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특성화여고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특성화여고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방안에 관해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김해에 있는 A 특성화여고에서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 28명과 지도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s)에 따라 조사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E-STAT 3.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가설검증에 따른 분석은 빈도 분석, 교차분석, 카이검정, 독립 T-test, ANOVA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성화여고 학생들은 전체 학생 수에 비해 극소수의 인원들만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여고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체력이 좋은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특성화 여고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로 흥미 및 관심의 결여, 사교육으로 인한 시간 부족, 홍보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향후 가장 희망하는 종목은 배구, 피구 순이었으며, 축구, 배드민턴 등도 희망하는 학생이 많았다.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 스포츠클럽과 연계하여 평생체육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는 요구도 있었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는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한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도 대체로 긍정적이라고 답변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은 풍부한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용품 구매 및 강사비 책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다양한 종목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지역 체육회와 연계하여 강사 지원을 받는 시스템이 업무 스트레스가 된다고 응답하였다. 아울러 모든 학교 교사들의 적극적인 연수로 다양한 종목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고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한다면 특성화여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활성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이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ways to revitalize school sports club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 participants and three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at A Specialized Girls' High School in Gimhae, and were survey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using questionnaires. The E-STAT 3.0 Version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chi-test, independent T-test, and ANOVA analysis for analysis according to hypothesis verification. research findings, number one. It was found that only a small number of student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Second, although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was somewhat low, students with good physical strength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hird, the reasons wh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annot actively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were in the order of lack of interest and interest, lack of time due to private education, and lack of publicity. The most desired events for students in the future were volleyball and dodgeball, and many students also wanted soccer and badminton. As for the matters that need to be improved to revitalize school sports clubs, the provision of various programs was the highest, and there was also a demand to present a vision for lifelong sports in connection with local sports clubs. Fourth, as a result of interviews with instructors who run school sports clubs, they answered that overall student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nd that the response to the program is generally positive. The biggest difficulty in operating school sports clubs is that it is difficult to purchase supplies and set instructor fees due to lack of financial support. As for the reason why programs in various sports are not operated, they responded that the system that receives instructor support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sports association is a work stress. In addition, he added that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sports programs with the active training of all school teachers and reviving the needs of students will be of great help in revitalizing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uthor(s)
김원재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44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5404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Advisor
김대희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가설 4
4. 연구의 제한점 5

II. 이론적 배경 6
1. 학교스포츠클럽 6
2. 특성화고등학교 10
3. 스포츠클럽 법 13
4. 학교체육진흥법 15

III. 연구 방법 17
1. 연구대상 17
2. 조사도구 20
3. 연구절차 25
4. 자료처리 26

IV. 연구 결과 27
1. 특성화여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참여실태 27
2. 특성화여고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만족도 41
3. 특성화여고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방안 45

V. 논 의 56
1. 특성화여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참여실태 56
2. 특성화여고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만족도 58
3. 특성화여고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방안 59

VI. 결론 및 제언 61
1. 결론 61
2. 제언 64

참고문헌 65
국문요약 70
부록 7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8-0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