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디지털 서비스화와 기업 성과: 디지털 서비스 유형과 디지털 서비스화 역설에 대한 실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Unpacking Digital Service Offerings, Firm Performance, and Digital Servitization Paradoxes: Evidence from US Industrial Sectors
Abstract
디지털 서비스화(Digital Servitization)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하는 급진적인 프로세스이다. 이는 제조 기업의 경쟁 우위로 여겨지지만, 이전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기업이 서비스화와 디지털화에 각각 투자한 만큼의 재무적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는 역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역설로 인해 DS가 긍정적인 투자 수익을 제공하는지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서비스 오퍼링(Digital Service Offerings)과 그것이 기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기업 문서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디지털화 수준과 서비스 지향성에 따라 DS를 측정하고 DSO 유형을 식별하였다. 그 결과 DS와 기업의 수익성 사이에는 역 U자형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지털 서비스화의 역설과 DSO의 수익성 변동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한다. |Digital servitization (DS) is the radical process of shifting a business model from a product- to a service-centered, using digital technologies. This is seen as a competitive advantage for manufacturing firms, but previous research has identified paradoxes in which these firms do not achieve the expected financial performance from the investment in servitization and digitalization, respectively. These paradoxes lead us uncertain about whether DS provides the positive return on investment. In addition,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the various types of digital service offerings (DSOs) and their impact on firm performance. To address these gaps, we developed a measurement of DS and identified typologies of DSOs based on the level of digitalization and service orientation, using textual analysis of company documents. We found that there is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DS and firm profitability.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to better understand the digital servitization paradoxes and the variability in profitability of DSOs.
Author(s)
이하늘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Keyword
디지털 서비스화, 디지털 서비스화 패러독스, 디지털 서비스 오퍼링, 기업의 성과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48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5961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산업 및 데이터공학과(산업데이터공학융합전공)
Advisor
김민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4
1. 서비스화의 디지털 기술과 디지털 서비스화 역설 4
2. 디지털 서비스 오퍼링 유형과 기업의 성과 8
Ⅲ. 연구 방법 16
1. 데이터 수집 16
2. 측정 방법 17
3. 기술통계량 및 모델 설정 20
Ⅳ. 연구 결과 22
1. 디지털 서비스화와 기업 성과 22
2. 디지털 서비스 유형의 이질적 영향 22
3. 강건성 확인 27
Ⅴ. 토론: 타 실증 연구와의 비교 32
Ⅵ. 결론 33
1. 이론적 공헌 33
2. 실무적 시사점 35
3. 한계점 및 추가 연구 36
참고문헌 40
영문초록 6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산업및데이터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8-0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