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크로스핏 참여자의 열정이 목표내용, 자기표현 동기, 신체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passion on goal content and Self-Presentation Motives and physical activity intention for participants in Crossfit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assion on goal content, self-presentation motives and physical activity intention for cross-fit participants. This study included 254 crossfit adult participants (170 male, 84 femal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 passion, goal content, self-presentation motives and physical activity intention. The SPSS program was tested u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goals, but harmonious passion had a greater effect than obsessive passion. Second, obsessive pa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quisitive communal motive and acquisitive communal motive. Third,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activity intention. It was found that harmonious passion had a greater impact on individual skill development and social recognition than obsessive passion, and the higher the harmonious passion, the more positive the participation of physical activit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obsessive passion, the more other participant’s awareness of my level of athletic ability had an effect o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The findings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passion, goal content and self-presentation motives literatures.|본 연구는 크로스핏 참여자의 열정이 목표내용, 자기표현 동기, 신체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 소재 크로스핏 박스(CrossFit Box)에서 크로스핏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 2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s)에 의해 조사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program을 활용하였으며, 가설검증에 따른 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은 내적목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화열정이 강박열정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박 열정은 성취획득동기, 관계획득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은 신체활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조화열정이 강박열정 보다 개인의 기술발달과 사회적 인정을 받기 위한 내적목표를 가지는 데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내적목표를 설정할수록 신체활동을 긍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강박 열정이 높을수록 다른 사람이 나의 운동능력 수준을 의식하는 것이 신체활동 참여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thor(s)
한승민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18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9686
Alternative Author(s)
Han Seung-M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Advisor
송용관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가설 7
4. 연구의 제한점 9
II. 이론적 배경 10
1. 크로스핏 10
2. 열정 14
3. 목표내용 16
4. 자기표현 동기 17
5. 신체활동 의도 18
III. 연구방법 19
1. 연구대상 19
2. 조사도구 22
3. 연구절차 36
4. 자료처리 37
IV. 연구 결과 38
1. 기술통계량 38
2. 상관관계 분석 46
3. 회귀분석 결과 48
V. 논 의 60
1. 크로스핏 참여자의 열정이 목표내용에 미치는 영향 60
2. 크로스핏 참여자의 열정이 자기표현 동기에 미치는 영향 63
3. 크로스핏 참여자의 열정이 신체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65
VI. 결론 및 제언 67
1. 결론 67
2. 제언 69
참고문헌 70
국문요약 76
부록 7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