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플로팅건축 중심의 해상도시 계획을 위한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그에 따른 토지부족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방안모색을 위해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래 지구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해상도시가 거론되고 있다. 특히 부산에서는 가덕신공항활주로를 플로팅 공법으로 하겠다고 국토교통부에 검토를 요청하였고, 2017년 7월 UN-HABITAT(유엔인간주거계획)로부터 ‘지속가능한 해상도시에 대한 역사적인 이니셔티브’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받았고, 2022년 4월 세계 최초의 지속 가능한 수상 도시 프로토타입 설계가 공개되었다. 플로팅건축에 대해 관심과 연구가 증대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플로팅건축에 새로운 관점의 접근과 디자인관점의 플로팅건축이 마케팅의 매개체 역할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플로팅 건축물을 중심으로 한 해상 도시 계획에 디자인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이루는데 필요한 디자인 적용에 관하여 다루었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 고찰과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외 플로팅 건축물의 용도를 기준으로 주거시설, 상업시설, 문화시설로 분류하여 사례를 조사하여, 디자인적용요소를 분석하고, 향후 플로팅건축의 디자인적용요소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디자인 적용요소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디자인결과물을 도출하여 인공지능과 디자인산업의 융합도 함께 제시하였다.

플로팅 건축물의 사례에서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주변 환경과의 조화와 시야 확보 등을 위한 목재 및 유리와 친환경 재료 사용, 태양광 발전 및 수열 이용, 물 재사용 등을 통한 에너지자급, 관광요소를 위한 외형디자인 강조 등의 내용을 많이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플로팅 건축물은 수상에 있는 위치의 장점인 탁 트인 시야를 확보하고 공간의 답답함을 줄이기고, 경관조명을 활용하기 위해 기본골조와 대부분 유리소재를 활용하였다. 그래서 다양한 색채를 찾아보기는 힘들지만 주거시설로 활용중인 플로팅 건축물에서는 다양한 색채 사용을 볼 수 있었다.

플로팅 건축의 디자인 적용방안으로는 첫 번째, 지속 가능한 디자인으로 플로팅 하우스는 지속 가능한 재료와 건축 방식을 사용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두 번째, 수위 변화나 기상 조건 등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연한 디자인을 적용하여 필요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적인 요소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플로팅 하우스의 효율적인 건축물 관리를 위해 디자인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건축물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고 자동화된 시스템 적용이 요구될 것이다. 네 번째, 플로팅 하우스는 바다에 위치하므로, 바다 생태계와의 조화를 유지할 필요가 있어서, 플로팅 하우스 디자인에서는 환경 친화적인 재료와 방식을 적용하여 바다 생태계를 보호가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다섯 번째, 플로팅 하우스는 수상에서 사용되는 건축물로 안전성과 유지보수성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바다 환경에 노출되어 염분에 의한 부식과 부재의 피로에 대한 대처방안 등 안전성과 유지보수성을 고려한 디자인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 특성 반영이다. 플로팅 하우스는 지역과 바다 상황에 따라 위치나 환경이 다르므로 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
해양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해양 생태계의 보존을 고려하여 플로팅 건축물과 관련된 디자인 원칙과 전략을 함께 제시하여 플로팅 건축의 디자인적용 활성화와 해양디자인의 적용범위 확장이 기대된다.
Author(s)
이진희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Keyword
플로팅건축, 해상도시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44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1981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dvisor
조정형
Table Of Contents
1.서론 1
1.1.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연구의내용 및 방법 4
1.3.연구흐름도 6

2.이론적 배경 7
2.1 플로팅 건축 7
가.플로팅 건축물의 개념 7
나.플로팅 건축물의 역사 9
다.플로팅 건축의 현황 11
라.플로팅 건축물 관련지침 13
마.플로팅 건축의 구분 17
바.플로팅 건축의 필요성 19
2.2.해양디자인 21
가.해양디자인의 개념 21
나.해양디자인의 분류 23
다.해양디자인의 활용 24
2.3.해상도시 26
가.해상도시 개념 26
나.해상도시 동향 26
다.플로팅 건축물에서 디자인 고찰 29
2.4.인공지능과 디자인 32
가.인공지능 정의 32
나.인공지능 디자인 적용 33

3.플로팅 건축물의 디자인 적용방향 연구 36
3.1.플로팅 건축 사례 37
가.주거시설 37
나.상업시설 47
다.문화시설 55
라.소결 64
3.2.사례분석 65
가.플로팅건축 주요특징 65
나.색채분석 66
다.소재분석 70
라.사례 종합분석 72
마.소결 74

4.연구결과 77
4.1.디자인 요소별 적용제안 77
가.부산 북항 해상환경 조건 78
나.색채제안 79
다.소재 및 마감제안 83
라.방파제 디자인 적용 제안 85
4.2.디자인 적용방안 제안 86
가.부산 해상도시계획의 디자인적용 86
나.부산의 해상도시를 위한 플로팅 건축 디자인 방향 88
4.3.디자인 결과물 89
가.도출과정 89
나.도출이미지 91

5.결론 및 제언 94
5.1.해상도시 계획과 플로팅 건축 94
5.2.시사점 및 향후과제 9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8-0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