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 대인관계스트레스 및 대인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 그리고 대인관계스트레스의 구조적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반려동물 보호자가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상호작용이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매개로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547명의 반려동물 보호자 자료를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이 공감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반려동물 보호자의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은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기위로능력이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경유했을 때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반려동물 보호자의 인간-동물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은 매개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경유하게 되면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려동물 보호자가 대인관계를 할 때 인간-동물 상호작용,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 순으로 경유하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자기위로능력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로 경유했을 때는 대인관계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이다. 이상으로 종합하면 반려동물 보호자가 자신에게는 조건 없이 수용해주는 반려동물과 함께 상호작용이 잘되고 있으면 대인관계에의 어려움이 해소되어 관계에 대한 신뢰감이 회복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반려동물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은 자신의 상황과 감정에 대해 수용 받고 이해해주는 경험이 쌓여서 심리적으로 불편한 상황에 부닥쳐 있을 때 불편한 감정에서 빨리 벗어날 수 있게 도와준다. 즉 자신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바라보게 되어 현재의 대인관계보다 좀 더 친근하고 유연한 관계를 유지 할 수 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 효과에 관한 연구가 서구보다는 매우 부족한 국내에서 반려동물 효과의 심리학적 기제에 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반려동물 보호자가 좀 더 친밀감 있는 대인관계를 위해서 매개변인으로 공감능력과 자기위로능력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어떤 매개변인에 초점을 두고 개입할 때 대인관계가 좀 더 친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반려동물을 매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Author(s)
- 김명희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07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9935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
- Advisor
- 천성문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10
3. 용어의 정의 11
Ⅱ. 이론적 배경 13
1. 인간-동물 상호작용 13
2. 공감능력 17
3. 자기위로능력 20
4. 대인관계 스트레스 23
5. 대인관계 25
6.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28
Ⅲ. 방 법 35
1. 연구대상 35
2. 측정도구 38
3. 자료수집 및 절차 43
4. 자료 분석 44
IV. 결 과 45
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 45
2. 측정변인의 공선성 통계 47
3. 문항 꾸러미 제작 48
4.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49
5. 측정모형 검증 51
6. 구조모형 검증 55
7. 최종 연구모형의 직·간접효과 분석 60
V. 논 의 64
참고문헌 75
국문초록 93
부록 95
1. 인간-동물 상호작용 96
2. 공감능력 97
3. 자기위로능력 99
4. 대인관계 스트레스 102
5. 대인관계 103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교육컨설팅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