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Wind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Boundary Layer Using Doppler LiDAR Observation Data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도플러 라이다 관측 자료를 이용한 대기경계층의 바람 특성
Abstract
도플러 윈드 라이다(LiDAR)는 대기 중 입자 및 수증기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원격 감지 장치로, 이를 통해 풍속과 풍향을 계산할 수 있다. 대기경계층 내의 바람은 우리 생활과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날씨 조건에 따라 다양한 인간 활동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변수 중 하나로, 수치 예보, 풍력 발전, 도시 항공 교통과 같은 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바람은 매우 변동성이 심한 대기 현상이며, 바람과 복잡한 특성을 가진 대기경계층의 장기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특히 지리적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는 지역인 서울 및 수도권과 같은 지역에서 바람 특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플러 윈드 라이다는 이동, 설치 및 설정이 간편하며 다른 원격 감지 장비에 비해 공간 및 시간 해상도가 우수하므로 정확한 바람 자료를 수집하는 데 사용된다. 서울 및 수도권의 바람 특성 간의 차이를 DBS 방법을 통해 획득한 Wind LiDAR의 바람 자료를 사용하여 비교했다. 지형 특성에 따른 대기경계층 내의 바람 변화를 거침없이 분석하여 거칠기 길이 및 계절 풍 차이 측면에서 연구했다.
Author(s)
김유진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3363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6298
Alternative Author(s)
김유진
Affiliation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Advisor
권병혁
Table Of Contents
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s and Methods 5
1. Materials 5
1.1 Observation Equipment 5
1.2 Observation Environment 10
1.3 Observation Data 26
1.4 Quality of Observation Data 31
2. Horizontal Wind Vector 37
Ⅲ. Results and Discussion 41
1. Atmosphere Boundary Layer Height 41
2. Wind Direction 46
2.1 Seasonal Wind Direction 46
2.2 Local Wind 54
2.2.1 May 58
2.2.2 October 63
3. Wind Speed 68
3.1 Monthly variation 68
3.2 Vertical variation 79
3.3 Estimation of surface wind speed 89
Ⅵ. Conclusions 100
References 10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 Embargo2024-02-1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