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몰아보기의 다차원성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Multidimensionality of Binge-watching : Focusing on the Type of User Group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make up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binge-watching and classifies the binge-watching user group accordingly. In addition, differences in motivation, viewing satisfaction, and time satisfac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lassified user group. Pilot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FGI to explore the multidimensional components of binge-watching, and based on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users aged 19 or older across the country who have been binge-watching within the past year to collect data. An independent T 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categorize users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viewing satisfaction, and tim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luster. According to the analysis, binge-watching users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based on content: narrative completion viewers and viewers who watch regardless of narrative completion. Based on content format, users were divided into three clusters: long-form original immersive viewers, short-form original additive viewers, and evenly-viewing viewers. Additionally, based on viewing method, users were divided into three clusters: planned immersive viewers, unplanned immersive viewers, and unplanned multitasking viewers. In addition, seven motives, including immersion, fun, time, habit, and social motivation, were derived for binge-watching motivation, and differences in motivation were significant user groups.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viewing satisfaction and time satisfac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viewing satisfaction and tim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cluster divided based on the content and viewing method.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im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cluster divided based on the content form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users can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groups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roperties of binge-watching. And accordingly, it is meaningful to explore important criteria for distinguishing the multidimensionality of binge-watching.|본 연구는 몰아보기의 다차원성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몰아보기 사용자 집단을 분류하고자 한다. 더불어 유형화된 이용자 집단에 따라 동기, 시청 만족도, 시간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몰아보기의 다차원적인 구성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FGI를 통해 파일럿 연구를 진행했고, 이를 기반으로 최근 1년 이내에 몰아보기 경험이 있는 전국 19세 이상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과 k-means 군집분석을 통해 이용자를 유형화하고, 군집에 따른 동기, 시청 만족감, 시간 만족감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몰아보기 이용자가 콘텐츠 내용을 기준으로 서사 완결 시청형과 상관없음형의 2군집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콘텐츠 형식을 기준으로 롱폼 오리지널 집중형, 숏폼 오리지널 추가형과 골고루 시청형의 3군집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시청 방법을 기준으로 계획 집중형, 비계획 집중형, 비계획 멀티형의 3군집으로 나뉘었다. 더하여 몰아보기 동기에 대해서는 궁금증과 몰입, 시간성·습관성, 사회적 동기 등 7개의 동기가 도출되었으며, 콘텐츠 내용, 콘텐츠 형식, 시청 방법에 따라 동기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시청 만족감과 시간 만족감의 차이에 대해서는 콘텐츠 내용과 시청 방법을 기준으로 나눈 군집에 따라 시청 만족감과 시간 만족감의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콘텐츠 형식을 기준으로 나눈 군집에 따라 시간 만족감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몰아보기의 양적 속성과 함께 질적 속성을 기준으로 이용자가 상이한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몰아보기의 다차원성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을 탐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Author(s)
최지우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Keyword
OTT, 몰아보기, 몰아보기의 다차원성, 이용자 군집, 시청 만족감, 시간 만족감, 동기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47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6677
Alternative Author(s)
Ji Woo Choi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Advisor
이소은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Ⅱ. 선행연구 검토 4
1. 몰아보기의 정의 4
2. 몰아보기의 동기 10
3. 몰아보기 만족감 11
Ⅲ.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13
1. 연구 문제 13
2. 연구 방법 14
1) FGI를 통한 파일럿 스터디 14
2) 설문조사를 통한 몰아보기 이용 행태 조사 16
(1) 자료의 수집 16
(2) 몰아보기 이용에 대한 측정 19
3) 분석 방법 19
Ⅳ. 연구 결과 20
1. 몰아보기의 다차원적 구성 요인 탐색 결과 20
1) 결정된 설문 측정 항목 23
(1) 몰아보기 구성요소 : 콘텐츠의 내용·형식, 시청 방법 23
(2) 몰아보기 동기 24
(3) 시청 만족감과 시간 만족감 27
(4) 이용자의 몰아보기 이용 특성 및 기술 통계치 29
2. 몰아보기 이용자 유형화 33
1) 몰아보기 구성요소에 대한 군집 분석 33
2) 각 군집별 특성 분석 결과 36
3. 몰아보기 이용자 유형화에 따른 동기 결과 46
1) 몰아보기 동기의 탐색적 요인분석 46
2) 몰아보기 이용자 군집별 동기의 차이 50
4. 몰아보기 이용자 유형에 따른 만족감 차이 56
1) 몰아보기 이용자 군집별 시청 만족감 차이 56
2) 몰아보기 이용자 군집별 시간 만족감 차이 58
Ⅴ. 결론 60
1. 분석결과의 해석과 함의 60
2. 연구의 의의와 한계 65
참고문헌 68
국문 초록 73
설문지 7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8-0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