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뉴딜지역의 어항 계류시설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Design of Fishing Port Mooring Facilities in Fishing New Deal Area
- Abstract
- 한국에서는 수천 개의 어촌 어항을 보유한 국가로서 어촌 어항의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과 건설에 국가적 관심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국가의 발전과 사람의 생활 수요의 변화에 따른 어촌 어항의 역할과 특성도 변화되면서, 오늘날의 어촌 어항은 순수 수산업으로써 그 기능을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어촌 어항은 이제 더 이상 어민들만 이용하는 지역이 아니라 관광, 체험, 레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소로 점차 발전하고 있다. 이는 어항에 설치된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개선을 통해 어항의 공간은 시민과 지역 어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의 공간으로 조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어촌뉴딜 300사업' 에서도 어항의 기존 노후 시설물 개선을 이용하여 어항 지역의 환경 이미지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어항지역의 재생건설 목적을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어항 이용자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통계기술을 이용하여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조성될 어촌뉴딜지역의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을 맺고 있는 어촌 어항에 대한 조사와 연구이다. 주로 사용되는 연구 방법은 문헌분석법, 인터뷰조사방법, 현장조사방법, 사례분석방법, 설문조사방법 및 통계분석방법이다.
먼저 대량의 문헌조사를 통해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어촌뉴딜사업, 디자인평가 등에 관한 개념 및 연구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현대 어촌지역의 생활환경, 시설물의 관계를 분석하여 어항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및 평가 분석을 위한 메쉬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전체 프로세스는 '포지셔닝-관찰-인터뷰-테스트-조사-분석'의 6단계로 분류되며 각 단계의 의미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프로세스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고 프로세스의 작동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단계에서는 먼저 본연구의 실증 분석 대상지인 ‘어촌뉴딜 300 사업' 중 부산 가덕도 대항항을 선정하였다. 메쉬 디자인 프로세스의 6단계에 따라 대항항의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어항 공공시설물의 분류 및 현장조사 상황에 따라 계류시설, 외곽시설, 안전시설, 기능 편의시설 등 4개의 분류에 따른 해양 공공시설물 10종의 디자인 현황을 분석하는 것으로 최종결정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여러 이용자가 어항 공공시설물을 어떻게 이용하고 이해하는지 거주한 후에 평가(POE)하였으며, 어항에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주민, 방문자, 어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 조사 채점 결과를 토대로 해양 공공시설물 디자인별로 시급히 개선해야 할 항목을 제시하였다. 이 중 계선주 디자인의 내식성, 경관성, 안전성, 방파제 디자인의 친수성, 안전성, 쾌적성, 호안디자인의 지역성, 인명 구조함 디자인의 보편성, 접근성, 일반조명시설 디자인의 통합성, 안전성, 안내 표지판 설계의 시인성, 가독성, 경고표지판 디자인의 시인성, 가독성, 펜스 디자인의 안전성, 어구 어망 보관창고디자인의 편의성, 통합성은 사용자 만족도의 점수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이는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에서 중점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요소들이다.
마지막으로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선이 시급한 사업 내용에 대해 디자인 개선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 중 어촌 어항 발전의 기본방향에 맞춰 안전성에 ‘충분한 조명,안전시설의 수를 증가’, 편의성을 위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고려, 미래지향적이고 유지관리의 편리함’, ‘미관을 위한 이미지 통일, Total Design’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디자인 효과를 위해 디자인 네트워크 지도를 구축하였으며, 어항의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직렬로 연결하여 통일성과 지역성을 향상시켰다.
이 연구의 이론적 의의는 해양 공공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평가 척도를 탐색하여 해양 공공시설물의 디자인에 대한 평가가 보다 객관적인 가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프로세스를 만들어 어항 지역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선 과정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였다. 이 연구의 실천적 의의는 생성된 메쉬 디자인 프로세스가 실증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메쉬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의 객관성을 설명할 수 있고 더불어 실증적 분석 결과를 통해 연구 대상지에 대하여 해양 공공시설물 디자인 및 이를 개선하고, 그리고 문제점에 대해서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안하였다.
- Author(s)
- LI XINTONG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어촌뉴딜지역,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프로세스, 거주 후 평가, 평가척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11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8999
- Alternative Author(s)
- 이신동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dvisor
- 조정형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가. 연구 범위 3
나. 연구 방법 6
다. 연구 흐름도 8
3. 연구의 차별성 9
II. 이론적 배경 10
1. 어항 공공시설물의 고찰 10
가. 공공시설물의 이해 10
나. 해양공공공간의 분류 및 구성요소 18
다. 해양시설물의 이해 24
2. 어촌뉴딜지역 어항 공공시설물의 고찰 28
가. 어촌뉴딜300사업 28
나. 어촌뉴딜지역 어항 공공시설물의 발전방향 33
3. 디자인평가방법의 고찰 36
가. 디자인평가 36
나.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 40
다. 어항 계류시설 디자인 평가 43
4. 선행연구 44
가. 한국과 해외 선진국의 어항 연구 동향 44
나. 어항과 관련된 공공시설물 디자인 및 평가 연구 46
5. 소결 48
Ⅲ. 어촌뉴딜지역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현황조사 50
1. 해외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사례 50
가. 조사 개요 50
나.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조사 분석 51
2. 한국 어촌뉴딜지역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사례 59
가. 조사 개요 59
나.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조사 분석 59
3. 설문조사 대상지 65
가.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분석 프로세스 개발 65
나. 대상지의 선택 75
다. 어촌뉴딜지역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연관성 82
라.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현황 84
4.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척도의 선정 112
5. 소결 120
IV. 어촌뉴딜지역의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방법의 확정 및 평가체계 구축 121
1. 거주 후 평가의 확정 및 개념 121
가. 거주 후 평가 방법의 확정 121
나. 거주 후 평가의 개념 123
2. 거주 후 평가의 과정 124
가. POE 특성 124
나. POE 발전 과정 125
다. 거주 후 평가 프로세스 127
3. 어촌뉴딜지역의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거주 후 평가 자료의 수집 129
가. 설문조사 129
나. 설문의 구성 132
다. 일반적 특성 133
라. 자료의 분석 136
4. 소결 138
V. 어촌뉴딜지역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평가결과 139
1. 부산 강서구 대항항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평가 139
가. 디자인 종합적인 이용실태 조가 통계 139
나. 디자인 이용실태 요인별 상관관계 144
다.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척도별 차이 145
라. 평가결과 소결 179
2. 부산 대항항 어항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선방향 183
가. 디자인 네트워크 지도를 구축 183
나. 어항 공공시설물별의 디자인 개선의향 185
다. 계선주 디자인의 초보 제안 188
3. 계선주 디자인의 검증단계 및 최종제안 193
4. 소결 196
VI. 결론 197
참고문헌 200
Abstract 206
부록1 208
부록2 221
용어 정의 224
감사의 글 227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8-05-02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