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일티 모형을 이용한 부산광역시 주요 암종별 생존율 비교 분석
- Abstract
- 현대 의학의 발전으로 암 치료율이 매우 높아졌지만, 우리나라의 암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부산의 암 사망률은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부산지역에 등록된 암 환자 자료를 사용하여 국가 6대 암(위암, 대장암, 간암, 폐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환자에 대해 암 종별 생존분석을 시행하였다. 시군구 단위의 분석은 다양한 사회, 경제적 위치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거주하기 때문에 같은 지역이라도 큰 편차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한 분석을 위해 랜덤효과로 행정동을 고려한 프레일티 모형을 적합하였다. 또한 오래 전 진단 받은 사람들이 많이 포함돼 최근 경향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을 고려하여 자료를 4개의 기간으로 연도효과를 넣은 분석으로 각기 기간별, 암종별, 성별, 연령별, 병기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여성보다는 남성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은 생존율을 보였고 병기는 국한, 국소, 원격전이의 순으로 생존율이 급격하게 낮아졌다. 연도, 성별, 연령, 병기를 고정효과(fixed effect)로 하고, 행정동을 변량효과(random effect)로 두고 프레일티 모형을 적합한 결과, 행정동 간의 이질성이 유의한 것을 파악하였다. 기간별로 분류하여 최근 추세를 반영해 분석한 결과 대체로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사망할 위험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과 같은 역학적 정보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임상 연구에 적용한다면 암 생존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 지역에서 발생한 암환자에 대해서만 분석을 시행하였고, 발생 당시 주소에 대해 결과를 나타냈었지만, 다른 시도나 부산 내 다른 동으로 이동한 경우 추적조사를 통하여 더욱 정확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Author(s)
- 장승혜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18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9113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인공지능융합학과
- Advisor
- 권기룡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1 연구 배경 1
1.2 연구 목적 및 내용 3
Ⅱ. 연구 방법 5
2.1 자료 설명 5
2.2 분석방법 6
2.3 카플란 마이어 추정량 7
2.4 프레일티 모형 8
2.5 가능도 추론 9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1
3.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1
3.2 생존율 추정 16
3.2.1 기간 (2000-2019) 17
3.2.2 기간 (2010-2014) 29
3.2.3 기간 (2015-2019) 41
3.3 모형적합 및 시각화 결과 53
3.3.1 기간 (2000-2019) 53
3.3.2 기간 (2010-2014) 63
3.3.3 기간 (2015-2019) 72
Ⅳ. 결론 및 제언 80
Ⅴ. 참고문헌 81
부록 A 박탈지수 포함 결과 85
부록 B 기간1,2 결과 10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인공지능융합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08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