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제품 속성 평가를 통한 서핑슈트 디자인 개발 연구
- Abstract
- 세계해양레저협회(ICOMIA)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워질 줄 알았던 해양레저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호황이다. 활동이 제한된 이 시기에 많은 사람들은 해양레저 활동을 통해 힐링하고 있었다. 서핑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해양레포츠 중 하나인데 서핑슈트는 대중의 접근성이보다 용이한 웨트슈트로서 수상스포츠웨어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 시장에 유통되는 서핑슈트는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시중 서핑슈트 제품은 기능성 및 활동성이 우수하지만 패션성이 부족 하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기능성과 활동성이 갖추어져 있으면서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과 트렌디한 패션성을 고려한 서핑슈트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해양레저 체험객 실태조사를 위한 부산광역시와 부산관광공사가 2021년 7~8월 광안리, 다대포, 송도, 송정, 해운대 5개 해수욕장에서 해양레저를 즐긴 체험객 1,035명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해 분석했다. 해양레저 체험객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20대와 30대(62%)가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해양레저 종목 중에서는 서핑을 체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제일 많은 차지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핑을 좋아하는 사람들 중에 가장 많은 20~30대 남여 연구대상자로 2022년 7월 13일부터 8월 20일까지 39일간 송정과 광안리, 다대포 해수욕장 등 서퍼들을 모여드는 해수욕장에 서핑 경험이 있는 20~30대 남녀 306명을 대상으로 서핑슈트 디자인 선호도, 제품속성 중요도 및 만족도 관련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핑슈트 소비자 디자인 선호도 조사 결과, 서핑슈트 형태에는 남성 소비자들이 풀 슈트와 롱 존을 디자인을 선호하였으며 여성 소비자들은 롱 존과 스프링 슈트를 선호하였다. 서핑슈트 스타일에는 남성 소비자들은 서핑슈트가 ‘간결한 디자인’을 선호하고 여성 소비자들은 서핑슈트가 ‘세련된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서핑슈트 컬러에는 남성 소비자들은 서핑슈트가 ‘단색’을 선호하고 여성 소비자들은 서핑슈트가 ‘단색+단색’을 선호하였다. 서핑슈트 문양에는 남녀 소비자들이 통일적으로 무문양의 디자인 방향을 선호하였다. 서핑슈트 제품속성 중요도 및 만족도에는 소비자들이 슈트 구입 시 슈트의 보온성, 신축성, 활동성, 속건성, 바느질 품질, 원단의 내구성, 입고 벗기 편리성, 소재 품질(촉감), 착용 시 심리적이나 신체적 느낌과 관련된 착용감(맞음새), 지퍼 위치, 가격, 할인 등 속성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착용 후도 이런 속성의 만족도가 높게 판단되기 때문에 경영자들이 이런 제품속성들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슈트의 배색, 디자인의 유행성 2가지 속성은 중요도가 높지만 이에 비해 소비자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 슈트의 배색 및 디자인의 유행성 문제를 가장 집중적인 투자가 되어,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소비자의 서핑슈트 형태 선호도를 바탕으로 2023년 S/S 스포츠웨어 트렌트 컵셉트인 ‘스마트 디자인’과 ‘마음이 가는 곳’ 2가지 콘셉트를 참고하여 20개 남녀 서핑슈트 디자인 방안을 개발하였다. 20~30대 선호하는 서핑슈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2022년 9월 2일부터 9월 6일까지 5일간 20~30대 총 340명 성인 남녀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설문을 통한 선호 비율이 높은 남성용 풀 슈트와 롱 존 및 여성용 스프링 슈트와 롱 존 각각 1세트를 선정하였다.
소비자 서핑슈트 디자인 선호도 결과를 바탕으로 각 아이템별 만족도가 가장 높은 슈트 형태를 선정하여 연구용 서핑슈트 제작한 후 총 2번의 동작 및 외관 평가를 하였다. 첫째, 한국 표준 인체치수(2020~21년 8차)’를 기준으로 기본 신체 치수의 편차 범위 내에 해당하는 건강한 20~30대 남성 피험자 5명과 여성 피험자 5명 및 의복 구성 전공하는 5명 관찰자를 선정하여 1차 연구용 서핑슈트 동작 및 외관에 대한 평가하였다. 1차 연구용 서핑슈트 동작 및 외관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항목의 만족도가 좋지 못하거나, 적합도에서 지나치게 음의 값이나 양의 값을 나타낸 사항들을 중심으로 패턴 재수정·보완을 거쳤고 2차 연구용 서핑슈트 원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1차 착의 평가와 동일한 피험자와 관찰자들을 대상으로 2차 연구용 서핑슈트 동작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2차로 착의 분석한 결과는 모두 항목에서 우수하게 평가되었고, 재수정 되어야 할 항목은 없었다. 따라서 3차로 재수정·보완된 항목을 생략하였으며, 2차 연구용 서핑슈트의 동작 및 외관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연구용 서핑슈트 원형을 완성하였다.
