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대만 여행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국음식의 구매만족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Food-related Lifestyle and Korean Food Satisfaction of Taiwanese Travelers
Abstract
본 논문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한국음식에 대한 구매만족도로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방한 대만 여행객의 시장세분화를 파악 하여, 관련 관리와 마케팅전략에 대한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아.
첫째, 한국여행을 해 번 적이 있는 대만사람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 타일을 조사한 결과, 4 개의 소비자시장으로 세분화 하였으며 특징에 따라 각 각 새로운 메뉴 추구군집, 스마트 소비 추구군집, 보수적 소비 추구군집, 미감 편의 추구군집으로 명명하였다.
세분시장1인새로운메뉴추구군집은음식유행빨리수용하며, 인기음식 빨리 먹고 싶고, 맛있어 보이면 구매하며 음식 선택 시 맛을 우선 고려하고 가 격 비싸더라도 좋은 식품을 구매하는 유행을 따라가거나 잘 아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세분시장 2인 스마트 소비 추구군집은 식품을 살 때 내용물의 성분, 가격, 유통기한을 을 확인하며 경제적인 측면까지 고려하여 조리가된 음식 자주 구입한다. 더불어 음식 선택 시 맛도 우선 고려한 것까지 여러 특징을 나타내었다.
세분시장 3 인 보수적 소비 추구군집은 식품을 필요할 때만 구입하며 식당 을 자주 바꾸지 않고, 특히 음식 유행 타 군집에 비해 잘 모르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세분시장 4 인 미감 편의 추구는 혼자 집에 있는 경우 간식을 많이 먹고 조리가된 음식 자주 구입하며 인스턴트식품을 자주 먹는 것은 타 군집에 비해 가 장 많다. 또한 아름다운 식품을 식욕에 영향을 받고 눈을 끄는 음식이 더 맛있다고 생각하다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둘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 는데, 세부시장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세분시장 2 가 "스마트 소비 추구군집" 은 한식 구매만족도의 식당 직원의 위생 상태, 식당의 청결도, 음식의 제공량, 음식의 맛, 음식의 신선함, 음식의 모양 등 양의 영향을 것으로 검증되었다. 세 분시장 3 가 "보수적 소비추구향"은 한식 구매만족도의 음식의 제공량, 음심의 신선함, 음식의 모양 등 양의 영향을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미감 편의추구군집이랑 새로운 메뉴 추구군집 등 소비자들 한국음식의 만족도를 추진하기위해 다국어 메뉴, 서비스 직원의 다국어 능력 또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여 관광객이 원활하게 음식을 주문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한 다. 온라인 플랫폼에서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음식 사진 및 식사 체험 공유를 제 공하고 트렌디한 한국음식을 제공하며 한국의 유행요소와 독특한 스타일이어 우러져 관광객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한다. 또한 요리사와의 상호 작용, 음식 공유 활동 또는 다른 관광객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와 가치가 있는 식사 경험 을 제공하다는 조언을 제시하였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world's tourism industry and the pursuit of cultural experiences, food and beverage tourism has become a popular form of travel. Korea is one of the most popular destinations for tourists from Taiwan and is known for its unique culinary culture and cuisine. Tasting Korean food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experiences from Korean tra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survey of food- related lifestyle for Korean food, we conduct a market segmentation by using the difference survey of food-related lifestyle for 345 Taiwanese tourists who have traveled to Korea. We use the SPSS 25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market and its purchase satisfaction survey on Korean food.
Analyzing with cluster analysis, the market was subdivided into sub-market A is called “Popular Menu Group”,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fonding to pursue new food or trend compared with other groups. Sub-market B is called “Smart Consumption Group”, which has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attaching importance to product information, health, and price compared with other groups. Sub-market C is called “Conservative Consumption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is less likely to change their tastes and less interested in current trends with other groups. Sub-market D is called “Convenience and Aesthetic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are convenience-oriented and aesthetics-oriented.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food-related lifestyl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food consumption satisfaction.
Author(s)
TSENG TE FU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34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428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설훈구
Table Of Contents
1. 서론 1
1.1.연구 배경 1
1.2. 연구 목적 2
1.3. 연구 방법 3
1.4. 연구 구성 4
2.이론적 배경 5
2.1.식생활 라이프스타일 5
2.1.1.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개념 5
2.1.2.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선행연구 6
2.2.한국음식 9
2.2.1.한국음식의 특징 9
2.2.2.한국음식의 우수성 10
2.2.3.한국음식의 만족도 11
3.연구방법 13
3.1.연구 대상 및 기간 13
3.2.변수의 조작적 정의 13
3.2.1.식생활 라이프스타일 13
3.2.2.한식 구매 만족도 14
3.3.설문지 구성 15
3.4.자료 분석방법 17
4.실증 분석 18
4.1.표본의 특성 분석 18
4.2.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군집분석 21
4.3.군집에 따른 차이분석 25
4.3.1.군집별 인구통계적 차이분석 25
4.3.2.군집별 한식 만족도 차이분석 29
4.4.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군집에 따른 한식 만족도의 분석 30
5.결론 32
5.1.연구 결과 32
5.2. 연구의 시사점 34
5.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34
6.참고문헌 36
7.설문지 4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경영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8-0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