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NFT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NFT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Using means-end chain theory and laddering technique
Abstract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웹 3.0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적 기반이 발달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술이 다양한 영역에 접목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 속 미디어 산업 전반, 특히 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서 콘텐츠의 소유권을 보장하고 이를 토큰화하여 시장 가치 생성과 거래를 가능케 하는 NFT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NFT에 대한 연구는 법적, 기술적 차원의 논의에 비해, NFT가 활용되는 개별 산업 영역의 연구, NFT에 대한 이용자의 가치체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NFT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위해, 수단-목적 사슬 이론과 래더링 기법을 활용하여 엔터테인먼트 NFT의 구매자들이 지각하는 가치체계를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엔터테인먼트 분야 NFT를 구매한 경험 있는 22명을 대상으로 1:1 심층 래더링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이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NFT를 속성, 기능적 혜택, 심리적 혜택, 가치 즉, 4단계로 분석하여 단계별 유목 간 연결고리를 바탕으로 가치 단계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엔터테인먼트 NFT 구매자들은 NFT의 ‘고유성’,‘희소성’, ‘가격 변동성’, ‘불변성’에 기인하여 ‘자산성’ 및 ‘멤버쉽 혜택’과 같은 기능적 혜택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는 곧 NFT에 대한 ‘만족감’,‘수익 기대감’, ‘커뮤니티 소속감’과 연결되며 궁극적으로 ‘소속감 추구’, ‘수익 추구’, ‘자기 표현’이라는 가치를 지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NFT 구매자의 가치체계에 대한 이해는 추후 NFT 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 사업자들에게 시장의 니즈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향후 NFT에 대한 이용자 측면의 연구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CT, various technical foundations for building Web 3.0 ecosystem are developing, and blockchain technology to implement them is being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In this situation, NFT, which guarantees the ownership of content and tokenizes it to enable market value creation and trading, is actively used in the media industry in general, especially in the entertainment area. However, research on domestic NFT is still relatively insufficient to help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NFT in terms of users compared to discussions at the legal and technical level. Accordingly, in order to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NFT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this study explored the value structure perceived by buyers of entertainment NFT using Means-End Chain Theory and Laddering Technique. Laddering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22 experienced people who purchased NFT in the entertainment a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ttributes, Functional Benefits, Psychological Benefits, and Value items to derive a Hierarchical Value Map based on the link between items. As a result of the study, entertainment NFT buyers value functional benefits such as ‘assetability’ and ‘membership benefits’ due to NFT ‘uniqueness’, ‘scarcity’, ‘price volatility’, and ‘invariability’ which is ultimately linked to NFT ‘satisfaction’, ‘profit expectation’, and ’sense of belonging in community’. This understanding of the value structure of entertainment NFT buyers can help media and entertainment-related operators aspect of NFT business model.
Author(s)
최재서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Keyword
NFT, 엔터테인먼트, 수단-목적 사슬 이론, 래더링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46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4791
Alternative Author(s)
Choi Jae se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Advisor
김정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배경 1
2.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7
1. NFT의 이해 7
(1) NFT의 개요 및 현황 7
(2) 블록체인과 NFT 10
(3) NFT 선행연구 고찰 14
2. NFT와 엔터테인먼트 산업 18
(1) 엔터테인먼트 시장 NFT 현황 18
(2) 엔터테인먼트 시장 NFT 특성 23
3. 수단-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 Theory) 25
4. 연구문제 28
Ⅲ. 연구방법 29
1. 래더링 인터뷰(Laddering Interview) 29
(1) 래더링 기법의 개요 29
(2) 래더링 기법의 유형 30
(3) 소프트 래더링 선행연구 31
(4) 래더링 인터뷰 분석 절차 32
2.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34
3. 함축 매트릭스(Implication Matrix) 35
4. 가치 단계도(Hierarchical Value Map) 36
Ⅳ. 연구결과 38
1.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38
2. 래더링 분석 결과 40
(1) 내용분석 결과 40
(2) 함축 매트릭스 결과 41
(3) 가치 단계도 결과 44
Ⅴ. 결론 및 논의 46
1. 주요 연구결과 및 논의 46
2. 연구 시사점 및 추후 연구 제언 51
참고문헌 52
영문초록 65
부록 6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8-0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