소비자의 서핑슈트 컬러 선호도 결과 및 글로벌 트렌드 예측 기관인 WGSN에서 발표된 2023년 컬러 트렌트인 갈락틱 코발트(Galactic Cobalt), 세이지 리프(Sage Leaf), 디지털 라벤더(Digital Lavender), 트랭퀼 블루(Tranquil Blue), 선다이얼(Sundial) 5가지의 컬러를 바탕으로 3D CLO 패
션 가상창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4 벌의 슈트가 각각 4가지의 컬러 매칭 방안을 제시하였다. 2022년 10월 20일부터 10월 24일까지 5일간 서핑에 관심이 있는 20~30대 총 339명 성인 남녀 대상으로 인터넷 투표의 방식을 통한 시리즈당 가장 높은 표의 컬러 매칭 방안을 선택하여 연구용 서핑슈트를 제작하였다. 개발한 연구용 서핑슈트의 특성을 아이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남성용 풀 슈트는 바다에서 활동 시 몸이 마찰 상처를 받지 않도록 보호해주고 무릎 부분의 무릎 패드로 내구성과 안정성을 보장해 줄 수 있다. 몸판에 3mm의 소재를 이용하여 팔, 다리가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 2mm의 소재를 이용하여 슈트의 활동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인체공학적인 패널 구조는 형태감과 바디라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허리 체형을 수선하는 효과도 있다. 어깨, 무릎 등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 패널을 추가해 활동성을 강화할 수 있다. 소매 내부에 파도 이미지인 논슬립 프린팅이 설치되어 파도가 소매를 젖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허벅지 부분에 절개가 있어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대비되는 스티치를 추가적인 디자인 디테일로 활용한다. 풀 슈트는 허리 뒤에 적당한 위치에 차키, 휴대폰 등의 수납이 용이한 주머니 디자인이 추가하였다. 등 뒤에 있는 지퍼에 긴 풀러가 달려있어 슈트 신고 벗기 편하고 지퍼 안쪽에는 지퍼 플라켓이 있어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활동 시 편안하다. 백 커버 패널을 사용하여 물의 유입을 최소화 하였으며, 블라인드 스티치 봉제 기술을 적용하였다.
여성용 스프링 슈트는 몸판에 3mm의 소재를 이용하여 팔이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 2mm의 소재를 이용하여 슈트의 활동성을 강화할 수 있다. 바디라인을 드러낼 수 있는 패널 구조 디자인 적용하여 하이웨스트 디자인으로 다리를 길어보이게 하였다. 사타구니 부분에 절개가 있어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다. 슈트의 등허리에 차키, 휴대폰 등의 수납이 용이한 주머니 디자인을 추가하였다. 등 뒤에 있는 지퍼에 긴 풀러가 달려있어 슈트 신고 벗기 편하고 지퍼 안쪽에는 지퍼 플라켓이 있어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활동 시 편안하다. 백 커버 패널을 사용하여 물의 유입을 최소화 하였으며, 블라인드 스티치 봉제 기술을 적용하였다.
롱 존은 민소매 조끼 디자인으로 패들링 동작을 할 때 등을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고 가볍고 수납이 용이하며 부담 없이 자켓과 레이어드도 가능해서 활용도가 높다. 롱 존의 패턴 디자인은 코르셋에서 영감을 받은 매력적인 실루엣을 디자인 하고, 대비되는 가슴 패널로 입체감을 추가하였다. 남성용 롱 존은 남성 체형의 우람함을 드러낼 수 있고 여성용 롱 존은 여성 몸매의 섹시함을 드러낼 수 있다. 서핑슈트의 허벅지 옆에 차키, 휴대폰 등의 수납이 용이한 주머니 디자인을 추가하였다. 또한 리쉬(Legrope)가 잘 착용하지 못하면 리쉬가 움직임을 수 있어서 서핑을 방해할 수 있어서 발목 부위에 리쉬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찍찍이 테이프를 추가하였다. 무릎 부위에 패널을 추가하여 슈트의 활동성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론적으로는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서핑을 제일 좋아하는 20~30대 소비자 대상으로 서핑슈트를 개발할 때는 첫째, 동작 및 외관 평가를 통하여 활동성에 불편함이 없는 원형 패턴을 개발하였다. 둘째, 시중 서핑슈트와 차별화된 트렌디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서핑슈트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서핑슈트 생산업체의 세분화된 타겟 설정과 다양한 디자인 전개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기능성과 활동성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과 트렌디한 패션성을 만족시키는 서핑슈트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Author(s)
- WANG HAIFENG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18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602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dvisor
- 조정형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3. 연구의 흐름도 7
II. 이론적 배경 8
1. 서핑 및 서핑슈트 8
가. 서핑의 역사 및 종류 8
나. 서핑슈트의 기능 및 특징 10
다. 서핑슈트의 디자인 요소 13
라. 서핑슈트의 선행연구 29
2. 패션제품 속성 31
가. 패션제품 속성의 개념 및 특성 31
나. 패션제품 속성의 선행연구 31
Ⅲ. 서핑슈트 디자인 프로세스 37
1. 디자인 프로세스의 정의 및 발전 37
2.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의 발전 42
3. 서핑 슈트디자인 프로세스 제안 48
Ⅳ. 연구방법 54
1. 서핑슈트 제품속성 평가지표체계 구축 54
가. 제품속성 평가지표 추출 원칙 54
나. 평가지표 그룹 구축 55
2. 전문가 인터뷰 59
가. 전문가 대상자 선정 및 면접기간 59
나. 면접 방법 및 자료 분석 60
다. 전문가 심층 인터뷰 논의 내용 61
라. 전문가 심층 인터뷰 결과 분석 66
3. 설문조사 67
가. 예비조사 및 설문조사 기간 67
나. 조사대상 및 내용 68
다.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69
라. 분석 결과 70
4. 소결 84
Ⅴ. 결과 및 논의 86
1. 서핑슈트 디자인 및 기획 86
가. 디자인 콘셉트 1 86
나. 디자인 콘셉트 2 89
2. 서핑슈트 연구용 서핑슈트 착의평가 91
가. 피험자 선정 91
나. 측정용구 및 방법 93
다. 연구용 서핑슈트 동작 및 외관 착의평가 98
3. 컬러 기획 133
4. 서핑슈트 제작 134
5. 소결 143
Ⅵ. 결론 145
1. 연구 결과의 요약 145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149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