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형 체험기법을 적용한 프로젝트 매핑활용 전시디자인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xhibition Design with Project Mapping Using Immersive Experience Techniques: Focus on the National Maritime Museum in Busan, Korea
- Abstract
- 시대가 변하고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시각적 전달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다양해졌다. 이는 전시 산업의 지속적인 혁신을 촉진했고, 과학 기술 상품의 응용을 넘어 전시방식에도 반영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기술의 최근 성과, 특히 그래픽 이미지, 가상현실 및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AI시대의 전시 산업 분야에 새로운 특성과 하이라이트를 부여했다. 몰입형 전시는 오디오, 시각, 촉각 등 다중 요소를 융합해, 관람객이 마치 가상 세계에 들어온 듯한 느낌을 준다. 관람객은 전시물과 상호작용함을 통해 역사나 과학기술 등 주제에 대해 몰입형 체험을 경험하고 더 풍부하고 깊은 관람 경험을 얻을 수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전시품에 대한 표현 외에도, 몰입형 전시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다양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보다 사실적인 관람 체험을 조성할 수 있다.
시대가 변하고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시각적 전달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다양해졌다. 이는 전시 산업의 지속적인 혁신을 촉진했고, 과학 기술 상품의 응용을 넘어 전시방식에도 반영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기술의 최근 성과, 특히 그래픽 이미지, 가상현실 및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AI시대의 전시 산업 분야에 새로운 특성과 하이라이트를 부여했다. 몰입형 전시는 오디오, 시각, 촉각 등 다중 요소를 융합해, 관람객이 마치 가상 세계에 들어온 듯한 느낌을 준다. 관람객은 전시물과 상호작용함을 통해 역사나 과학기술 등 주제에 대해 몰입형 체험을 경험하고 더 풍부하고 깊은 관람 경험을 얻을 수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전시품에 대한 표현 외에도, 몰입형 전시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다양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보다 사실적인 관람 체험을 조성할 수 있다.본 연구는 박물관 디자인 실천에 심류이론을 적용하여 관람객이 몰입감 있는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자신을 잊는 깊은 몰입감의 즐거운 상태를 즐길 수 있길 희망한다. 이를 통해 박물관 관람안내의 디자인 설명형식과 상호작용방식의 문제점을 적절히 해결하고, 관람객의 관광 체험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채택된 연구 수속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박물관 몰입형 프로젝션 전시의 관련 현황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박물관에서의 몰입형 프로젝션 기술 응용 및 개발 상황을 보다 깊이 이해한다. 응용 및 개발 상황에는 몰입형 전시의 개념, 분류 및 기능을 포함한다.
두 번째, 몰입형 전시 디자인의 주요 내용 중 하나는 실제 현장에 있는 듯한 전시 체험을 만든다. 이를 위해서는 관람객의 지각 가치에 대한 개념과 각 가치 차원의 분류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몰입형 전시에서 관람객의 심류 체험과 가치 지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감각적 체험, 감정적 체험, 사고성, 행동 참여와 전반적인 관련성을 포함한다.
세 번째, 선행연구를 통해 몰입형 전시에서 관람객의 심류 체험과 가치 지각을 깊이 이해하고, 각각의 가치 차원을 추출한다. 가치 차원에는 오감의 감성정도, 감정성, 사고성, 행동성, 관련성이 포함된다. 가치 차원을 바탕으로 해양박물관의 몰입형 프로젝션 전시 디자인을 위한 평가지표체계를 수집하고 이를 구축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표 간 가중치를 분석하고, 디자인 평가모형(ADP모형)을 구축한다. 이러한 방식은 해양박물관의 몰입형 프로젝션 전시 관련 디자인을 더 합리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여, 관람객의 참여와 만족도를 높이고 박물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네 번째, 부산 국립해양박물관을 평가모형의 실증연구를 위한 사례로 선정하여 평가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또한 부산 국립해양박물관의 몰입형 전시 디자인의 단점을 정리하고 맞춤형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평가모델 구축해 객관적인 디자인 기준을 제공하고, 미래 해양박물관의 몰입형 전시 디자이너가 참고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방향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제안은 디자인 계획의 선택과 후속 디자인 개선의 기초적 바탕과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디자인의 적절성을 강화하며, 전시 몰입도 부족과 박물관 문화 특성의 문제 등을 해결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해양박물관 문화의 효과적인 전파를 실현하고 박물관 문화산업의 발전에 힘을 보태고자 한다.
- Author(s)
- 명판모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프로젝션매핑,몰입형전시,디지털전시,인터랙티브,융합디자인,감정성,관련성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36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4273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dvisor
- 조정형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가. 연구의 배경 1
나. 연구의 목적 5
2. 연구 범위 및 방법 7
가. 연구의 범위 7
나. 연구의 방법 8
3. 선행연구 및 차이점 11
가. 선행연구 11
나. 연구 차이점 12
4. 연구 흐름도 12
II. 이론적 배경 14
1. 물입형 프로젝션 매핑 의 이해 14
가. 물입형 프로젝션 매핑의 개념 14
나. 몰입형프로젝션 디스플레이분류 15
다. 프로젝션 매핑의 적용 기술 18
2. 해양 박물관의 관련 개념 및 기능 24
가. 해양박물관의 개념 24
나. 해양박물관의 기능 26
3. 해양박물관과 프로젝션 매핑의 관계 및 응용 29
가. 해양박물관과 프로젝션 매핑의 관계 29
나. 프로젝션 매핑의 전시 활용 30
다. 관련 선행연구 31
4. 심류학(心流說) 이론 33
가. 심류학의 개념과 특징 33
나. 체험 디자인 차원 36
다. 몰입형 프로젝션 전시 디자인과 심류 이론의 관계 42
라. ‘심류’ 몰입의 이론 선행연구 43
마. 소결 45
III. 몰입형 프로젝션 전시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46
1. 몰입형 프로젝션 전시 사례 분석 46
가. 한국 사례 46
나. 해외 사례 51
다. 소결 56
2. 몰입형 프로젝션 전시 디자인 이해 57
3.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구축 59
4.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결과 분석 62
가. 디자인 조사단계 63
나. 요소분석단계 65
다. 방안 연구 단계 68
라. 생산창작 단계 71
마. 검증평가 단계 74
4. ADP 모델 중심어 78
IV. 실증연구 81
1. 평가지표 추출 선행연구 81
가. 평가 체계 구축 원칙 81
나. 평가지표 구성 구축 82
2. 지표 추출 방법 88
가. 방법과 흐름 89
나. 전문가 선정 91
다. 전문가 설문 95
3. AHP 계층분석법 105
가. AHP요약 105
나. 모델 구축 106
다. 평가지표 가중치 확정 107
라. 판단행렬의 분석 결과 113
4. 소결 123
V. 제안 125
1. 제안 선정 125
가. 제안 선별 125
나. ‘별별바다神’ 전시회 관람객 만족도 조사 130
다. 평가 결과 분석 134
라. 소결 137
2. 디자인 개선 제안 139
가. 디자인 과정 139
나. ADP모델 적용 141
다. 설계제안 147
VI. 결론 및 향후 전망 153
1. 연구결론 153
2. 연구의 한계점 158
가. 전시 주제의 국한성 158
나. 장소와 설비 조건의 제한성 159
3. 향후 전망 159
가. 체험경제가 촉진하는 몰입형 해양 체험 159
나. 해양류 몰입형 전시와 인공지능의 미래 전망 160
참고문헌 162
부록 166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59-12-30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