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IP 속성이 콘텐츠IP 연계이용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 of ContentIP Attributes on the Activity of ContentIP Linked Utilization
- Abstract
- 본 연구는 콘텐츠IP를 포맷 변주의 가능성, 타 산업으로의 확장 가능성 등을 포괄한 맥락에 서 접근하여 이용자들의 연계 이용을 끌어내는 콘텐츠IP의 핵심 속성은 무엇인지를 파악하 고자 하였다. 콘텐츠IP 활용 작품의 이용 경험이 있는 만 20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콘텐츠IP의 속성(원형성, 확장성, 연계성) 평가 와 콘텐츠IP 연계 이용의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적 관계 속에서 콘텐츠IP에서 비롯된 충성도, 콘텐츠와는 무관한 이용자 특성(호기심, 온라인 상호작용)이 콘텐츠IP 속성 평가와 콘텐츠IP 연계 이용의 적극성 관계에 매개 그리 고 조절, 조절된 매개효과를 미칠 수 있으므로 매개 효과 분석, 조절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 다. 분석 결과, 콘텐츠IP의 속성 중 ‘확장성’이 콘텐츠IP의 연계 이용의 적극성에 유의한 영 향을 미쳤고, 이 관계에서 콘텐츠IP 충성도의 부분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용자 특성(호 기심, 온라인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이용자 특성 중 ‘호기심’만이 콘텐츠IP 속성 중 확장성 평가와 콘텐츠IP 연계 이용 적극 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용 형태 로부터의 콘텐츠IP 활용에 대한 학문적·실무적 제안점을 논의하였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key attributes of content intellectual property (IP) that attract users cross-utilization within the context of format variation and potential expansion to other industr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tentIP-experienced users in their 20s, collecting data on the evaluation of contentIP attributes (originality, expandability, connectivity) and the willingness for cross-utilization of contentIP.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se attributes on cross-utilization. Consider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it was hypothesized that loyalty derived from contentIP and user characteristics unrelated to the content (curiosity, online interaction) may serve as mediators or moderators with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n the evaluation of contentIP attributes and the willingness for cross-utilization. Accordingly, mediation and moder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ttribute of 'expandability' among contentIP attribute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willingness for cross-utilization, and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contentIP loyalty in this relationship were confirm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user characteristics (curiosity, online interac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curios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of expandability and the willingness for cross-utiliz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utilizing contentIP in various forms of utilization were discussed.
- Author(s)
- 최수빈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콘텐츠IP, 콘텐츠IP 속성, 원형성, 확장성, 연계성, 콘텐츠IP 연계 이용의 적극성, 콘텐츠IP 충성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47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6626
- Alternative Author(s)
- Soo Bin Choi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Advisor
- 이소은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목적 3
Ⅱ. 선행연구 검토 4
1. 콘텐츠IP의 정의 4
2. 콘텐츠IP의 속성 5
1) 원형성 7
2) 확장성 8
3) 연계성 11
3. 콘텐츠IP의 구성 요소 13
4. 콘텐츠IP 연계 이용의 적극성 15
5. 콘텐츠IP 충성도 17
6. 이용자 특성 20
1) 호기심 20
2) 온라인 상호작용 21
7. 충성도의 매개효과 23
8. 이용자 특성의 조절효과 24
1) 호기심의 조절효과 24
2) 온라인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25
Ⅲ. 연구 문제 26
1. 연구모형 26
2.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27
Ⅳ. 연구방법 및 연구설계 30
1. 자료 수집 30
2. 설문지 구성 33
3. 주요 변인 측정 34
1) 콘텐츠IP 속성에 대한 평가 34
(1) 원형성 34
(2) 확장성 35
(3) 연계성 36
2) 콘텐츠IP 연계 이용의 적극성 37
3) 콘텐츠IP 충성도 38
4) 이용자 특성 39
(1) 호기심 39
(2) 온라인 상호작용 39
4. 분석 방법 41
Ⅴ. 연구결과 42
1.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42
2.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검증 43
1) 연구문제 1의 검증 43
2) 연구문제 2의 검증 45
3) 연구문제 3의 검증 48
(1) 이용자 특성(호기심, 온라인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48
(2) 이용자 특성(호기심, 온라인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51
3.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검증결과 요약 54
Ⅵ. 결론 55
1. 연구의 요약 및 함의 55
2. 연구 의의 및 한계 59
참고문헌 61
부록1 7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8-07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