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환경심리학에 기초한 야간조명이 여행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ight Lighting on Travelers based on Environmental Psychology :Centering around Busan Haeundae Beach
Abstract
최근 몇 년 야간 관광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도시의 야간 경관 조성은 더 많은 산업 발전을 촉진하며 도시의 이미지를 개선했다. 조명은 야간 경관의 필수적인 조건으로 다른 환경요인과 함께 전체적인 야간 환경을 구성한다. 야간조명은 사람의 지각 과정 중 환경 분위기에 맞는 심리적 감각을 만들며, 보는 이에게 환경으로부터 좋은 정서적 감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점에서 야간조명은 야간 경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부산 해운대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해 해수욕장 주변의 야간조명 현황을 연구했다. 환경의 조명 요소는 사람의 시각적 지각 수준에서 심리적 감각 수준에 이르기까지 사람에게 자극과 영향을 주며, 행동 패턴을 자극하고 변화를 가져온다. 본문은 환경 심리학을 접목해 해운대 야간조명의 미학성, 문화성, 체험성이라는 3가지 측면을 연구했다.
먼저 사전조사, 실사조사,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해운대 야간조명 현황을 연구 분석했다. 그 결과 해운대 야간조명은 미학성과 문화성에 있어 관람객에 대한 전달이 이상적이었지만, 체험성의 전달이 다소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대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야간조명으로 인한 체험성의 필요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대표적인 해외도시 6개를 선정해 체험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각각의 사례마다 체험성에 대한 적용방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모든 사례가 체험성 상호작용의 요소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야간조명 디자인에 체험성 디자인을 추가하는 것은 하나의 필수적인 디자인 유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후, 해외 6개 사례의 조명 체험성 응용 방법에 대한 결론을 18개로 정리했다. 18가지 체험성 응용 방법을 설문지 문제로 적용하여 조명 체험방식에 대한 사람들의 구체적인 선호도를 조사 연구하였고,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운대 조명 디자인 개발 방향성을 제시했다.
通본 연구를 통해 해운대 야간조명에 대한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해운대 관광객 수 증가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서론은 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 및 방법을 확정하고 본 연구의 프로세스 체계도를 기술하였고, 관련 자료의 정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타당도를 제시했다.
이론적 배경 부분에서 먼저 환경 심리학의 개념, 발전 과정, 이론적 내용을 설명한다. 다음으로, 조명 이론의 개념과 내용, 야간조명의 정의, 유형 및 방식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환경 심리학과 조명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조명 디자인 원칙 3가지를 제안한다.
제3장에서는 부산과 해외도시의 야간조명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는 해운대해수욕장 주변의 10가지 조명 장치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해외 사례에 대한 비교분석을 위해 6개 도시를 선택하였다. 본 장의 분석 결과는 본 연구의 가치와 체험성이 야간 조명 디자인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인 것을 한 번 더 확인시켜줬다.
제4장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야간조명 체험성 디자인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조사대상자의 기본 정보 조사와 조명 체험성 선호도 조사로 나뉘었다. 조사 결과 데이터는 SPSS 분석을 통해 설문지 및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조사 참여자가 원하는 향후 야간조명 체험성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했다.
제5장에서는 사례분석과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운대 야간조명 디자인을 제안했다. 앞선 분석 결과를 통해 해운대 체험성 조명의 향후 디자인 방향과 트렌드를 제시했다.
정리하면, 조명 체험성의 중요성을 요약했다. 조명의 체험성 디자인은 해운대의 야간조명 이미지를 높이고, 부산의 야간 관광을 활성화하여 도시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더하여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에 대한 기대효과를 제시하여, 향후 연구자들이 연구를 계속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Author(s)
반준한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Keyword
야경, 야간조명, 해운대, 체험성, 상호 작용성, 몰입감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46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4144
Alternative Author(s)
PAN JUNXI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dvisor
김철수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II. 이론적 배경 10
1. 환경심리학 고 10
가. 환경심리의 개념 10
나. 환경 심리학의 발전 과정 11
다. 환경 심리학의 내용 13
라. 환경 심리학의 특징 14
2. 조명의 이론 분석 15
가. 조명의 개념 15
나. 조명의 목적 16
다. 야간조명 18
3. 환경심리학에 기초한 조명 22
가. 환경심리학과 조명의 관계 22
나. 환경심리학에 기초한 조명 디자인 원칙 25
III. 부산 야간조명 현황 및 해외 사례 분석 31
1. 해운대 해수욕장 주변 조명 현황 분석 31
가. 분석 요약 31
나. 평가 방법 33
다. 사례 평가 35
라. 해운대 해수욕장 주변 종합 분석 결과 48
2. 해외 사례 분석 50
가. 프랑스 51
나. 암스테르담 53
다. 홍콩 55
라. 이탈리아 57
마. 스코틀랜드 59
바. 영국 60
3. 비교 결과 62
4. 소결 66
IV. 실증적 연구 67
1. 설문조사 개요 67
가. 설문조사 목적 및 내용 67
나. 연구시기와 과정 68
다. 연구 대상 68
2. 설문조사 방법 69
3. 설문조사 결과 분석 71
가. 기초문제 분석 결과 71
나. 도시 야간조명 체험적 분석 결과 75
4. 소결 79
V. 부산 야간조명 개발 방향 80
1. 미래 설계 연구 트렌드 80
가. 몰입형조명디자인 81
나. 상호작용 조명디자인 82
다. 참여 주체의 주관적 사고를 키우는 조명 디자인 83
VI. 결론 86
참고문헌 88
부록 90
감사의 말씀 9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33-08-12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