176
나. 평가 방법 및 결과 표현 179
Ⅴ. 평가 방법 검증 및 리디자인 183
1. 평가모델의 적정성 검토 183
2. 평가 내용 및 결과 186
3. 소결 191
4. 영상 콘텐츠의 리디자인 193
가. 디자인 과정 193
나. 리디자인한 영상 콘텐츠의 시연 영상 197
Ⅵ. 결론 및 향후 전망 202
1. 연구의 결론 202
2. 연구의 한계점 206
가. 친수공간의 복잡성 206
나. 미디어파사드 설치 계획의 차별성 206
다. 영상 콘텐츠 심의제도에 대한 제한성 206
3. 향후 전망 207
가. 친수공간에 대한 상세 고찰 207
나. 키네틱 미디어파사드(Kinetic Media Facade) 영상 콘텐츠 개발 207
참고문헌 208
Abstract 216
부록1 222
부록2 229
부록3 233
부록4 237
부록5 241
부록6 245
용어 정의 250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