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독서활동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학업 효능감의 매개효과
- Alternative Title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ctivities,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독서활동,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학업 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독서활동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학업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교육종단연구(BELS)의 6차년도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고3 패널 데이터 1,770명을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팬텀 변수를 활용한 부트스트랩 분석을 통해 학업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활동,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학업 효능감,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독서활동이 많을수록 고등학생의 학업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질수록 고등학생의 학업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 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학업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고등학생의 독서활동은 학업 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은 학업 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생의 독서활동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정의적 변인인 학업 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강한 변인인 학업 효능감은 독서활동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영향을 받는 변인이며, 이는 다시 학업성취를 높이는 매개변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는 학생들의 개인적 요인과 가정 요인을 더 추가하여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전국 단위의 데이터를 활용함과 동시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인들의 변화 궤적과 종단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ctivities, parent-child communic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ctivities,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from the 6th-year panel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for general track high school senior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After handling missing data, a final sample of 1,770 participants out of the total 2,365 participants from the Grade 3 panel data was analy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bootstrap analysis using a latent variable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activities, parent-child communic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higher levels of reading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academic self-efficacy. Additionally, more open and communicative parent-child relationship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Furthermore, higher levels of academic self-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Similarly, parent-child communication had a sta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ctivitie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academic self-efficacy. Particularly, academic self-efficacy, which is a strong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reading activitie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t can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o develop various reading activity programs and parent education or counseling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the personal and family factors that can predict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dditionally, using nationwide data can help overcome regional limitations. Conducting longitudinal studies that explore the trajectory of changes over time and establish causal relationships will also be crucial.
- Author(s)
- 남수정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학업성취도, 독서활동,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학업 효능감, 매개효과, 고등학생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32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3017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
- Advisor
- 강승희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독서활동 9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12
3. 학업 효능감 17
4. 독서활동,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학업 효능감,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20
Ⅲ. 연구방법 35
1. 데이터 및 표본 35
2. 측정 변인 37
3. 분석 방법 40
Ⅳ. 연구결과 42
1. 기술통계 42
2. 확인적 요인분석 47
3. 구조모형 검증 51
4. 매개효과 검증 55
Ⅴ. 논의 및 결론 57
1. 논의 57
2. 결론 및 제언 61
참고문헌 6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교육컨설팅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8-07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