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캔맥주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상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제품의 질이 평준화되면서 제품이 소비자를 마주하는 첫 번째 명함이라 할 수 있는 패키지디자인의 기능과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이에 본 논문은 코로나 시대를 지나 경제가 전면적으로 회복되는 시기에 캔맥주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소비자를 유치하고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유통 중인 캔맥주 주요 제품 중 2022년 국내 맥주 매출 순위 및 시장점유율 상위 5개 맥주 브랜드인 카스, 테라, 필라이트, 하이트, 클라우드를 대상으로 패키지디자인의 주요 5가지 요소(브랜드 로고, 색채, 일러스트레이션, 레이아웃, 네이밍)에 대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캔맥주를 구입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335명을 대상으로 31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 소비자가 선호하는 패키지디자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설문의 결과, 소비자가 선호한 요인 중에서는 '색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은 '브랜드 로고’,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네이밍'순이었다.
또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캔맥주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조사 분석을 통해 캔맥주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가운데 ‘색채’가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소비자의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5가지 캔맥주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가 가장 선호한 제품은 테라였고 카스, 필라이트, 하이트, 클라우드의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는 테라가 5가지 캔맥주 중 봄과 여름을 연상시키는 푸른 잎과 연한 풀의 선명한 녹색을 사용하여 소비자들에게 독특한 시각적 충격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 외 카스, 필라이트, 하이트는 일반적으로 바다, 하늘, 물, 우주 등을 연상시키는 청정한 파란색을 사용하였으며, 소비자 선호도가 가장 낮은 클라우드의 경우 반짝임, 빛 등을 상징하는 골드 위주의 컬러를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20대 소비자들의 캔맥주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산뜻하고 명료한 색채를 사용하여 역동적인 색채 조합을 모색해야 하며, 소비자의 뇌리에 깊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독특한 색채로 눈길을 사로잡아야 한다.
Author(s)
XU JIAMENG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Keyword
캔맥주,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 선호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43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627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장청건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5
II. 이론적 배경 8
1. 캔 및 맥주의 이해 8
1.1. 캔의 특성 8
1.2. 캔맥주의 역사 9
1.3. 맥주의 정의 11
1.4. 맥주의 발전과정 13
1.5. 맥주의 특성과 원료 16
1.6. 맥주의 제조와 분류 17
2. 패키지디자인의 이해 20
2.1. 패키지디자인의 개념 20
2.2. 패키지디자인의 역할 및 기능 23
2.3. 패키지디자인의 중요성 27
3. 소비자 선호도 30
3.1. 소비자 선호도의 개념 30
3.2. 소비자 선호도의 이해 32
4.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이해 35
4.1.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의 개념 35
4.2.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 37
Ⅲ. 캔맥주 패키지디자인 사례분석 45
1. 사례분석 방법 45
2. 2022년 판매량 톱5 캔맥주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요소 및 분석결과 53
2.1. 카스(Cass)의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 및 분석 53
2.2. 테라(Terra)의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 및 분석 55
2.3. 필라이트(Filite)의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 및 분석 57
2.4. 하이트(Hite)의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 및 분석 59
2.5. 클라우드(Kloud)의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 및 분석 61
3.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비교결과 63
Ⅳ. 실증연구 65
1. 연구모형 65
2. 연구문제 및 가설 66
3. 연구 대상물의 선정 66
4. 설문지 구성 67
5. 자료수집 71
6. 분석방법 71
Ⅴ. 조사결과 및 분석 72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대한 분석 72
2. 캔맥주 음용 정도 및 구입 방식 조사 74
3. 측정변수에 대한 신뢰도 76
4.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 인식 79
5. 성별에 따른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 80
6. 연령에 따른 패키지디자인 시각적 요소 82
7. 5가지 캔맥주 패키지디자인의 소비자 선호도 관계 분석 84
Ⅵ. 결론 86
1. 연구의 결과 86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88
참고문헌 90
Abstract 96
부록 9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8-0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