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Local Endoscopic Photothermal Ablation against the Hepatobiliary-pancreatic Disease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간담췌질환은 간, 담관, 담낭 및 췌장에서 발생하는 담석증과 같은 양성 질환부터 췌장암, 담관암과 같은 악성 질환을 일컬으며, 기능 및 해부학적으로 인체에서 복잡하게 얽혀 있어 수술적 접근이 매우 어려운 질환이다. 대표적으로, 췌장암이나 악성 담관 협착과 같은 악성 질환은 조기 사망률이 매우 높고, 초기 단계에서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대부분 환자는 진단 당시에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로, 효과적인 치료법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개발된 광전달기기를 이용하여 내시경을 기반으로 최소침습적 광열절제술을 적용해 췌장암과 악성 담관 협착에 대한 치료법을 개발하였으며, 균일하고 예측 가능한 광열 치료를 전달하기 위해 레이저와 광전달기기의 다양한 변수를 적용하여 치료 조건에 따른 절제 범위를 육안 평가와 병리학적 평가를 통해 정량화하였다. 결과적으로, 내시경을 기반으로 국소 광열절제술의 적용 가능성과 치료 유효성을 보여주었으며, 레이저 및 광전달기기의 여러 가지 조건과 변수들을 조절하여 균일하고 예측 가능한 절제 범위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질병 모델 및 대동물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임상적 치료 조건 수립을 위해 장기적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Author(s)
임성희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27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3991
Alternative Author(s)
간담췌질환에 대한 국소 내시경 광열절제술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
Advisor
강현욱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
1.1. Hepatobiliary-pancreatic disease 1
1.2. Endoscopic application of photothermal ablation 2
Chapter 2. Endoscopic ultrasound-guided laser ablation for pancreatic cancer treatment 4
2.1. Introduction 4
2.2. Materials and methods 5
2.2.1. Devices and laser system 5
2.2.2. In vivo porcine tests 6
2.2.3. Histological analysis 7
2.2.4. Statistical analysis 8
2.3. Results 10
2.4 Discussion and conclusion 17
Chapter 3.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scopy-guided laser 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biliary stricture 22
3.1. Introduction 22
3.2 Materials and methods 24
3.2.1 Devices 24
3.2.2 Ex vivo tests 25
3.2.3 Statistical analysis 28
3.3 Results 30
3.4 Discussion and conclusion 39
Chapter 4. Impact of residual air trap in balloon on laser treatment of tubular tissue 44
4.1. Introduction 44
4.2 Materials and methods 47
4.2.1 Device preparation 47
4.2.2. Air trap evaluation 47
4.2.3. Optical simulation 49
4.2.4 Thermal simulation 50
4.2.5 Ex vivo experiments 54
4.2.6. Quantitative evaluation 55
4.3 Results 61
4.4 Discussion and conclusion 71
Chapter 5. Discussion and conclusion 76
5.1. Summary of current findings 76
5.2 Further directions 78
References 8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1-01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