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균열 무해화 기법에 의한 초음파 나노결정 표면개질 된 고강도강의 피로 파괴 해석
- Abstract
- Fatigue limit according to microcrack size was evaluated using the fatigue limit and the threshold stress intensity factor of the non-UNSM smooth specimen of alloy steel SCM435 for machine structural, and tool steel of SKD61. And using the fatigue limit and residual stress of the UNSM smooth specimen, the harmless maximum crack size according to the crack aspect ratio (As) was evaluat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imum crack size detectable by non-destructive testing, the crack size that reduces the fatigue limit by 25% and 50%, and were evaluated.
- Author(s)
- 김재훈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18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9141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재료공학과
- Advisor
- 남기우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논문의 구성 및 개요 8
참고문헌 9
제2장 SCM435의 피로 파괴 21
2.1 서언 22
2.2 평가 재료 및 방법 24
2.2.1 평가 시험편 24
2.2.2 잔류응력 분포 26
2.2.3 무해화 최대 균열 크기() 평가 28
2.2.4 결함 검출확률 31
2.3 평가 결과 및 고찰 33
2.3.1 미소 균열 크기에 따르는 피로한도 33
2.3.2 무해화 최대 균열 크기 37
2.3.3 표면균열 무해화 기술의 SCM435 안전성 47
2.4 결언 48
참고문헌 50
제3장 SKD61의 피로 파괴 58
3.1 서언 59
3.2 평가 재료 및 방법 60
3.2.1 평가 시험편 60
3.2.2 잔류응력 분포 62
3.2.3 무해화 최대 균열 크기 평가 63
3.2.4 결함 검출확률 63
3.3 평가 결과 및 고찰 64
3.3.1 미소 균열 크기에 따르는 피로한도 64
3.3.2 무해화 최대 균열 크기 69
3.3.3 표면균열 무해화 기술의 SDK61 안전성 76
3.4 결언 79
참고문헌 81
제4장 결론 88
발표 논문 90
감사의 글 93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재료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