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및 사회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elative influence of parenting efficacy,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early children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enting efficacy,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early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 were as follows:
How is the parenting stress of a mother with early children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How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parenting efficacy,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of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early children?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others with early children aged 3 to 5 in South Korea through online communities related to childcare, and the analyses were based on data answered by 241 peopl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efficacy,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daily stress caused by child rearing, and parenting efficacy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burden and distress caused by parental rol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both daily stress due to child rearing and burden and distress due to parental roles were in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variable influencing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variables influencing daily stress from child rearing were social support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s sub-variables, ‘evaluative support’ of social support, and ‘self-growth’ of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were highly influential.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burden and distress due to parental roles wer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parenting efficacy. And as sub-variables, ‘joint parenting’ of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general parent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of parenting efficacy were influential.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in developing an approach to reducing parenting stress for mothers with early children.|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및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및 사회적 지지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및 사회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국내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대상으로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들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41명이 응답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사회적 지지는 양육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버지 양육 참여는 자녀 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양육 효능감은 부모 역할로 인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다. 자녀 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모 역할로 인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 모두 관계 깊은 변인은 아버지 양육 참여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녀 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력이 높은 하위 변인은 사회적 지지의 '평가적 지지', 아버지 양육 참여의 '자기 성장'으로 확인되었다. 부모 역할에 의한 부담감과 디스트레스에 영향력이 높은 하위 변인은 아버지 양육 참여의 '공동 양육', 양육 효능감의 '전반적 양육 능력', ‘의사소통 능력’으로 나타났다. 자녀 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모 역할에 따른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 모두에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변수는 아버지 양육 참여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줄이는 접근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uthor(s)
김경민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사회적 지지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13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4229
Alternative Author(s)
Kim Kyeoung m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아동심리및상담전공
Advisor
이희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7
3. 용어의 정의 8
가. 양육 스트레스 8
나. 양육 효능감 8
다. 아버지 양육 참여 8
라. 사회적 지지 9
Ⅱ. 이론적 배경 10
1. 양육 스트레스 10
가. 양육 스트레스 개념 10
나. 양육 스트레스 관련 변인 13
2.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 14
가. 양육 효능감의 개념 및 특성 14
나.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16
3.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양육 스트레스 18
가. 아버지 양육 참여 18
나.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21
4.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 23
가. 사회적 지지의 개념 및 특성 23
나.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26
Ⅲ. 연구방법 28
1. 연구모형 28
2. 연구 대상 30
3. 측정 도구 32
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32
나. 양육 효능감 33
다. 아버지 양육 참여 34
라. 사회적 지지 35
4. 자료분석 36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8
1. 예비분석 : 연구 변인에 대한 기술 통계량 및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의 탐색 38
2.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42
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 42
나.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45
Ⅴ. 논의 및 결론 49
1. 논의 49
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 49
나.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및 사회적 지지가 자녀 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53
다.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 참여 및 사회적 지지가 부모 역할에 의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55
2.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1
부록 8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아동심리및상담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