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처노믹스 중심의 부산브랜드상품 패키지디자인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Package Design of Busan Brand Products Centered on Culturenomics
- Abstract
- 도시 발전에서 문화자원은 한 도시의 실력을 보여주는 일부가 되었으며, 점점 더 많은 도시의 주목을 받고 있다. 많은 도시가 문화적 창조와 경제적 부가가치를 추구하기 위해 컬처노믹스 전략을 활용하여 자신의 도시·문화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동시에, 경제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생활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문화관광산업 발전도 가속화하고 있다. 사람들이 관광을 통해 한 지역브랜드 이미지에 대해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게 되면서 확장된 지역브랜드상품이 도시·문화 이미지를 홍보하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
패키지디자인은 지역브랜드상품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지역브랜드상품의 가치를 제대로 나타내려면 혁신과 돌파가 필요하다. 또한 도시 자신만의 특색을 유지하려면 도시·문화 이미지 요소에서 영감을 얻어야 한다. 컬처노믹스 전략 활용에 기반한 패키지디자인은 문화의 전파와 동시에 문화의 발전이기도 하다. 패키지디자인이 가져올 경제적 문화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헤아릴 수 없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발전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Documentary Study), 사례연구(Case Study)와 실증조사(Empirical Study)의 세 가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컬처노믹스의 개념과 수립 과정 분석을 통해 도시이미지와 문화이미지를 연구 범주로 선정하였고, 브랜드의 개념과 역할, 기능에 대한 이론적 분석은 지역브랜드상품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과 관광객의 구매 의향을 실증분석에서 다루었다. 또한 패키지디자인의 개념,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패키지디자인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 범주가 정의를 내렸다. 컬처노믹스 전략의 구성요소인 도시·문화 이미지를 활용하여 패키지디자인의 색채 요소, 그래픽 요소, 타이포그래피 요소의 세 가지 측면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모형과 조사설계,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제시하였고 연구 필요에 따른 조사설계, 설문지의 구성 및 분석 방법을 서술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의 가설을 실증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최종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컬처노믹스를 활용한 패키지디자인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탐구하였다. 두 번째는 컬처노믹스, 지역브랜드상품, 패키지디자인 세 가지 주제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패키지디자인에서는 컬처노믹스 전략을 활용한 지역브랜드상품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였고, 컬처노믹스 전략의 활용이 지역브랜드상품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역브랜드상품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과 구매의향이 패키지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패키지디자인에서는 도시·문화 이미지의 활용이 관광객의 지역브랜드상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번 조사는 2022년 10월 11일부터 11월 9일까지 총 30일가량 진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로는 부산을 여행하거나 방문한 적이 있는 관광객을 선정하였다. 최종 분석은 총 446부의 유효성이 있는 설문지를 통하여 진행되었다.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문지 데이터의 관련 통계처리를 분석되었으며, 분석방법에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타당성검증(요인분석: factor analysis), 신뢰도검증(cronbach's alph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이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패키지디자인, 지역브랜드상품, 컬처노믹스 세 가지 주제 간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패키지디자인에서는 컬처노믹스 전략을 활용한 지역브랜드상품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패키지디자인에서는 컬처노믹스 전략을 활용이 관광객의 지역브랜드상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Author(s)
- LI MINGXIA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컬처노믹스, 지역브랜드상품, 패키지디자인, 도시·문화 이미지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17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6055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dvisor
- 조정형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가. 연구 범위 3
나. 연구 방법 4
3. 연구 흐름도 6
II. 이론적 고찰 7
1. 컬처노믹스에 대한 이해 7
가. 컬처노믹스 개념 7
나. 컬처노믹스 효과 8
다. 컬처노믹스 전략수립 과정 10
2. 브랜드에 대한 이해 13
가. 브랜드 개념 13
나. 브랜드 역할 15
다. 브랜드 기능 16
3.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이해 17
가. 패키지디자인 개념 17
나. 패키지디자인의 기능과 역할 19
다.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 20
4. 소결 24
가. 브랜드와 패키지디자인의 관계 24
나. 컬처노믹스와 패키지디자인의 연계성 26
III. 패키지디자인의 사례 분석 27
1. 사례 분석 대상 선정 기준 27
2. 현황 분석 29
가. 부산 상징 이미지 29
나. 부산브랜드상품 패키지디자인의 현황 33
3. 사례의 분석 범위 및 방법 39
4. 사례 분석 42
가. 콘텐츠코어㈜ 42
나. 디자인부산㈜ 44
다. 대한공예예술연합회 46
5. 소결 48
IV.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제시 50
1. 연구모형 50
2. 연구가설 51
가. 컬처노믹스와 지역브랜드상품에 대한 상관관계 51
나. 지역브랜드상품과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상관관계 52
다. 컬처노믹스와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상관관계 53
3. 분석방법 54
4. 설문 예비조사 54
V. 실증적 연구 57
1. 인구 통계적 특성 57
2.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62
가. 신뢰성 검증 62
나. 타당성 검증 64
3. 상관관계 분석 67
4. 연구가설의 검증 69
가. 컬처노믹스와 지역브랜드상품에 대한 상관관계 69
나. 지역브랜드상품과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상관관계 70
다. 컬처노믹스와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상관관계 72
5. 분석결과 요약 73
VI. 결론 76
1. 연구 결론 및 시사점 76
가. 연구 결론 76
나. 연구의 시사점 79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8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